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58Y1 -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58Y1
KR200230658Y1 KR2020010000182U KR20010000182U KR200230658Y1 KR 200230658 Y1 KR200230658 Y1 KR 200230658Y1 KR 2020010000182 U KR2020010000182 U KR 2020010000182U KR 20010000182 U KR20010000182 U KR 20010000182U KR 200230658 Y1 KR200230658 Y1 KR 200230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fixing
accessories
chain
cl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배
Original Assignee
윤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배 filed Critical 윤석배
Priority to KR2020010000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58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각각의 엘리먼트를 주물 가공법에 의하여 단일의 공정으로 제조하면서 내입된 스톤(stone)을 정확하게 안치하여 2개의 발톱으로 고정하여 스톤이 잘 보이도록 하여 장식성이 뛰어난 액세서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프레스 공법으로 엘리먼트를 형성하여 이 엘리먼트의 양단부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서로 연결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이는 엘리먼트의 제조시 스톤이 내삽되는 부분이 내부가 빈 중공상태로 개구되어 스톤의 고정시 고정작업이 까다로움은 물론 고정된 스톤이 쉽게 이탈되는 단점과, 스톤을 고정하기 위한 발톱이 엘리먼트의 각 모서리의 사방에 형성되므로 스톤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스톤(20)이 안치되는 요입부(6)와, 이 요입부(6)의 상면에 스톤(20)의 가압 고정을 위한 발톱(8)을 갖는 엘리먼트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외측면 좌우로 장신구(30)와 연결되는 절곡편(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액세서리용 연결부속.

Description

악세서리용 엘리먼트{An element for accessories}
본 고안은 장신구용 액세서리를 체인식으로 연결하기 엘리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각각의 엘리먼트 몸체를 스톤(stone)을 정확하게 안치하면서 좌우 복수개의 발톱으로 고정하여 스톤의 고정 작업이 간편함과 동시에 내입된 스톤이 보다 잘 보이도록 하여 장식성이 뛰어난 액세서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는 여성들의 미적 아름다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장신구로서 반지,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소재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종 보석 또는 순금일 것이나 이는 주지하다시피 고가(高價)이므로 최근에는 외적으로는 각종 보석 또는 순금의 질감을 가지면서 내부적으로는 저가(低價)의 재질을 사용한 이미테이션(Imitation)액세서리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중 외부적으로는 금도금을 하여 순금의 질감을 가지면서 내부적으로는 저가의 재질을 사용하여 목걸이 또는 팔찌 형태로 제작되는 일반적인 액세서리용 체인을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액세서리용 체인은, 체인을 이루기 위한 각각의 엘리먼트를 직각방향으로 서로 연결한 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각 엘리먼트를 서로 밀착시키고 이런 상태에서 프레스 또는 압연기를 통과시켜 압출 함으로써 체인을 일정한 형태로 제작함과 아울러 각각의 엘리먼트를 풀어지지 않게 하며, 이후 그 표면에 금도금을 하고 원하는 크기로 가공하여 목걸이 또는 팔찌를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을 제작함에 있어, 체인을 이루는 각각의 엘리먼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엘리먼트를 임의의 지점에서 개방되게 하여 엘리먼트를 서로 끼운 후 각각의 개방단을 브레이징 용접(은이함유된 용접재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틈새에 침투시켜 가열 용접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연결하게 되므로 각 엘리먼트의 단부를 용접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각 엘리먼트의 소재에 있어 용접이 용이한 구리(Cu) 재질을 이용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액세서리 체인 이외에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스 공법으로 엘리먼트를 형성하여 이 엘리먼트의 양단부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서로 연결하여 제조되는 액세서리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엘리먼트는 프레스 공법으로 각각의 엘리먼트를 형성하여 양 단부의 절곡을 통하여 체인식으로 연결하므로 액세서리의 제조가 간편한 장점은 있으나, 이는 엘리먼트의 제조시 스톤이 내삽되는 부분이 내부가 빈 중공상태로 개구되어 스톤의 고정시 고정작업이 까다로움은 물론 고정된 스톤이 쉽게 이탈되는 단점과, 스톤을 고정하기 위한 발톱이 엘리먼트의 각 모서리의 사방에 형성되므로 스톤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엘리먼트의 제조시에도 프레스 작업을 수회 거쳐야 엘리먼트가 형성되므로 작업 공정이 불편하고 이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과 더불어 원가상승의 주 요인이 되어 엑세서리의 가격이 전체적으로 상승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엑세서리용 엘리먼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체인 연결을 위한 각각의 엘리먼트를 주물 가공법에 의하여 단일의 공정으로 제조하면서 내입 고정된 스톤을 좌우 2개로 된 발톱을 이용하여 스톤(stone)을 고정함으로써 내입된 스톤이 보다 잘 보이도록 하여 장식성이 뛰어난 액세서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톤이 내입되는 요입부를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소정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스톤의 고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스톤의 고정후 임의로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경향이 전혀없는 액세서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먼트의 단면도.
도 3은 엘리먼트가 연결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엑세서리용 엘리먼트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몸체 4: 절곡편
6: 요입부 8: 발톱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용 엘리먼트를 도시한 것으로, 일정 깊이로 파여져 스톤(20)이 내입 고정되는 요입부(6)와 이의 상면으로 스톤(20)의 가압 고정을 위한 발톱(8)을 갖는 엘리먼트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외측면 좌우로 장신구(30)와 연결되는 절곡편(4)으로 구성되어 이의 절곡을 통하여 몸체(2)를 체인식으로 결합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이때 스톤(20)의 고정을 위한 상기 요입부(6)는 내입되는 스톤(6)의 형상이 역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내주면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내입되는 스톤(20)이 정확하게 안치되도록 한다.
또한 스톤(20)의 고정을 위한 발톱(8)은 몸체(2)의 상면 요입부(6)의 주면에 좌우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하여 이의 가압을 통하여 요입부(6)에 안전하게 안치된 스톤(20)을 고정토록 하여 2개의 발톱(8)으로도 스톤(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발톱(8)에 의하여 스톤(20)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장식성이 보다 우수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2)의 외주면 측면부에 형성되는 절곡편(4)은 하단으로 말리면서절곡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엘리먼트의 재질이 아연 재질임에도 불구하고 절곡편(4)을 손쉽게 가압 절곡할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손상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몸체(2)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엘리먼트의 가공시 주물가공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사각형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엘리먼트는 주물가공 방법에 스톤(20)이 내입 고정되는 요입부(6)와 발톱(8) 및 절곡편(4)을 일체로 하여 엘리먼트 몸체(2)를 제작하므로 그 가공이 종래의 프레스 방법에 비하여 단순화되어 비용상승의 원인을 없애 제조원가의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공된 엘리먼트 몸체(2)를 통상의 도금 방법에 의하여 도금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고, 도금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톤(20)을 요입부에 넣고 요입부(60의 상단에 형성된 발톱(8)을 좌우로 가압하여 고정하면 스톤(20)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요입부(6)의 내측면 형상과 스톤(20)의 외측면 형상이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어 있어 스톤(20)을 요입부(6)에 안치한 후 별도의 고정방법에 의하여 스톤(6)을 잡지않고 발톱(8)을 고정하면 스톤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좌우 2개의 발톱(8) 만으로도 스톤(20)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스톤(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톤(20)을 고정한 후 몸체(2)의 좌우에 형성된 절곡편(4)을 장신구에 결합하면 엘리먼트 몸체(2)를 체인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절곡편(4)은 하단으로 말려진 상태로 일체로 되어 있어 체인의 결합시 표면이 보다 깔끔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스톤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요입부에 안치된 스톤을 좌우 2개의 발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톤의 고정작업이 간편함과 동시에 스톤이 보다 잘 보이도록 하여 장식성이 뛰어난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체인식으로 연결되는 공지의 엘리먼트에 있어서, 스톤(20)이 내입 고정되는 요입부(6)와, 이 요입부(6)의 상면에 스톤(20)의 가압 고정을 위한 발톱(8)을 갖는 엘리먼트 몸체(2), 상기 몸체(2)의 외측면 좌우로 장신구(30)와 연결되는 절곡편(4)으로 구성되어 이의 절곡을 통하여 몸체(2)를 체인식으로 결합하도록 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엘리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6)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입되는 스톤(20)을 정확하게 안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엘리먼트.
KR2020010000182U 2001-01-04 2001-01-04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KR200230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82U KR200230658Y1 (ko) 2001-01-04 2001-01-04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82U KR200230658Y1 (ko) 2001-01-04 2001-01-04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658Y1 true KR200230658Y1 (ko) 2001-07-04

Family

ID=7309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182U KR200230658Y1 (ko) 2001-01-04 2001-01-04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08Y1 (ko) 2013-07-18 2013-10-11 김종순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08Y1 (ko) 2013-07-18 2013-10-11 김종순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6006547A (en) Jewelry assembly with dropped stone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JP2578167Y2 (ja) 装飾品のワイヤ
US52856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tones in jewelry
US20030101747A1 (en) Prongless gemstone setting
JP3527692B2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5361606A (en) Magnifying gem holder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KR20170011430A (ko) 보석의 반사율을 높여주는 빛 유입구와 보석 조립이 용이하도록 역마름모꼴 형태로 보석물림 홈을 구성한 보석체인용 난집
KR100929208B1 (ko)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KR102506896B1 (ko)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KR200485425Y1 (ko) 개선된 심미감과 디자인 패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신구용 체인
KR960005947B1 (ko) 장신구
KR200210879Y1 (ko)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악세사리가 고정된 장신구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2453936B1 (ko)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KR200229314Y1 (ko) 금속제 장신구 연결 구조
KR102169900B1 (ko) 귀금속 장신구용 체결구 제조방법
JPH05344905A (ja) ピアス
JP3111643U (ja) 装身用チェーン等に於ける装飾鎖素子
US5581884A (en) Method of attaching an ornamental setting to an ornament
KR101651550B1 (ko) 사슬 비절단식 u형 연결바 채움 고정형 장식구를 갖는 체인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9980072239A (ko) 링형 장신구 제작방법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