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533Y1 -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 Google Patents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533Y1
KR200450533Y1 KR2020080004424U KR20080004424U KR200450533Y1 KR 200450533 Y1 KR200450533 Y1 KR 200450533Y1 KR 2020080004424 U KR2020080004424 U KR 2020080004424U KR 20080004424 U KR20080004424 U KR 20080004424U KR 200450533 Y1 KR200450533 Y1 KR 200450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jewelry
connecting means
accessory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209U (ko
Inventor
허용
Original Assignee
허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 filed Critical 허용
Priority to KR2020080004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53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3/00Connectibl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석이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함체의 표면 하부측에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을 통공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연결수단을 함체의 내부에서 지지하여 주는 고정수단을 더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에 의해 함체와 연결수단과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함체의 바닥면 전체가 악세사리가 착용되는 신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함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보석이 좌 또는 우측으로 쓰러지거나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팔찌나 목걸이와 같이 다수개의 보석이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악세사리를 구성하도록 내측에 보석이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표면 양측에 연결수단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이 통공된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에는, 상기 함체(10)에 통공된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움연결되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지지편(20)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측으로 더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내측 바닥면(13)의 일부가 절개되어 바닥면(13)의 상부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바닥면(13)의 일부가 절개되어 바닥면(13)의 상부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함체(10)의 바닥면(13)으로부터 1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측면(14)으로부터 함체(10)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함체(1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함체(10)의 측면(14)으로부터 함체(10)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되, 함체(10)의 측면(14)으로부터 1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악세사리, 함체, 보석연결

Description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JEWELLERY OR IMITATION COUPLING HOUSING OF ACCESSORY}
본 고안은 팔찌나 목걸이와 같이 다수개의 인조보석이 줄이나 체인과 같이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악세사리의 상기 인조보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보석이 상부측으로 내삽되는 함체의 대응되는 양면 하단 중앙부에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을 통공하고 상기 함체의 바닥면이나 측면에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연결수단을 고정하여 지지하여 주는 고정수단을 더 형성하여 여러 개 연결구성되는 인조보석의 중심점이 좌 또는 우측으로 틀어지는 방지하여 항상 미려한 인조보석이 악세사리의 정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악세사리는 악세사리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연출하기 위해 진주나 인조보석과 같은 보석을 여러개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통상 연결수단은 금속체인이나 금이나 은으로 이루어진 보석체인 또는 줄이나 끈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악세사리는 보석을 연결함에 있어서, 보석에 구멍을 뚫는 가공을 먼저 한 다음 뚫어진 구멍에 연결수단을 연결함으로써 여러개의 보석을 연결하여 목 걸이나 팔찌를 양산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보석에 직접적으로 구멍을 뚫을 경우에는 구멍을 뚫는 가공 도중에 보석에 흡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잘못 가공할 경우에는 보석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파이어나 다이아몬드, 진주와 같이 고가의 보석인 경우에는 보석에 직접 구멍을 뚫는 가공을 아예 생략함으로써, 고가의 보석을 연결하여 목걸이나 팔찌를 제조하는데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근자들어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석이 내삽되는 함체(1)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보석을 연결함으로써 팔찌나 목걸이를 양산하고 있는 바, 상기 함체(1)의 내부에 보석(2)을 상부측으로부터 삽입한 다음, 함체(1)의 상단부를 보석(2)의 둘레면에 밀착하여 보석(2)이 함체(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체(1)의 바닥면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체인이나 연결줄, 또는 연결끈과 같은 연결수단(3)을 접합함으로써 팔찌나 목걸이를 양산하고 있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의 바닥면에 연결수단(3)을 접합함에 있어서, 연결수단(3)의 두께에 의해 함체(1)가 공중에 뜬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목걸이를 목에 걸거나 또는 팔찌를 팔에 찰 경우, 상기 연결수단(3)에 의해 연결되어진 다수개의 보석(2)의 중심이 지지되지 못함으로써 보석(2)이 좌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아예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아름다운 목걸이나 팔찌를 신체에 착용하더라도, 보석이 전면에 노출되지 않고 틀어지거나 아예 뒷부분으로 뒤집어짐에 따라 악세사리의 아름다운 외관을 노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안출된 바 있는 악세사리의 보석을 연결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359058호인 큐빅형태의 보석 또는 인조보석의 연결 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목걸이 또는 팔찌 등의 장식구로서 사용하는 다수의 보석들을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원석에서 가공하려는 제 1보석, 제 2보석 및 제 3보석의 형상을 상상하고 상하로 관통시킨 좌측공으로서 제 11공, 제13공 및 제 15공 과 우측공으로서 제 12공, 제 14공 및 제 16공과, 제 1보석과 제 2보석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 12공과 제 13공을 서로 연접하게 한 다음에, 은 또는 금 용액으로 제 1보석의 우측부분과 제 2보석의 좌측부분 그리고 제 12공 및 제 13공을 용접하여 형성된 제 2결합체와, 제 2보석과 제 3보석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 14공과 제 15공을 서로 연접하게 한 다음에, 은 또는 금 용액으로 제 2보석의 우측부분과 제 3보석의 좌측부분 그리고 제 14공 및 제 15공을 용접하여 형성된 제 3결합체와, 좌측 맨 끝에 있는 제 1보석의 제 11공과 목걸이 줄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 제 11공과 목걸이 줄을 은 또는 금 용액으로 제 1보석의 좌측부분 및 제 11공을 용접하여 형성된 제 1결합체 및 우측 맨 끝에 있는 제 3보석의 제 16공과 목걸이 줄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 제 16공과 목걸이 줄을 은 또는 금 용액으로 제 3보석의 우측부분 및 제 16공을 용접하여 형성된 제 4 결합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59058호인 큐빅형태의 보석 또는 인조보석의 연결 구조의 경우에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보석에 직접적인 구멍을 뚫어야 하는 작업 즉, 구멍 가공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바, 구멍 가공작업에 의해 보석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거나 또는 보석 자체가 깨지거나 또는 뚫어진 구멍이 제대로 맞지 않아 보석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고가의 보석에 구멍을 뚫기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팔찌나 목걸이와 같은 악세사리를 양산할 때 여러 개의 보석을 연결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보석이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함체의 표면 하부측에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을 통공하고,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연결수단을 함체의 내부에서 지지하여 주는 고정수단을 더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에 의해 함체와 연결수단과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함체의 바닥면 전체가 악세사리가 착용되는 신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함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보석이 좌 또는 우측으로 쓰러지거나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는, 팔찌나 목걸이와 같이 다수개의 보석이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악세사리 를 구성하도록 내측에 보석이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표면 양측에 연결수단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이 통공된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함체에 통공된 끼움공에 관통되어 끼움연결되는 상기 연결수단의 외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지지편이 더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함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상부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공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연결수단의 외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은 보석이 내삽되는 함체의 표면 중앙 하부측에 연결수단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통공되어 있는 함체의 내측에 연결수단을 고정하는 지지편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끼움공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연결수단의 외부를 상기 지지편으로 지지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함체와 연결수단과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함체의 바닥면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음으로써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악세사리를 신체에 착용할 경우 함체가 좌 또는 우측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항상 함체에 내삽되는 보석이 전면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악세사리의 미려한 외관을 더욱 돋보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체에 더 구성되는 고정편들에 의해 연결수단이 함체로부터 이탈되거나 하지 않아 여러개 연결되는 보석과 보석 사이의 간격이 틀어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에 보석과 연결수단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의 또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는, 팔찌나 목걸이와 같이 다수개의 보석이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악세사리를 구성하도록 내측에 보석이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표면 양측에 연결수단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이 통공된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함체(10)에 통공된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움연결되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지지편(20)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측으로 더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내측 바닥면(13)의 일부가 절개되어 바닥면(13)의 상부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는, 상기 보석 (30)이 함체(10)의 상부로부터 장입되어 함체(10)의 내부측에 고정된 여러 개의 함체(10)들을 연결수단(12)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팔찌나 목걸이와 같은 악세사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2)이 끼워지는 끼움공(11)을 갖는 함체(10)의 내부측에 상기 지지편(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공(11)들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연결수단(12)의 외부를 상기 지지편(20)들이 밀착되어 지지하여 줌으로써 연결수단(12)과 함체(10)와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짐으로써, 함체(10) 및 함체(10)에 내삽되어 있는 보석(30)이 좌 또는 우측으로 쓰러지거나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항상 보석(3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일정간격으로 연결구성되는 보석(30)들이 상기 함체(10)와 연결수단(12)과의 견고한 고정에 의해 거리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바닥면(13)의 일부가 절개되어 바닥면(13)의 상부측으로 절곡형성되되, 상기 함체(10)의 바닥면(13)으로부터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함체(10)에 끼워지는 연결수단(12) 개수에 따라 상기 지지편(20)의 개수가 달리 구성되어 연결수단(12)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측면(14)으로부터 함체(10)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함체(1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측면(14)으로부터 함체(10)의 내측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되, 함체(10)의 측면(14)으로부터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상기 함체(10)의 끼움공(11)에 끼워지는 연결수단(12)의 외부가 상기 측면(14)으로부터 절곡형성된 지지편(20)들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전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함체(10)에 통공되는 끼움공(11)은 2개 이상으로 통공되고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2개 이상으로 통공되는 끼움공(11)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연결수단(12)의 외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끼움공(11)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역시, 함체(10)의 끼움공(11)에 끼움 연결되는 연결수단(12)의 개수에 맞도록 상기 지지편(20)을 함체(10)의 측면(14)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는 상기 함체(10)의 형상이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인조보석 연결함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인조보석 연결함체의 문제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에 보석과 연결수단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의 또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 11 : 끼움공
12 : 연결수단 13 : 함체 바닥면
14 : 함체 측면 20 : 지지편

Claims (7)

  1. 팔찌나 목걸이와 같이 다수개의 보석이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악세사리를 구성하도록 내측에 보석이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고 표면 양측에 연결수단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이 통공된 함체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에 통공된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움연결되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지지편(20)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측으로 더 절곡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0)은, 상기 함체(10)의 내측 바닥면(13)의 일부가 절개되어 바닥면(13)의 상부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1)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상기 연결수단(12)의 외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080004424U 2008-04-03 2008-04-03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KR200450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24U KR200450533Y1 (ko) 2008-04-03 2008-04-03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424U KR200450533Y1 (ko) 2008-04-03 2008-04-03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09U KR20090010209U (ko) 2009-10-07
KR200450533Y1 true KR200450533Y1 (ko) 2010-10-13

Family

ID=4153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424U KR200450533Y1 (ko) 2008-04-03 2008-04-03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53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02Y1 (en) * 1983-04-22 1986-05-21 Lee Dong Jun Climbing shoe lacing fastenings
US5687586A (en) * 1996-07-01 1997-11-18 Facini; Sam Interconnectable jewelry setting for the construction of jewelry pie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02Y1 (en) * 1983-04-22 1986-05-21 Lee Dong Jun Climbing shoe lacing fastenings
US5687586A (en) * 1996-07-01 1997-11-18 Facini; Sam Interconnectable jewelry setting for the construction of jewelry pie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09U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6094939A (en) Jewelry item
US6324868B1 (en) Customizable pendant
CN106572729B (zh) 大致环状饰品
US6006547A (en) Jewelry assembly with dropped stone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US20100287988A1 (en) Composite gemston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50533Y1 (ko)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CN215189730U (zh) 一种灵动吊坠
KR200418686Y1 (ko) 귀고리
US20050092023A1 (en) Jewelry including stones and rings
KR200450534Y1 (ko)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KR20210002069U (ko) 장신구
KR200443779Y1 (ko) 장신구용 보석난집
CN209528112U (zh) 一种拥有多种佩戴方式的可灵活晃动首饰
CN212994959U (zh) 一种灵动吊坠
KR200436514Y1 (ko)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JP3127343U (ja) 鎖状装飾具
KR101767204B1 (ko)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US20050076507A1 (en) Method of making jewelry including stones and rings
KR101883965B1 (ko) 연결형 장신용구
KR102569064B1 (ko)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KR101177775B1 (ko) 장신구용 연결체
KR102036460B1 (ko) 합성수지재 패킹에 고리가 장치되는 장식부재
KR200467928Y1 (ko) 장신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