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008B1 -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008B1
KR101612008B1 KR1020160008859A KR20160008859A KR101612008B1 KR 101612008 B1 KR101612008 B1 KR 101612008B1 KR 1020160008859 A KR1020160008859 A KR 1020160008859A KR 20160008859 A KR20160008859 A KR 20160008859A KR 101612008 B1 KR101612008 B1 KR 10161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manufacturing
coupling
protrus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중
김민경
Original Assignee
문병중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중, 김민경 filed Critical 문병중
Priority to KR102016000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부가 구비된 제1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와 다른 재질(다른 색상)로 형성되되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제2결합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진 후 다수의 압연롤러에 의해 수차례 압연되어 납작하게 만들어 하나로 고정된 연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은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커팅하고 양단에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 없이도 양측의 색상이 다른 목걸이줄 및 팔찌줄과 같은 연결줄의 연결편을 만드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CONNECTOR OF PERSONAL ORNAMENTS FOR HAVING DIFFERENT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종재질로 이루어져 양쪽이 다른 목걸이줄 또는 팔찌줄과 같은 연결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돌출부가 구비된 제1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와 다른 재질(다른 색상)로 형성되되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제2결합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진 후 다수의 압연롤러에 의해 수차례 압연되어 납작해진 하나의 연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을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커팅하여 양단에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 없이도 양측의 색상이 다른 목걸이줄 및 팔찌줄과 같은 연결줄의 연결편을 만드는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 제조방법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몸치장을 하는 데 쓰이는 도구. 신석기 시대의 유적에서 옥석을 갈아 만든 관옥이나 짐승뼈로 만든 목걸이 장식이 발견되며,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서 한층 더 다양해졌다. 삼국시대에는 공예기술이 고도로 발달하여 화려한 금, 은, 금동제의 장신구가 제작되어 널리 쓰이게 되었는데, 특히 신라에서는 금속 세공 기술이 크게 발달하여 가락지, 귀고리, 목걸이 등이 훌륭한 예술품을 창조해 냈다. 조선시대에도 금은, 보석류의 세공 기술이 장신구를 중심으로 발달했다. 장신구의 종류로는 관모, 과대, 노리개, 목걸이, 귀고리, 가락지, 비녀, 첩지와 떨잠, 동곳, 뒤꽂이, 주머니 등이 있으며 장도, 침통, 바늘집, 빗치개 등 실용성을 겸한 것도 있다.
이러한 것들이 여성들의 품위와 멋을 더해 오다가 개화기 후에는 향낭, 장도 등의 장신구는 점차 소멸되어 갔고 노리개는 성장할 때 사용되었다.
상기한 장신구들 중 귀금속 장신구를 제조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 방법인 로스트 왁스 주조법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데, 파라핀과 같은 용융점이 낮은 소재로 원형(原型)을 만들고, 상기 원형을 석고에 매립시켜 굳힌 뒤, 전기로에서 가열하고 액화된 파라핀본 원형을 추출하여 제거한 뒤, 파라핀이 제거된 자리에 액화된 금속을 부어 상기 원형과 형상이 같은 금속의 장신구가 형성되는 방법이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356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지 몸체에 형성된 장식홈에 장식품을 끼워 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형태의 고안이 있었지만, 용접과 같은 접합공정이 추가되는 것은 작업자의 입장에서 성가신 작업일뿐만 아니라 비용의 상승을 야기 시키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비용적인 부담으로 다가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돌출부가 구비된 제1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와 다른 재질(다른 색상)로 형성되되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제2결합체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진 후 다수의 압연롤러에 의해 수차례 압연하여 납작해지도록 고정하여 연결편을 만들어 열처리 후에,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커팅하여 양단에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 없이도 양측의 색상이 다른 목걸이줄 및 팔찌줄과 같은 장식 연결편을 만드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돌출부 및 끼움홈은 다양한 형상을 가져 보는이로 하여금 다양한 심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 사이에 외주면이 거친 다수의 고정입자를 형성하여 압연롤러를 통해 압연하여 고정입자가 제2결합체 및 제1결합체를 파고들게 함으로서 고정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결합체는 하부에 돌출구가 구비되어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3결합체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다양한 색상의 심미감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조과정을 통해 상부에 돌출부(110)가 구비된 제1결합체(100)를 제조하는 제1공정(S100); 상기 제1결합체(100)와 이종재질로 형성되되 주조과정을 통해 돌출부(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210)이 형성되는 제2결합체(200)를 제조하는 제2공정(S200); 상기 제1결합체(100)와 제2결합체(200)가 슬라이드 되면서 끼워 고정된 후 복수의 압연롤러(310) 사이를 반복적으로 통과시켜 연결편(300)을 제조하는 제3공정(S300); 상기 압연롤러(310)를 통과시켜 제조된 연결편(300)을 650℃에서 20분간 열처리하는 제4공정(S400);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110)는 더브테일형, 원형, T자형, 다각형 및 마름모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300)은 작업자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커팅된 후 양단부에 용접을 통해 호(弧)형의 연결고리(40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결합체(100)는 상면에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200)보다 단단한 재질로 구비된 다수의 고정입자(5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체(100)는 하부에 돌출구(120)가 구비되어 상부에 결합홈(610)이 형성된 제3결합체(600)와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돌출부가 구비된 제1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와 다른 재질(다른 색상)로 형성되되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제2결합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진 후 다수의 압연롤러로 수차례 압연하여 납작한 형태의 연결편이 형성된 이후 열처리 하여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며, , 상기 연결편을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커팅하고 상부 및 하부에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별도의 용접공정 없이도 양측의 색상이 다른 목걸이줄 및 팔찌줄과 같은 장식줄의 연결편을 만들 수 있어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돌출부 및 끼움홈은 더브테일, 원형, T자형, 다각형 및 마름모형으로 형성됨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형상에 따라 각기 다른 심미감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 사이에 외주면이 거친 다수의 고정입자를 형성하여 압연롤러를 통해 압연하여 고정입자가 제2결합체 및 제1결합체를 파고들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아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얻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결합체는 하부에 돌출구가 구비되어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3결합체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총3가지 색상이 구비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더욱 심미감을 가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 제조방법에 대한 단계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 및 끼움홈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이 결합되어 압연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가 커팅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연결고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제1결합체 하부에 제3결합체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정(S100), 제2공정(S200), 제3공정(S00) 및 제4공정(S40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과정을 통해 상부에 돌출부(110)가 구비된 제1결합체(100)를 제조하는 제1공정(S100); 상기 제1결합체(100)와 이종재질로 형성되되 주조과정을 통해 돌출부(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210)이 형성되는 제2결합체(200)를 제조하는 제2공정(S200); 상기 제1결합체(100)와 제2결합체(200)가 슬라이드 되면서 끼워 고정된 후 복수의 압연롤러(310) 사이를 반복적으로 통과시켜 연결편(300)을 제조하는 제3공정(S300); 상기 압연롤러(310)를 통과시켜 제조된 연결편(300)을 650℃에서 20분간 열처리하는 제4공정(S400);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조과정이라 함은 파라핀과 같은 용융점이 낮은 소재로 원형(原型)을 만들고, 상기 원형을 석고에 매립시켜 굳힌 뒤, 전기로에서 가열하고 된 파라핀본 원형을 추출하여 제거한 뒤, 파라핀이 제거된 자리에 액화된 금속을 부어 상기 원형과 형상이 같은 금속의 장신구가 형성되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에액화 의해 형성된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0)는 더브테일, 원형, T자형, 오각형, 육각형 및 마름모형과 같이 제2결합체(200)와 결합했을 때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상기 제1결합체(100) 및 제2결합체가 슬라이딩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체(100) 및 제2결합체(200)는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되 심미감을 위해 각각 색상이 다른 황금, 적금 또는 은과 같이 다양한 귀금속재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체(100) 및 제2결합체(200)의 크기가 납작해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번 이상 압연롤러(310)에 통과시켜 연결편(300)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편(300)을 650℃에서 20분간 열처리하여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견고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외부의 충격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금속 본연의 성질을 강화하는 것이며, 650℃에서 20분이 넘는 시간동안 열처리를 하게 될 경우에는 돌출부(110) 및 끼움홈(210)에 변형이 오기 때문에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300)이 열처리됨으로서 초기에는 열팽창에 의해 팽창하였다가 열이 식으면서 원래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수축되는데, 상기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연결편)의 외주면은 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내측에 있는 돌출부(110) 및 끼움홈(210)는 상대적으로 열에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표면은 많이 수축되고 내측에 돌출부 및 끼움홈은 덜 수축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상기 제1결합체(100) 및 제2결합체(200)는 초기에 길이를 20~30cm로 형성하여 상기 제4공정(S400) 이후에 1~3cm의 크기로 커팅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결합체(100) 및 제2결합체(200) 보다 경도가 높은(예를들어 금보다 경도가 높은 백금) 재질로 구비되며, 마치 설탕 또는 흙알갱이의 입자와 같이 외주면이 거친형상으로 형성되되 지름이 3~4mm 정도 되는 다수의 고정입자(500)가 형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제1결합체(100) 및 제2결합체(200)가 맞닿는 면에 고정입자(500)가 형성되어 압연롤러(300)를 통해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가 가압되어 두께가 얇아지며 고정입자가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의 접합면을 파고들게 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입자(500)가 제1결합체(100)와 제2결합체(200)가 슬라이딩방식을 통한 결합 과정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고정입자의 지름에 해당하는 3~4mm 정도의 갭(gap)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입자(500)의 제1결합체(100) 상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미량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공정(S400) 이후 연결편(300) 양측에 용접을 통해 호(弧)형의 연결고리(400)를 형성하여 다수의 연결편을 이어 팔찌줄, 발찌줄, 목걸이줄과 같이 장신구의 줄을 제조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체(100)는 하부에 돌출구(120)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200)와 이종재질로 구비되되 상부에 결합홈(610)이 형성되는 제3결합체가 슬라이드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결합체(100)의 상부에는 제2결합체(200)가, 하부에는 제3결합체(300)가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커팅되었을 때에는 3가지 색상으로 더욱 심미감을 가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결합체(100) 하면에도 고정입자(500)가 형성되어 견고한 제3결합체와의 견고한 결속을 도모한다.
이에, 상기 제3결합체와 같이 제4결합체, 제5결합체 등을 결합하여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더욱 많은 결합체를 구비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가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제1결합체 110 ... 돌출부
200 ... 제2결합체 210 ... 끼움홈
300 ... 연결편 310 ... 압연롤러
400 ... 연결고리 500 ... 고정입자
600 ... 제3결합체 610 ... 결합홈

Claims (5)

  1. 주조과정을 통해 상부에 돌출부(110)가 구비된 제1결합체(100)를 제조하는 제1공정(S100);
    상기 제1결합체(100)와 이종재질로 형성되되 주조과정을 통해 돌출부(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210)이 형성되는 제2결합체(200)를 제조하는 제2공정(S200);
    상기 제1결합체(100)와 제2결합체(200)가 슬라이드 되면서 끼워 고정된 후 복수의 압연롤러(310) 사이를 반복적으로 통과시켜 연결편(300)을 제조하는 제3공정(S300);
    상기 압연롤러(310)를 통과시켜 제조된 연결편(300)을 650℃에서 20분간 열처리하는 제4공정(S400);
    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는
    더브테일형, 원형, T자형, 다각형 및 마름모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300)은
    작업자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커팅된 후 양단부에 용접을 통해 호(弧)형의 연결고리(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체(100)는
    상면에 제1결합체 및 제2결합체(200)보다 단단한 재질로 구비된 다수의 고정입자(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체(100)는
    하부에 돌출구(120)가 구비되어 상부에 결합홈(610)이 형성된 제3결합체(600)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KR1020160008859A 2016-01-25 2016-01-25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KR10161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59A KR101612008B1 (ko) 2016-01-25 2016-01-25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59A KR101612008B1 (ko) 2016-01-25 2016-01-25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008B1 true KR101612008B1 (ko) 2016-04-12

Family

ID=5580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859A KR101612008B1 (ko) 2016-01-25 2016-01-25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85B1 (ko) * 2016-02-29 2016-10-14 (주)테라리제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순금바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27Y1 (ko) 2002-05-24 2002-10-14 박재학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KR200463445Y1 (ko) 2012-06-29 2012-11-05 오진주 분할된 몸체를 갖는 장신구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027Y1 (ko) 2002-05-24 2002-10-14 박재학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KR200463445Y1 (ko) 2012-06-29 2012-11-05 오진주 분할된 몸체를 갖는 장신구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85B1 (ko) * 2016-02-29 2016-10-14 (주)테라리제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순금바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0100319399A1 (en) Virtual whole diamond creations from plurality of stones and having homogenous table
US6006547A (en) Jewelry assembly with dropped stone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US6434805B2 (en) Method of making a heart-shaped diamond
KR101612008B1 (ko)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KR101985856B1 (ko) 마디가 분리된 것처럼 착시현상을 갖는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101290119B1 (ko) 장신구
KR101842547B1 (ko) 와이어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
KR20120000343U (ko) 귀금속 장신구 구조
JP3152795U (ja) 装身具用の貴金属製中空丸玉
KR101662485B1 (ko)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순금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2005323776A (ja) 装飾品の製造方法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US7025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dd-shaped precious stones
KR200494237Y1 (ko) 탄성이 있는 장신구
US2017003516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nament made of Precious Metal and Ornament Manufactured Thereby
EP3419471B1 (en) Fused meteorite
KR101651550B1 (ko) 사슬 비절단식 u형 연결바 채움 고정형 장식구를 갖는 체인 장신구의 제조방법
TW202200042A (zh) 珠寶組件的組裝方法及其構造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