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718B1 -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718B1
KR101615718B1 KR1020150095502A KR20150095502A KR101615718B1 KR 101615718 B1 KR101615718 B1 KR 101615718B1 KR 1020150095502 A KR1020150095502 A KR 1020150095502A KR 20150095502 A KR20150095502 A KR 20150095502A KR 101615718 B1 KR101615718 B1 KR 10161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wire
head portion
accessor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102015009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718B1/ko
Priority to PCT/KR2016/006993 priority patent/WO20170071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1 고정금형; 상기 제1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와이어의 단면적이 복수 개로 방사상 펼쳐지며 나누어지게 전연되어 헤드부가 되도록 하는 제1 가동금형; 상기 제1 가동금형에서 가압 전연되어 헤드부를 갖게 된 와이어를 고정하며,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가압시 헤드부의 배면이 안착되는 함몰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금형; 및 상기 함몰 안착부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와이어의 헤드부를 향한 가압에 의해 상기 함몰 안착부와 함께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절곡 되게 하는 돌출 가압부가 형성된 제2 가동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보석류를 고정하는 장신구의 금속 재료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공정이 단순해져 공정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용이해지며, 금속재료의 손실분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 MOLD FOR MANUFACTURING APPARATUS OF ACCESSORIES,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CCESSORIES MADE BY THE SAME }
본 발명은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금형에 고정된 와이어에 대한 가동금형의 가압조작에 의해 와이어에 헤드부를 형성하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액세서리는 착용자의 신체나 의류 등에 탈부착되어 착용자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는 것으로서, 아주 오랜 옛날부터 동서고금을 통틀어 다양하게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다.
액세서리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는 보석류로 장식되는 것들이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03427호(2012년11월15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액세서리는 단순히 보석류를 고정하기 위해 너무 많은 재료의 귀금속 장신구를 사용해야하고, 공정 수가 증가 되며 작업단계가 복잡하여 대량생산이 곤란하고, 금속 재료의 손실분이 증가 됨과 동시에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원가가 상승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액세서리는 필요에 따라서 티타늄과 스테인리스강 등과 같은 이종(異種)의 금속 재료 간에 용접 등과 같은 접합 공정도 필요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접합 작업 또한 쉽게 이뤄지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03427호(2012년11월15일자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보석류를 고정하는 장신구의 금속 재료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공정이 단순해져 공정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용이 해지며, 금속재료의 손실분이 최소화되도록 하므로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의 금속 재료 간에 용접 등과 같은 접합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1 고정금형; 상기 제1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와이어의 단면적이 복수 개로 방사상 펼쳐지며 나누어지게 전연되어 헤드부가 되도록 하는 제1 가동금형; 상기 제1 가동금형에서 가압 전연되어 헤드부를 갖게 된 와이어를 고정하되,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가압시 헤드부의 배면이 안착되는 함몰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금형; 및 상기 함몰 안착부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와이어의 헤드부를 향한 가압에 의해 상기 함몰 안착부와 함께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절곡되게 하는 돌출 가압부가 형성된 제2 가동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고정금형 및 상기 제1 가동금형이 상호 마주보는 각각의 선단부는 편평하게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와이어의 헤드부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금형에는 돌출 가압부가 와이어의 헤드부를 가압할 때 헤드부의 중심에 보석 안착 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홈 형성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릴에서 풀려나는 와이어를 커터로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와이어를 제1 가동금형이 고정한 후 가압핀이 와이어를 제1 고정금형의 삽입공으로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동금형으로 제1 고정금형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의 선단 노출부를 가압하여 단면적이 복수 개로 방사상 펼쳐지며 나누어진 형상이 되도록 하여 헤드부를 만드는 단계; 상기 헤드부가 형성된 와이어를 제2 고정금형에 고정한 후, 제2 고정금형의 함몰 안착부와 대응되는 돌출 가압부가 형성된 제2 가동금형으로 와이어의 헤드부를 가압하여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헤드부의 안으로 보석을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헤드부의 살을 절곡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석을 끼워넣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제2 가동금형의 홈 형성핀으로 상기 헤드부의 중심에 보석 안착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 일측의 단면적이 복수의 살로 나누어져 방사상 펼쳐지되, 복수의 살들은 상호 대칭되며 오므라지게 연장된 헤드부; 및, 상기 와이어의 타측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 몸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에 의하면, 보석류를 고정하는 장신구의 금속 재료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공정이 단순해져 공정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용이 해지며, 금속재료의 손실분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에 의하면, 이종(異種)의 금속 재료 간에 용접 등과 같은 접합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액세서리가 제작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의 제1 가동금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한 액세서리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제작된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금형(100)과, 제1 가동금형(200)과, 제2 고정금형(300)과, 제2 가동금형(400)을 포함한다.
제1 고정금형(100)에는 릴(1)에서 풀려나며 커터(20)에 의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5)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110)이 형성된다.
제1 가동금형(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금형(10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5)를 가압하여 와이어(5)의 단면적이 복수 개로 방사상 수평으로 펼쳐지며 복수의 가느다란 살(13)로 나누어지게 전연(展延)되어 소성변형에 의해 헤드부(11)가 되도록 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금형(100) 및 제1 가동금형(200)이 상호 마주보는 각각의 선단부는 편평하게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와이어(5)의 소성변형되는 헤드부(11)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부(2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부(210)는 제1 가동금형(20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음각부(210)는 제1 고정금형(100)의 선단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5)의 단면적이 복수 개로 n등분(예컨대, 2, 3, 4, 5, 6, 8, 12,...)되어 보석을 감싸며 고정하는 헤드부(11)의 가는 살(13)들이 간편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나중에 보석이 헤드부(11)에 장착되면 보석을 통해 통과되거나 산란 또는 반사되는 빛이 n등분된 가는 살(13)들의 사이로 입사되기 때문에 보석의 화려함이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종래의 프레스 절취 등에 의하지 않고 가압 전연 방식으로 헤드부(11)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와이어(5)를 이루는 금속 재질의 손실분이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금형(200)의 중심축선 상에는 통공(201)이 관통 형성되고, 이 통공(201) 내에는 제1 고정금형(100)의 삽입공(110)으로 와이어(5)를 밀어넣기 위한 가압핀(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압핀(220)은 제1 가동금형(200)의 통공(201) 내외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고정금형(300)은 제1 가동금형(200)에서 가압 전연되어 헤드부(11)를 갖게 된 와이어(5)를 고정하되, 헤드부(11)의 각각의 살(13)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가압시 헤드부(11)의 배면이 구부러짐 없이 안착되는 함몰 안착부(310)가 형성된다.
한편, 제2 가동금형(400)은 함몰 안착부(310)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와이어(5)의 헤드부(11)를 향한 가압에 의해 함몰 안착부(310)와 함께 헤드부(11)의 각각의 살(13)이 상호 대칭되게 만곡(彎曲)됨이 없이 오므라지도록 절곡 되게 하는 돌출 가압부(41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가동금형(400)이 제2 고정금형(300)에 고정된 와이어(5)의 헤드부(11)를 향해 가압 이동됨으로써 헤드부(11)의 각 살(13)들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형태로 구부러짐 없이 간편하게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금형(300)의 함몰 안착부(310)에 대한 제2 가동금형(400)의 돌출 가압부(410)의 가압에 의해 헤드부(11)의 살(13)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각 살(13)들의 단부 또한 절곡되도록 하여 보석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함몰 안착부(310)는 제2 고정금형(300)의 측 단면상으로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되 양단부는 제2 고정금형(300)의 선단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한번 더 절곡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동금형(400)에는 돌출 가압부(410)가 와이어(5)의 헤드부(11)를 가압할 때 헤드부(11)의 중심에 보석 안착 홈(15)이 형성되도록 하는 홈 형성핀(42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부(11)에 보석을 끼워넣을 때에 보석의 뾰족한 단부가 홈 형성핀(420)에 맞춰져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보석의 장착이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형성핀(420)은 제2 가동금형(400)의 돌출 가압부(410)의 중앙에 형성된 출몰공에 내장되어 제2 가동금형(400)의 가압 이동과는 별도로 출몰되어 헤드부(11)의 내측 중심을 가압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홈 형성핀(420)은 제2 가동금형(400)의 최 선단 중앙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제2 가동금형(400)이 헤드부(11)를 가압함에 따라 함께 헤드부(11)의 중심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가공되는 와이어(5)는 티타늄 재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0708892호(2007.04.11 등록)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옷 등에 꽂는 부분은 티타늄 재질로 마련되고 보석을 받치는 부분은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마련되어 이 두 부분을 용접 등으로 접합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접합 공정이 어려운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티타늄 재질의 와이어(5)로 몸통부(17)와 헤드부(11)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불필요한 용접 접합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석류를 고정하는 장신구의 금속 재료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공정이 단순해져 공정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용이해지며, 금속재료의 손실분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액세서리(10)가 제조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릴(1)에서 풀려나는 직경 0.8 ~ 2 mm 내외의 가는 와이어(5)를 커터(20)로 일정길이로 절단한다(S10).
다음으로, 절단된 와이어(5)를 제1 가동금형(200)이 고정(grip)한 후 제1 가동금형(200)의 통공(201) 내에 마련된 가압핀(220)이 외부로 돌출되면서 와이어(5)를 제1 고정금형(100)의 삽입공(110)으로 삽입시킨다(S20). 이 때, 와이어(5)는 제1 고정금형(100)의 삽입공(110) 후단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삽입된다.
단계 S20 이후에는, 가압핀(220)이 원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제1 가동금형(200)이 제1 고정금형(100)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5)의 선단 노출부를 가압하여 음각부(210)에 의해 단면적이 복수 개로 방사상 수평으로 펼쳐지며 나누어진 살(13)들로 형성되도록 하여 헤드부(11)를 만든다(S30). 이는 종래의 프레스로 헤드부의 가장자리를 절취하는 단계를 대체하여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헤드부(1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30 이후에, 헤드부(11)가 형성된 와이어(5)를 제2 고정금형(300)에 고정한 후, 제2 고정금형(300)의 함몰 안착부(310)와 대응되는 돌출 가압부(410)가 형성된 제2 가동금형(400)으로 와이어(5)의 헤드부(11)를 가압하여 헤드부(11)의 각각의 살(13)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절곡시킨다(S40).
단계 S40 이후에 마지막으로, 헤드부(11)의 안으로 보석을 끼워넣는다(S60). 이에 따라, 티타늄과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이종(異種)의 금속 재료 간에 용접 등과 같은 접합 공정이 별도로 필요없이 하나의 티타늄 재질로 된 와이어(5) 만으로도 보석이 결합 되어 사용되는 액세서리(10)가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S40과 단계 S60의 사이에는 제2 가동금형(400)의 홈 형성핀(420)으로 헤드부(11)의 중심에 보석 안착 홈(15)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제작된 액세서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5) 일측의 단면적이 복수의 살로 나누어져 방사상 펼쳐지되 복수의 살(13)들은 상호 대칭되며 오므라지게 연장된 헤드부(11)와, 와이어(5)의 타측을 포함하며 헤드부(11)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 몸통부(17)를 포함한다.
이로써, 티타늄과 같은 하나의 재질로 된 와이어(5)가 옷 등에 꽂아지는 몸통부(17)와 보석을 받치는 헤드부(11)로 일체로 성형 되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소모량이 절감될 수 있고, 이종 재료 간의 접합 공정이 생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석을 통해 통과되거나 산란 또는 반사되는 빛이 n등분된 가느다란 살(13)들의 사이로 입사되기 때문에 보석의 화려함이 더욱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액세서리는 옷 등에 꽂아 사용될 수 있으며, 반지와, 팔찌, 목걸이, 귀걸이, 펜던트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제1 고정금형 110 : 삽입공
200 : 제1 가동금형 210 : 음각부
300 : 제2 고정금형 310 : 함몰 안착부
400 : 제2 가동금형 410 : 돌출 가압부
420 : 홈 형성핀

Claims (6)

  1. 일정길이로 절단된, 티타늄 재질의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1 고정금형;
    상기 제1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와이어의 단면적이 복수 개로 방사상 펼쳐지며 나누어지게 전연되어 헤드부가 되도록 하는 제1 가동금형;
    상기 제1 가동금형에서 가압 전연되어 헤드부를 갖게 된 와이어를 고정하되,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보석을 감싸며 고정하기 위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가압시 헤드부의 배면이 안착되는 함몰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금형; 및
    상기 함몰 안착부와 함께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절곡되게 하는 돌출 가압부가 형성된 제2 가동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함몰 안착부는 상기 제2 고정금형의 측 단면상으로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함몰 안착부에서 상기 제2 가동금형을 향한 단부는 상기 제2 고정금형의 선단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금형 및 상기 제1 가동금형이 상호 마주보는 각각의 선단부는 편평하게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는 와이어의 헤드부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금형에는, 상기 돌출 가압부가 와이어의 헤드부를 가압할 때 헤드부의 중심에 보석 안착 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홈 형성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4. 릴에서 풀려나는, 티타늄 재질의 와이어를 커터로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와이어를 제1 가동금형이 고정한 후 가압핀이 와이어를 제1 고정금형의 삽입공으로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가동금형으로 제1 고정금형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의 선단 노출부를 가압하여 단면적이 복수 개로 방사상 펼쳐지며 나누어진 형상이 되도록 하여 헤드부를 만드는 단계;
    상기 헤드부가 형성된 와이어를 제2 고정금형에 고정한 후, 제2 고정금형의 함몰 안착부와 대응되는 돌출 가압부가 형성된 제2 가동금형으로 와이어의 헤드부를 가압하여 헤드부의 각각의 살이 보석을 감싸며 고정하기 위해 상호 대칭되게 오므라지도록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헤드부의 안으로 보석을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함몰 안착부는 상기 제2 고정금형의 측 단면상으로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함몰 안착부에서 상기 제2 가동금형을 향한 단부는 상기 제2 고정금형의 선단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살을 절곡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석을 끼워넣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제2 가동금형의 홈 형성핀으로 상기 헤드부의 중심에 보석 안착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50095502A 2015-07-03 2015-07-03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KR10161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02A KR101615718B1 (ko) 2015-07-03 2015-07-03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PCT/KR2016/006993 WO2017007170A1 (ko) 2015-07-03 2016-06-30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02A KR101615718B1 (ko) 2015-07-03 2015-07-03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718B1 true KR101615718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502A KR101615718B1 (ko) 2015-07-03 2015-07-03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5718B1 (ko)
WO (1) WO20170071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317A (ja) 1999-10-24 2001-05-08 Maruyama:Kk 装身具及びその製法
KR101203427B1 (ko) 2011-01-07 2012-11-21 문종현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589A (ko) * 2000-06-24 2002-01-05 원종하 액세서리의 핀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KR100708892B1 (ko) * 2005-08-16 2007-04-17 이재영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KR20140096710A (ko) * 2013-01-29 2014-08-06 김인수 장신구 및 장신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317A (ja) 1999-10-24 2001-05-08 Maruyama:Kk 装身具及びその製法
KR101203427B1 (ko) 2011-01-07 2012-11-21 문종현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170A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963B2 (ja) 金属プレート切り抜き品に押圧接触されたライニングを備える装飾用ファッション宝飾品
EP2522242A2 (en) Decorative clip assembly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CN111134430A (zh) 珍贵宝石的镶嵌底座
KR101615718B1 (ko)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KR100271609B1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JP3143250U (ja) 宝石保持具
KR102153868B1 (ko)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US8881403B2 (en) Process for producing openable photograph holders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200295868Y1 (ko) 장신구의 보석 고정구조
KR101910929B1 (ko) 볼륨 장신구 제조 방법
JP2004337354A (ja) 装飾具及びその固定方法
KR101871401B1 (ko) 장신구
JP2008029414A (ja) 宝石用台座およびこの台座への宝石の取付方法
KR101638181B1 (ko) 형틀을 이용한 줄난 성형방법 및 줄난장신구
JP2008061759A (ja) 割れやすい素材を使用したボタン及びその製法
JP2022170220A (ja) イヤーカフ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3936B1 (ko) 볼륨감을 갖는 입체 펜던트 제조방법
US20080041100A1 (en) Method for adding adornments to metal jewelry
RU217825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ювелирного изделия
KR101558989B1 (ko) 귀금속용 악세사리의 보석체 고정구조.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