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064B1 -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 Google Patents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064B1
KR102569064B1 KR1020230062506A KR20230062506A KR102569064B1 KR 102569064 B1 KR102569064 B1 KR 102569064B1 KR 1020230062506 A KR1020230062506 A KR 1020230062506A KR 20230062506 A KR20230062506 A KR 20230062506A KR 102569064 B1 KR102569064 B1 KR 10256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
joint
invisible
main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호 filed Critical 최정호
Priority to KR102023006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44C17/046Setting gems in a plurality of non coplanar table top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비저블(invisible)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에 적용되는 보석장식에 관한 것으로, 기준보석이 수납된 메인난집 일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관통구멍에는 연결난집에 수납된 이음보석의 모서리 부분(뾰족한 끝부분)이 끼워지면서 메인보석 아래로 들어가 위에서 볼때 이음보석의 연결난집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바(인비저블 세팅: invisible setting), 이는 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이 마치 하나로 된 큰 보석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서, 새로운 이미지의 보석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보석과 이음보석 간 끝단 연결시 메인난집의 측벽 관통구멍을 통해 이음보석의 일측단(모서리 부분)이 결합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이음보석의 난집발이 바깥측에 오로지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적은 난집발 수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고 제작시간이 절감되며, 특히 안정적인 장식구조로 인해 분실위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난집은 메인난집(또는 이웃한 연결난집)을 기준으로 접합시 연결난집의 바깥측 자유단이 접합단(관통구멍 아래 부분에 접합되는 단부)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서(경사각을 조절하면서) 입체 형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평면형 세팅 외에 입체형 모양의 보석세팅(활짝핀 꽃모양, 날개를 저어 나는 새나 나비 모양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종 재질, 이종 색상의 보석 연출과 함께 메인난집 및 연결난집들 간의 가변적 재질 조합세팅(백금, 핑크골드, 기타 다른 소재의 금 등)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 연출과 고급스럽고 개성있는 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Invisible jewelry decoration setting method and invisible jewelry decoration manufactured using the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에 적용되는 보석장식에 관한 것으로, 기준보석이 수납된 메인난집 일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관통구멍에는 연결난집에 수납된 이음보석의 모서리 부분(뾰족한 끝부분)이 끼워지면서 메인보석 아래로 들어가 위에서 볼때 이음보석의 연결난집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바(인비저블 세팅: invisible setting), 이는 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이 마치 하나로 된 큰 보석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서, 새로운 이미지의 보석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저블(invisible)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보석과 이음보석 간 끝단 연결시 메인난집의 측벽 관통구멍을 통해 이음보석의 일측단(모서리 부분)이 결합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이음보석의 난집발이 바깥측에 오로지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적은 난집발 수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고 제작시간이 절감되며, 특히 안정적인 장식구조로 인해 분실위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난집은 메인난집(또는 이웃한 연결난집)을 기준으로 접합시 연결난집의 바깥측 자유단이 접합단(관통구멍 아래 부분에 접합되는 단부)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서(경사각을 조절하면서) 입체 형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평면형 세팅 외에 입체형 모양의 보석세팅(활짝핀 꽃모양, 날개를 저어 나는 새나 나비 모양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개인의 이미지를 부각하거나 고유의 개성을 연출할 때 몸에 치장하는 수단으로서, 각종 보석(다이아몬드, 큐빅 등)이나 금, 은, 백금, 합금(14k, 18k)을 다양한 모양과 형태(목걸이 펜던트, 반지, 귀걸이, 팔찌, 시계 등)로 제작 판매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장신구(목걸이 펜던트, 반지, 귀걸이, 팔찌, 시계 등)는 착용시 가장 눈에 띄고 잘 드러나는 부분에 보석장식을 메인 장식구로 세팅하여 연출하게 된다.
이러한 보석장식은 통상적으로 보석이 난집에 고정된 형태로서, 각각의 보석마다 개별 난집이 형성되고, 개별 난집에 구비된 각각의 난집발에 보석을 물려 세팅하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의 보석장식은 하나의 보석마다 난집발이 개별적으로 각각 지정되어 다수의 보석세팅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난집들은 서로 간 접합(땜 부착)하면서 이어나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전 세팅방식은 여러개의 보석들이 각각 구획된 난집에 의해 세팅시 여러개의 난집 간 이음 부분과 난집발들(보석을 잡아 고정하는 난집의 개구부 윗단과 그 위에 붙은 난집발이 전부 노출됨)이 전부 보이면서 보석들이 모두 따로 떨어진 모습을 갖는 미감이 발생된다.
예컨데, 복수 또는 다수의 작은 보석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꽃 모양으로 연출하기 위해서는 작은 보석들마다 각각의 난집과 난집발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많은 세팅 작업공수를 야기하게 되고, 특히 하나의 꽃 형상을 위해 조합된 다수의 난집발들은 하나로 묶어 세팅한다 하더라도 여러 보석들이 개별 난집, 난집발에 의해 각각 분리된 모습을 갖은채로 구분되어 세팅되는 바, 마치 하나의 큰 보석을 사용한 것처럼 보여주는 데에는 무리가 있게 된다.
1. 대한만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2099호(2012.01.05.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기준보석이 수납된 메인난집 일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관통구멍에는 연결난집에 수납된 이음보석의 모서리 부분(뾰족한 끝부분)이 끼워지면서 메인보석 아래로 들어가 위에서 볼때 이음보석의 연결난집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바(인비저블 세팅: invisible setting), 이는 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이 마치 하나로 된 큰 보석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서, 새로운 이미지의 보석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준보석과 이음보석 간 끝단 연결시 메인난집의 측벽 관통구멍을 통해 이음보석의 일측단(모서리 부분)이 결합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이음보석의 난집발이 바깥측에 오로지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적은 난집발 수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고 제작시간이 절감되며, 특히 안정적인 장식구조로 인해 분실위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난집은 메인난집(또는 이웃한 연결난집)을 기준으로 접합시 연결난집의 바깥측 자유단이 접합단(관통구멍 아래 부분에 접합되는 단부)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서(경사각을 조절하면서) 입체 형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평면형 세팅 외에 입체형 모양의 보석세팅(활짝핀 꽃모양, 날개를 저어 나는 새나 나비 모양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종 재질, 이종 색상의 보석 연출과 함께 메인난집 및 연결난집들 간의 가변적 재질 조합세팅(백금, 핑크골드, 기타 다른 소재의 금 등)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 연출과 고급스럽고 개성있는 연출이 가능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난집발(110)을 갖는 메인난집(100)이 구비되어 기준보석(200)이 수납되도록 하되, 메인난집(100)의 측벽 일측에는 이음보석(300)의 일측 모서리부분(310)이 관통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구멍(120)이 형성되고, 이음보석(300)은 하나의 난집발(410)을 갖는 연결난집(400)에 수납되도록 하되, 연결난집(400)은 메인난집(100)의 관통구멍(120) 아래 부분에 접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메인난집(100)은 기준보석(200)을 감싸는 측벽(130) 부분이 기준보석(200)의 상측단 테두리(210) 보다 좁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평면에서 볼때 측벽(130)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결난집(400)은 메인난집(100)을 기준으로 접합시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접합되거나 또는 바깥측 자유단(420)이 접합단(430)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서(경사각을 조절하면서) 입체 형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연결난집(400)은 측벽부(440)에 연통구멍(450)이 형성되어 이웃한 이음보석(300)의 모서리부분(310)이 끼워지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메인난집의 기준보석을 시작으로 연결된 다양한 이음보석들이 설정된 도형 또는 형상_나비나 꽃 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함)되면서 다수의 보석체들이 하나의 큰 보석으로 보이도록 형성(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은 분리된 난집에 수납되지만 하나의 난집에 하나의 보석 고정된 것처럼 보이면서 보석의 바깥 테두리 외곽선만 보이게 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에 적용되는 보석장식에 관한 것으로, 기준보석이 수납된 메인난집 일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관통구멍에는 연결난집에 수납된 이음보석의 모서리 부분(뾰족한 끝부분)이 끼워지면서 메인보석 아래로 들어가 위에서 볼때 이음보석의 연결난집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바(인비저블 세팅: invisible setting), 이는 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이 마치 하나로 된 큰 보석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서, 새로운 이미지의 보석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준보석과 이음보석 간 끝단 연결시 메인난집의 측벽 관통구멍을 통해 이음보석의 일측단(모서리 부분)이 결합되면서 지렛대 원리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이음보석의 난집발이 바깥측에 오로지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적은 난집발 수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고 제작시간이 절감되며, 특히 안정적인 장식구조로 인해 분실위험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난집은 메인난집(또는 이웃한 연결난집)을 기준으로 접합시 연결난집의 바깥측 자유단이 접합단(관통구멍 아래 부분에 접합되는 단부)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서(경사각을 조절하면서) 입체 형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평면형 세팅 외에 입체형 모양의 보석세팅(활짝핀 꽃모양, 날개를 저어 나는 새나 나비 모양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종 재질, 이종 색상의 보석 연출과 함께 메인난집 및 연결난집들 간의 가변적 재질 조합세팅(백금, 핑크골드, 기타 다른 소재의 금 등)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 연출과 고급스럽고 개성있는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난집에 고정된 기준보석과 연결난집에 고정된 이음보석이 서로 인비저블 된 상태를 나타낸 일 예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보석과 다수의 이음보석이 상호 인비저블 구조로 세팅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관통구멍 대신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보석과 다수의 이음보석이 상호 인비저블 구조로 세팅된 것을 나타낸 예시 사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난집에 고정되는 기준보석과 연결난집에 고정되는 이음보석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주요 기술요지는 이음보석이 기준보석에 대하여 또는 이음보석이 이웃한 이음보석에 대하여 일측 끝단 일부분이 서로 겹쳐지면서(관통구멍을 통해 일측 보석의 끝단이 상대편 보석 밑으로 들어가면서 숨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구조: 인비저블 형태) 장식 전체를 볼 때 분리된 보석체들이 하나의 보석처럼 보이도록 하는데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보석장식은 반지나 팔찌 등에 그 자체로 세팅할 수도 있고, 목걸이용 펜던트나 귀걸이용 장식구로 적용시에는 목줄 연결용 고리 또는 장식 연결용 고리를 난집(메인난집 또는 연결난집) 중 어디에든 부착하여 연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난집발(110)을 갖는 메인난집(100)이 구비되어 기준보석(200)이 수납되도록 하되, 메인난집(100)의 측벽 일측에는 이음보석(300)의 일측 모서리부분(310)이 관통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구멍(120)이 형성된다.
이에, 이음보석(300)은 하나의 난집발(410)을 갖는 연결난집(400)에 수납되도록 하되, 연결난집(400)은 메인난집(100)의 관통구멍(120) 아래 부분에 접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메인난집(100)은 기준보석(200)을 감싸는 측벽(130) 부분이 기준보석(200)의 상측단 테두리(210) 보다 좁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평면에서 볼때 측벽(130)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메인난집의 측벽 부분은 기준보석의 테두리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인비저블 구조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가장 눈에 띄고 잘 드러나는 부분을 바라 볼 때 기준보석의 테두리가 난집의 측벽 직경보다 넓어 보석만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기준보석의 고정은 측벽으로부터 연결된 난집발을 구부려 기준보석의 테두리를 물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이 필요함)
이에, 연결난집 역시 메인난집과 동일 또는 유사한 외형을 갖는 것으로, 측벽부의 직경이 메인난집과 동일하게 이음보석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세팅시 인비저블한 심미감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결난집(400)은 메인난집(100)을 기준으로 접합시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접합되거나 또는 바깥측 자유단(420)이 접합단(430)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서(경사각을 조절하면서) 입체 형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관통구멍은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로 대체되어 해당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연결난집(400)은 측벽부(440)에 연통구멍(450)이 형성되어 이웃한 이음보석(300)의 모서리부분(310)이 끼워지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다수의 보석체들이 하나의 큰 보석으로 보이도록 형성된다.
즉, 메인난집의 기준보석을 시작으로 연결된 다양한 이음보석들이 설정된 도형 또는 형상_나비나 꽃 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은 분리된 난집에 수납되지만 하나의 난집에 하나의 큰 보석 고정된 것처럼 보이면서 보석의 바깥 테두리 외곽선만 보이게 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도 4는 기준보석과 이음보석 간 결합에 따라 형성된 중앙 부분 빈 공간에 기존난집(60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존난집에는 추가보석(500)이 수납되어 고정됨으로서 심미감을 더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기존난집(600)은 메인난집과 연결난집의 테두리 부분과 접합되도록 형성되고, 추가보석(500)은 위 부분 상단부가 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의 테두리 밑부분에 위치(기준보석과 이음보석의 테두리 부분이 추가보석의 상단부를 눌러 고정)되면서 기존난집에 난집발이 없어도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메인난집 110 ... 난집발
120 ... 관통구멍 130 ... 측벽
200 ... 기준보석 210 ... 테두리
300 ... 이음보석 310 ... 모서리부분
400 ... 연결난집 410 ... 난집발
420 ... 자유단 430 ... 접합단
440 ... 측벽부 450 ... 연통구멍

Claims (5)

  1. 하나 또는 복수의 난집발(110)을 갖는 메인난집(100)이 구비되어 기준보석(200)이 수납되도록 하되, 메인난집(100)의 측벽 일측에는 이음보석(300)의 일측 모서리부분(310)이 관통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구멍(120)이 형성되고, 이음보석(300)은 하나의 난집발(410)을 갖는 연결난집(400)에 수납되도록 하되, 연결난집(400)은 메인난집(100)의 관통구멍(120) 아래 부분에 접합되도록 하는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에 있어서,
    메인난집(100)은 기준보석(200)을 감싸는 측벽(130) 부분이 기준보석(200)의 상측단 테두리(210) 보다 좁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평면에서 볼때 측벽(130)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난집(400)은 메인난집(100)을 기준으로 접합시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접합되거나 또는 바깥측 자유단(420)이 접합단(430)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지거나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서 입체 형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난집(400)은 측벽부(440)에 연통구멍(450)이 형성되어 이웃한 이음보석(300)의 모서리부분(310)이 끼워지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다수의 보석체들이 하나의 큰 보석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5. 청구항 1항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비저블 보석장식.
KR1020230062506A 2023-05-15 2023-05-15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KR10256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506A KR102569064B1 (ko) 2023-05-15 2023-05-15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506A KR102569064B1 (ko) 2023-05-15 2023-05-15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064B1 true KR102569064B1 (ko) 2023-08-21

Family

ID=8784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506A KR102569064B1 (ko) 2023-05-15 2023-05-15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0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099A (ko)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혼 가변형 쥬얼리
KR101971171B1 (ko) * 2019-01-10 2019-04-22 최정호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099A (ko)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혼 가변형 쥬얼리
KR101971171B1 (ko) * 2019-01-10 2019-04-22 최정호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100973A4 (en) Visible setting
US4821533A (en) Method of setting precious stones, as well as jewelry made by this method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US6442971B1 (en) Multi-stone round center setting for diamonds and gemstones
KR100745296B1 (ko) 보석 장신구용 장식품 및 그 장식품을 포함하는 보석 장신구
US20210274897A1 (en) Combination setting for jewelry stones
KR101971171B1 (ko)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KR102419172B1 (ko) 장신구
KR102569064B1 (ko) 인비저블 보석장식 세팅방법 및 상기 세팅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비저블 보석장식
JP6209246B1 (ja) 宝飾用宝石
US20110252829A1 (en) Jewelry articles having a solitaire cut appearanc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50188721A1 (en) Combined pearl and precious gem jewelry
KR200485425Y1 (ko) 개선된 심미감과 디자인 패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신구용 체인
KR20210002069U (ko) 장신구
US20200060395A1 (en) Stringed jewelry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0036B1 (ko) 주얼리
KR200443979Y1 (ko) 고(高) 난반사 보석체를 갖는 귀금속장식구
KR102307660B1 (ko)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JP3203493U (ja) 身飾品
KR200488746Y1 (ko) 쥬얼리 장신구
KR20230002296U (ko) 보석 난집과 고정받침 판재를 사용한 보석 세팅 방법
JP2007167395A (ja) 宝石の支持構造
US20240225213A1 (en) Jewelry chain with movable alphanumeric character links
KR200451626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