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36B1 -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36B1
KR102453936B1 KR1020220079108A KR20220079108A KR102453936B1 KR 102453936 B1 KR102453936 B1 KR 102453936B1 KR 1020220079108 A KR1020220079108 A KR 1020220079108A KR 20220079108 A KR20220079108 A KR 20220079108A KR 102453936 B1 KR102453936 B1 KR 10245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volume
pendant
forming
s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앤
Priority to KR102022007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4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ancy goods, e.g. jewell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속이 빈 입체 볼륨형 입체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기존 주물 제품 펜던트(단면 속이 꽉 채워진 펜던트) 대비 금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가볍고 저렴한 반면 강도가 우수(속빈 내부에 저중량 탄성 와이어가 충진되어 구부러짐, 휨 찌그러짐이 방지됨)하고, 구입비와 착용감이 월등하게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높으며, 특히 디자인의 입체감과 볼륨감이 확보되어 장신구로서 우수한 심미감(뚜렷한 시인성과 착용에 따른 선명한 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앞뒤 장식면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접합 가공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펜던트에서 복수의 디자인이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홈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입체 디자인(펜던트)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A three-dimensional pendant manufacturing method with a sense of volume}
본 발명은 속이 빈 입체 볼륨형 입체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기존 주물 제품 펜던트(단면 속이 꽉 채워진 펜던트) 대비 금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가볍고 저렴한 반면 강도가 우수(하고, 구입비와 착용감이 월등하게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높으며, 특히 디자인의 입체감과 볼륨감이 확보되어 장신구로서 우수한 심미감(뚜렷한 시인성과 착용에 따른 선명한 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앞뒤 장식면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접합 가공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펜던트에서 복수의 디자인이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홈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입체 디자인(펜던트)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펜던트(pendent)는 보통 목걸이(귀걸이, 팔찌 등의 장식에도 사용됨)에 체결되어 장신구의 외관을 돋보이게 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종래의 펜던트는 통상 주물방식이나 압연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단순히 외부면에 보석을 결합하거나 문양을 새김으로서 그 디자인이 종료되는 것으로, 보통 납작한 판상의 메달형이거나 동전 형태의 코인 디자인으로 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물방식의 펜던트는 메달 전체가 주물액으로 꽉찬 귀금속 소재로 모두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는 단면이 모두 채워진 상태로 생산되어 높은 중량으로 인해 가격이 비싸지게 되고 무거워짐으로서 착용성이 떨어지며 동시에 구입에 따른 부담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전 주물방식 또는 압연 방식의 펜던트는 내부가 꽉 찬 무거운 중량 형태가 되어 중량 대비 크기를 작게 제조할 수 밖에 없게 되거나 입체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다양한 디자인 연출에 대한 한계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88439호(2019.01.2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속이 빈 입체 볼륨형 입체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기존 주물 제품 펜던트(단면 속이 꽉 채워진 펜던트) 대비 금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가볍고 저렴한 반면 강도가 우수하고, 구입비와 착용감이 월등하게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높으며, 특히 디자인의 입체감과 볼륨감이 확보되어 장신구로서 우수한 심미감(뚜렷한 시인성과 착용에 따른 선명한 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앞뒤 장식면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접합 가공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펜던트에서 복수의 디자인이 연출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홈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입체 디자인(펜던트)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하프 장식 내부(속빈 내부)에 저중량 탄성 와이어가 수납되면서 볼륨 펜던트의 내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바, 이는 외력에 의한 펜던트의 구부러짐, 휨 찌그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프 장식 일측에 체인 연결용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어 별도의 땜 접합 작업 없이 프레스 가공시 즉시 성형되도록 형성되어 작업 정밀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정된 성형홈(110: 주문 디자인 문양 또는 도형)이 성형틀(100)의 면상에 가공되도록 하되, 상기 성형홈(110)은 오목한 반구 형태 또는 불특정 기하곡면의 요홈으로 식각되도록 형성되고, 준비된 성형홈(110)의 상면에는 성형홈(110)과 외형이 대응되는 프레스(200)가 직하방향으로 업다운되도록 구비되어 성형홈(110) 상면으로 진입한 원재료 시트(300)를 가압하면 원재료 시트(300) 면상에 성형홈(110)과 대응되는 입체 볼륨면(310)이 가공되도록 하는 성형단계(S100)와; 가압 성형이 완료된 입체 볼륨면(310)의 상면에는 입체 볼륨면(310)의 외형보다 소폭 넓은 직경의 커팅날(400)이 구비되어 상하향 승강하면서 입체 볼륨면(310)의 외주 절취면(311: 입체 볼륨면의 외주면에는 접합용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절삭_테두리에 대한 절삭시에는 커팅날 저면에 레이져 포인트가 형성되어 얼라인 기준점을 기준으로 커팅날이 커팅하도록 형성)을 절단하여 하프 장식(500)을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단계(S200)와; 절단 분리된 하프 장식(500)은 2개 한 쌍이 되도록 준비한 뒤 하프 장식(500)의 개구부 측이 서로 대칭되도록 밀착되면 상호 맞닿은 면을 부착시키도록 하는 접합단계(S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성형단계(S100)는 이종 재질의 원재료 시트(300)가 사용(하프 장식으로의 접합단계시 서로 다른 장식면이 구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팅단계(S200)는 접합용 테두리(31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접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성형단계(S100)에서 프레스(200)는 일측에 연결고리 성형용 펀치부(220)가 더 형성되어 성형단계에서 연결고리(510)가 하프 장식(500)의 일면에 동시에 일체로 가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성형단계(S100)는 프레스의 일면에 돌기날이 더 형성되어 원재료 시트의 면상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관통공에는 접합단계시 보석 또는 보조 장식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합단계(S300)는 하프 장식 내부에 밴드형 또는 선재형 탄성 와이어(U자형 또는 원형)가 복수의 하프 장식 내부를 상호 지지할 수 있도록 수납되어 볼륨 펜던트 완성시 외력에 의한 입체 볼륨면의 찌그러짐, 구부러짐, 눌림, 휨 현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주물 제품 펜던트(단면 속이 꽉 채워진 펜던트) 대비 금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가볍고 저렴한 반면 강도가 우수하고, 구입비와 착용감이 월등하게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높으며, 특히 디자인의 입체감과 볼륨감이 확보되어 장신구로서 우수한 심미감(뚜렷한 시인성과 착용에 따른 선명한 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앞뒤 장식면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접합 가공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펜던트에서 복수의 디자인이 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홈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입체 디자인(펜던트)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하프 장식 내부(속빈 내부)에 저중량 탄성 와이어가 수납되면서 볼륨 펜던트의 내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바, 이는 외력에 의한 펜던트의 구부러짐, 휨 찌그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프 장식 일측에 체인 연결용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어 별도의 땜 접합 작업 없이 프레스 가공시 즉시 성형되도록 형성되어 작업 정밀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의 제작순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와이어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단계(S100), 커팅단계(S200), 접합단계(S3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성형단계(S100)는 설정된 성형홈(110: 주문 디자인 문양 또는 도형)이 성형틀(100)의 면상에 가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홈(110)은 오목한 반구 형태 또는 불특정 기하곡면의 요홈으로 식각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성형홈은 동그란 원형의 반구, 다각형, 기하곡면 디자인 또는 하트나 별 모양, 사람모양, 눈사람, 인형 모양 등 다양하게 설계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준비된 성형홈(110)의 상면에는 성형홈(110)과 외형이 대응되는 프레스(200)가 직하방향으로 업다운되도록 구비되어 성형홈(110) 상면으로 진입한 원재료 시트(300)를 가압하면 원재료 시트(300) 면상에 성형홈(110)과 대응되는 입체 볼륨면(310)이 가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재료 시트는 순금, 합금, 백금, 핑크골드 등 다양한 재료로 가변 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단계(S100)는 이종 재질의 원재료 시트(300)가 사용(하프 장식으로의 접합단계시 서로 다른 장식면이 구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레스(200)는 일측단에 연결고리 성형용 펀치부(220)가 더 형성되어 성형단계에서 프레싱이 수행되면 하프 장식(500)의 일면에 연결고리(510)가 동시에 일체로 가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팅단계(S200)는 가압 성형이 완료된 입체 볼륨면(310)의 상면에는 입체 볼륨면(310)의 외형보다 소폭 넓은 직경의 커팅날(400)이 구비되어 상하향 승강하면서 입체 볼륨면(310)의 외주 절취면(311)을 절단하여 하프 장식(500)을 분리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체 볼륨면의 외주면에는 접합용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절삭하게 된다.
이에, 접합용 테두리에 대한 절삭시에는 커팅날 저면에 레이져 포인트가 형성되어 얼라인 기준점을 기준으로 커팅날이 커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팅단계(S200)는 접합용 테두리(31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접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합단계(S300)는 절단 분리된 하프 장식(500)은 2개 한 쌍이 되도록 준비한 뒤 하프 장식(500)의 개구부 측이 서로 대칭되도록 밀착되면 상호 맞닿은 면을 부착시키도록 형성된다.
삭제
아울러, 상기 펜던트 제조방법은 별도의 고리연결 완성단계(S400)가 더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고리연결 완성단계(S400)에서 연결고리(510)는 성형단계에서 프레스에 의해 하프 장식의 일단에 일체로 성형되는 바, 서로 대칭되는 측(반대측) 연결고리와 밀착된 면이 서로 접합되도록 땜 접합하여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성형단계(S100)는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프레스의 일면에 돌기날(210)이 더 형성되어 원재료 시트의 면상에 관통공(313)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관통공에는 접합단계시 보석 또는 보조 장식구(3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석 또는 보조 장식구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바깥으로 장식이 보여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보석 또는 보조 장식구는 관통공 내주연에 난집에 의해 고정되거나 접합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합단계(S300)는 부가적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장식 내부에 밴드형 또는 선재형 탄성 와이어(800: U자형 또는 원형)가 복수의 하프 장식 내부를 상호 지지할 수 있도록 수납되어 볼륨 펜던트 완성시 외력에 의한 입체 볼륨면의 찌그러짐, 구부러짐, 눌림, 휨 현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 와이어는 하나의 가닥이 유선형으로 말려 있는 형태이거나 원형의 링 형태로 말려 있는 형태로서, 복수의 하프 장식이 접합된 내부 공간 안쪽에서 충진재 형태로 삽입되어 내부에서 바깥측을 향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와이어(8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볼 형태로 형성되어 0.1~0.3mm 정도의 얇은 나일론 선재(810)가 중심축 고정볼을 기준으로 방사 형태로 무작위하게 뻗어나간 형태로서 고슴도치 또는 공모양의 수세미 형태로 형성(동그란 원형)되어 탄성력이 어느 한곳에만 집중되지 않고 내주면에 대하여 균등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 탄성볼 형태의 탄성 와이어는 나일론 선재 중 일부 선재의 단부 및 선상에는 동일 소재의 돌기공(820)이 형성되어 탄성 지지력이 더 배가되면서 하프 장식의 입체 볼륨면을 더욱도 강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100 ... 성형단계 S200 ... 커팅단계
S300 ... 접합단계 S310 ... 밴딩단계
S400 ... 고리연결 완성단계
100 ... 성형틀 110 ... 성형홈
200 ... 프레스 210 ... 돌기날
220 ... 펀치부 300 ... 원재료 시트
310 ... 입체 볼륨면 311 ... 절취면
312 ... 접합용 테두리 313 ... 관통공
314 ... 보석 또는 보조 장식구
400 ... 커팅날 500 ... 하프 장식
510 ... 연결고리 600 ... 볼륨 펜던트
800 ... 탄성 와이어

Claims (5)

  1. 설정된 성형홈(110)이 성형틀(100)의 면상에 가공되도록 하되, 상기 성형홈(110)은 오목한 반구 형태 또는 불특정 기하곡면의 요홈으로 식각되도록 형성되고, 준비된 성형홈(110)의 상면에는 성형홈(110)과 외형이 대응되는 프레스(200)가 직하방향으로 업다운되도록 구비되어 성형홈(110) 상면으로 진입한 원재료 시트(300)를 가압하면 원재료 시트(300) 면상에 성형홈(110)과 대응되는 입체 볼륨면(310)이 가공되도록 하는 성형단계(S100)와; 가압 성형이 완료된 입체 볼륨면(310)의 상면에는 입체 볼륨면(310)의 외형보다 소폭 넓은 직경의 커팅날(400)이 구비되어 상하향 승강하면서 입체 볼륨면(310)의 외주 절취면(311)을 절단하여 하프 장식(500)을 분리시키도록 하는 커팅단계(S200)와; 절단 분리된 하프 장식(500)은 2개 한 쌍이 준비되도록 한 뒤 하프 장식(500)의 개구부 측이 서로 대칭되도록 밀착되면 상호 맞닿은 면을 부착시키도록 하는 접합단계(S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S100)에서 프레스(200)는 일측에 연결고리 성형용 펀치부(220)가 더 형성되어 성형단계에서 연결고리(510)가 하프 장식(500)의 일면에 동시에 일체로 가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S100)는 이종 재질의 원재료 시트(300)가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단계(S200)는 접합용 테두리(31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9108A 2022-06-28 2022-06-28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KR10245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108A KR102453936B1 (ko) 2022-06-28 2022-06-28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108A KR102453936B1 (ko) 2022-06-28 2022-06-28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936B1 true KR102453936B1 (ko) 2022-10-12

Family

ID=8359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108A KR102453936B1 (ko) 2022-06-28 2022-06-28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39Y1 (ko) 2018-01-11 2019-04-17 (주)우림에프엠지 액세서리용 펜던트
KR102069057B1 (ko) * 2018-12-05 2020-01-22 최승희 제작단가가 절감되면서 볼륨감이 있는 펜던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39Y1 (ko) 2018-01-11 2019-04-17 (주)우림에프엠지 액세서리용 펜던트
KR102069057B1 (ko) * 2018-12-05 2020-01-22 최승희 제작단가가 절감되면서 볼륨감이 있는 펜던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0090038339A1 (en) Structure bonding different metals for valuable ornaments
US20080289363A1 (en) Selectable component jewelry system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EP0329733B1 (en) Costume jewelry
KR102453936B1 (ko)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KR102069057B1 (ko) 제작단가가 절감되면서 볼륨감이 있는 펜던트 제조방법
KR102359670B1 (ko) 저중량 대비 입체 볼륨감 상승 구조와 다표현 연출 구조의 세팅이 가능한 멀티 할로우 장식 제조방법
KR100929208B1 (ko)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KR102506896B1 (ko)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US1101989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nament made of precious metal and ornament manufactured thereby
KR102205758B1 (ko) 사각 단면과 코일 권선형 구조를 갖는 고탄성 장신구 링 제조방법
CN218978214U (zh) 一种晃动的首饰
KR101638181B1 (ko) 형틀을 이용한 줄난 성형방법 및 줄난장신구
CN211241972U (zh) 一种镂空珠宝饰品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KR102352675B1 (ko) 코어 연속 이음 연결식 구조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용 장식구
JP3152795U (ja) 装身具用の貴金属製中空丸玉
KR200382498Y1 (ko) 장신구용 장신부재
KR200363083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90011613A (ko) 코디 귀걸이
KR101651550B1 (ko) 사슬 비절단식 u형 연결바 채움 고정형 장식구를 갖는 체인 장신구의 제조방법
CN114601239A (zh) 一种内嵌卡扣的手镯及其制备方法
KR101615718B1 (ko)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