KR200488793Y1 - 장식용 팬던트 기구 - Google Patents

장식용 팬던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93Y1
KR200488793Y1 KR2020180003924U KR20180003924U KR200488793Y1 KR 200488793 Y1 KR200488793 Y1 KR 200488793Y1 KR 2020180003924 U KR2020180003924 U KR 2020180003924U KR 20180003924 U KR20180003924 U KR 20180003924U KR 200488793 Y1 KR200488793 Y1 KR 200488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accommodating portion
rings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180003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 목걸이 또는 팔찌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쥬얼리를 설치하여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장식용 팬던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목걸이끈을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1링; 상기 제1링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1수용부; 목걸이끈을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2링; 상기 제2링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2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연결하는 수용부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식용 팬던트 기구{Pendent Apparatus For Ornament}
본 고안은 팬던트 기구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귀걸이, 목걸이 또는 팔찌 등의 귀금속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보석류를 설치하여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장식용 팬던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팬던트(Pendent)는 개인적 치장을 위해 몸에 매달기 위한 장신구를 말한다. 보통은 귀금속 또는 보석류를 목, 팔 또는 귀 등의 신체부위에 매달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목걸이, 팔찌 또는 귀걸이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목걸이, 팔찌 또는 귀걸이 자체를 일컫기도 한다. 아무튼 장식적인 목적으로 신체 부위에 매달고 다니기 위한 기구를 팬턴트 기구라 한다.
종래의 팬던트로는 은, 금, 티나늄, 진주, 호박, 사파이어 등 귀금속류를 미려하게 가공하여 다양한 문양을 내거나(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10688호 참조), 금속을 가공하여 보석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식이 있다(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5989호 참조).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팬던트에 보석을 고정시킨 경우에는 이 보석을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본인의 기분, 의상 또는 착용 환경에 따라 다른 보석을 착용하고자 할 때는 팬던트 기구를 다른 것으로 바꿔야 했다. 특정 보석에 식상하여 서랍에 넣어두고자 하는 경우에 팬던트 기구까지 사용할 수 없는 낭비적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1068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598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개성을 십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팬던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석류(쥬얼리)를 자신의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착용할 수 있게 하는 팬던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석류를 손상 또는 분실하지 않으며 사용이 간단한 팬던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목걸이끈을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1링; 상기 제1링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1수용부; 목걸이끈을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2링; 상기 제2링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2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연결하는 수용부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연결구는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힌지식으로 벌어지거나 닫혀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기구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는 복수 개의 선재로 구성되며; 상기 선재의 상단은 한데 모아진 상태로 상기 제1링과 제2링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재의 하단은 한데 모아진 상태로 상기 수용부연결구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각각 반구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2링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구체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링은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단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링은 상기 단위링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링와 상기 단위링은 요철부에 의한 암수결합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링과 제2링은 자력에 의해 서로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반구 형태로 된 제1,2수용부가 합쳐져 보석류를 보관할 수 있는 구체를 형성하는 팬던트 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팬던트 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착용하고 싶은 보석류를 팬던트 기구에 넣고 목걸이, 반지, 귀걸이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는 보석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장식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팬던트 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팬던트 기구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팬던트 기구의 사용상태도로서 제1,2수용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2링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팬던트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팬던트 기구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팬던트 기구는 열리거나 닫힐 수 있어 그 내부에 보석류(J)를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1,2컨테이너를 가진다. 제1,2컨테이너는 기본적인 구성이 같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안에 넣어진 보석류(J)가 겉에서 보일 수 있게끔 구성되어야 한다. 물론 보석류(J)의 종류는 불문한다.
제1컨테이너는 목걸이끈(W)을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1링(12)과, 제1링(12)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J)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1수용부(10)를 포함한다. 목걸이로 사용하고자 하는 때는 목걸이끈(W)을 제1링에 끼우면 되겠지만 귀걸이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귀에 걸 수 있는 와이어가 제1링에 끼워지게 될 것이다.
제2컨테이너 역시 선재(W)를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2링(22,22')과, 제2링(22,22')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J)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2수용부(20)를 포함한다.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는 각각 반구(半球) 형태로 되어 있으며, 수용부연결구(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수용부연결구(30)는 제1링(12)과 제2링(22,22')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해 있다.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는 하나씩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2 ~ 3개가 연속적을 연결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링(12)과 제2링(22,22')은 서로 포개져 목걸이끈이 관통할 수 있는 하나의 링조립체를 형성한다.
수용부연결구(30)는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벌어지거나 닫혀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기구일 수 있다. 힌지기구는 안경다리에 사용되는 경첩과 같은 공지의 기구이다.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는 이수용부연결구(30)에 의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는 복수 개의 선재(11,21)로 구성된다. 선재(11,21)의 상단은 한데 모아진 상태로 제1링(12)과 제2링(22,22')에 각각 용접, 납땜 등으로 고정되고, 선재(11,21)의 하단은 한데 모아진 상태로 수용부연결구(30)에 각각 용접, 납땜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각각 반구 형태로 설치된다. 제1링(12)과 제2링(22,22')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2수용부(10,20)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구체(救體)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용접, 납땜은 금용접, 금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재(11,21)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느다란 소선을 꼬아 만든 와이어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직경 0.7 ~1mm의 강선을 절곡한 것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낚시줄로 사용되는 강인한 나일론이나 플로로카본과 같은 합성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선재(11,21)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한 합성수지로 된 반원통체로 대체될 수 있다. 보석류(J)의 가시성을 더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합성섬유와 같이 가요성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11,21) 사이가 벌어져 보석류(J)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선재(11,21)의 중간에 벌어짐방지대(40)가 부가될 수 있다. 벌어짐방지대(40)는 반고리 형태의 금속일 수도 있고 합성섬유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링(22,22')은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단위링으로 구성된다. 제2링(22,22')은 각각 용접 등으로 선재(2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링(12)은 제2링(22,22')의 단위링 사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져 포개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링(12)과 제2링(22,22')은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에 의한 암수결합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링(12)의 좌우측에 돌기(13)가 돌출 형성되며, 제2링(22,22')의 단위링에는 돌기(13)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3)이 마련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링(12)의 좌우측에 홈(13')이 마련되고 단위링의 좌우측에는이 홈(13')에 끼워지는 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링(12')과 제2링(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와셔와 같이 납작한 하나의 링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자력에 의해 서로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2링(12',22")이 자력으로 결합되어 제1,2수용부(10,20)이 구체를 이룬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수용부 11,21 : 선재
12,12' : 제1링 20 : 제2수용부
22,22',22" : 제2링 30 : 수용부연결구

Claims (4)

  1. 목걸이끈을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1링(12);
    상기 제1링(12)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J)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1수용부(10);
    목걸이끈(W)을 끼워 걸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제2링(22, 22');
    상기 제2링(22, 22')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알갱이 형태의 보석류(J)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제2수용부(20);
    상기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를 연결하며,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가 힌지식으로 벌어지거나 닫혀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기구인 수용부연결구(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용부(10)와 제2수용부(20)는 복수 개의 선재(11, 21)로 구성되며;
    상기 선재(11, 21)의 상단은 한데 모아진 상태로 상기 제1링(12)과 제2링(22, 22')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재(11, 21)의 하단은 한데 모아진 상태로 상기 수용부연결구(3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각각 반구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링(12)과 제2링(22, 22')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구체를 이루고,
    상기 제2링(22, 22')은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단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링(12)은 상기 제2링(22, 22')의 단위링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링(12)와 상기 제2링(22, 22')의 단위링은 요철부에 의한 암수결합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링(12)의 좌우측에 돌기(13)가 돌출 형성되며, 제2링(22,22')의 단위링에는 돌기(13)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팬던트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12)의 좌우측에 홈(13')이 마련되고 단위링의 좌우측에는 상기 홈(13')에 끼워지는 돌기(2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팬던트 기구.
  4. 삭제
KR2020180003924U 2018-08-23 2018-08-23 장식용 팬던트 기구 KR200488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24U KR200488793Y1 (ko) 2018-08-23 2018-08-23 장식용 팬던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24U KR200488793Y1 (ko) 2018-08-23 2018-08-23 장식용 팬던트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93Y1 true KR200488793Y1 (ko) 2019-03-19

Family

ID=6589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24U KR200488793Y1 (ko) 2018-08-23 2018-08-23 장식용 팬던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299A (zh) * 2021-09-03 2022-04-15 刘少华 玉雕挂件平安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422B2 (ja) * 1996-08-19 2000-12-1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ルウ及びこれを用いたルウ系食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422B2 (ja) * 1996-08-19 2000-12-1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ルウ及びこれを用いたルウ系食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299A (zh) * 2021-09-03 2022-04-15 刘少华 玉雕挂件平安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58928B2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9066562B2 (en) Jewelry article
US8944301B2 (en) Article carrier for supporting multiple articles around a neck of a wearer
US5097679A (en) Screw it together jewelry
US20060075781A1 (en) Magnetically attractable components for jewelry articles
US10537160B1 (en) Jewelry device
US20190090598A1 (en) Jewelry system, jewelry kit, jewelry, and associated methods
US4220018A (en) Display device for ornamental objects
KR200488793Y1 (ko) 장식용 팬던트 기구
US7243511B2 (en) Pendant
US20150308489A1 (en) Turning mechanism for a piece of jewelry
KR20120035660A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WO2019036068A1 (en) CLOSURE MECHANISM FOR JEWELERY
KR101613447B1 (ko) 착용줄 상에서 고정 및 위치이동이 가능한 장식부
US6108878A (en) Wire connection system
JP2018505011A (ja) パームブレスレット
CN217906617U (zh) 一种饰品和首饰
US11140953B2 (en) Convertible pendant and earrings
GB2484392A (en) Jewellery system
KR102660036B1 (ko) 주얼리
US11470926B1 (en) Jewelry item with rotating ornaments, and methods for its use
WO2006074215A2 (en) Ball-seam jewelry
JP2021108994A (ja) 見る角度で反射模様の変化する装身具
KR20240073559A (ko) 모듈 연결 구조를 갖는 귀금속 쥬얼리용 장신구
CN115054035A (zh) 一种饰品和首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