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868B1 -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868B1
KR102153868B1 KR1020190036798A KR20190036798A KR102153868B1 KR 102153868 B1 KR102153868 B1 KR 102153868B1 KR 1020190036798 A KR1020190036798 A KR 1020190036798A KR 20190036798 A KR20190036798 A KR 20190036798A KR 102153868 B1 KR102153868 B1 KR 10215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arring
connecting ring
integrally mold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민
Original Assignee
임효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민 filed Critical 임효민
Priority to KR102019003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 또는 피어싱 액세서리에 있어서, 귓불이나 피부를 관통한 고정핀에 대하여 고정과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만곡부를 형성하고, 만곡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핀 고정부를 일체로 절단하여 핀 고정부를 별도의 성형 공정을 통해 말아줌에 따라 제작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장식구나 분실 방지 사슬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장식구 결합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장식구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를 별도로 용접할 필요 없이 한 번에 성형 가능하여 무게는 경량화 하고 강도는 높일 수 있으며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는, 판 형태의 소재 가압 성형하여 전체적으로 환홈 형태를 이루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귀걸이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홀과, 상기 핀 삽입홀의 양측으로 롤 형태로 말아지게 구비되어 상기 핀 삽입홀로 관통되어 삽입된 귀걸이 핀의 외측을 탄성에 의해 감싸면서 지지하는 핀 고정부 및 상기 만곡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리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별도의 장식구를 결합할 수 있는 연결 고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arring fixtures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is integrally molded}
본 발명은 귀걸이 또는 피어싱 액세서리에 있어서, 귓불이나 피부를 관통한 고정핀에 대하여 고정과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만곡부를 형성하고, 만곡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핀 고정부를 일체로 절단하여 핀 고정부를 별도의 성형 공정을 통해 말아줌에 따라 제작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장식구나 분실 방지 사슬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장식구 결합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장식구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를 별도로 용접할 필요 없이 한 번에 성형 가능하여 무게는 경량화 하고 강도는 높일 수 있으며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신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장신구가 사용되고 있고, 그 일예로 피부를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피어싱 액세서리(piercing accessories)가 있다.
이러한 피어싱 장신구는 통상적으로 피어싱 샤프트가 있으며, 피어싱 샤프트의 일측에는 피부를 관통하고 돌출되는 피어싱 샤프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한 볼트탭과 너트 고정캡으로 이루어지거나 장신구의 일측에 구멍이 형성된 장식을 설치하고, 이 장식에 형성된 구멍에 신체에 관통된 구멍을 통과한 바벨(barbell)을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핀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관통된 캡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 내측으로 텝이 형성되거나, 핀의 외측을 잡아주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핀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보통 별도의 장식구를 결합할 수 없이 단순한 고정수단으로만 사용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실용신안 20-0407534 고정구 일체형 귀걸이)에서는 고정구에 링 형태의 연결구를 구비하여 귀걸이의 장식구 부분과 체인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고정구를 제작한 후 링 형태의 연결구를 별도로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추가되고, 그 강도가 높지 않아 체인의 하중에 의해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연결구 부위가 벌어지면서 체인이 빠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실용신안 20-0407534 고정구 일체형 귀걸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판재를 가공하고자 하는 크기로 가공하고, 가공된 판재를 프레스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다단계에 거쳐 순차적으로 만곡부 성형, 고정홈 형성, 타공 및 절단 성형하여 무게는 최소화 하면서 만곡부에 의한 강도가 보장되고, 성형 과정에서 별도의 장식구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고리를 일체로 성형하여 연결 고리를 별도로 용접하는 등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결 고리가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연결 고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및 이의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판 형태의 소재(M)를 가압 성형하여 전체적으로 환홈 형태를 이루는 만곡부(10);
상기 만곡부(1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귀걸이 핀(P)이 삽입되는 핀 삽입홀(20); 상기 핀 삽입홀(20)의 양측으로 롤 형태로 말아지게 구비되어 상기 핀 삽입홀(20)로 관통되어 삽입된 귀걸이 핀(P)의 외측을 탄성에 의해 감싸면서 지지하는 핀 고정부(30); 및 상기 만곡부(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리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별도의 장식구를 결합할 수 있는 연결 고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핀 고정부(30)에는 귀걸이 핀(P)이 삽입되는 경로를 따라 귀걸이 핀(P)의 외측을 감싸는 핀 고정홈(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귀금속 원자재를 압연하거나 압착하여 판재 형상의 소재(M)로 가공하는 판재 가공 단계(S10);와,
가공된 소재(M)에 강도를 높이기 위한 만곡부를 성형하는 만곡부 성형 단계(S20);와,
귀걸이 핀(P)의 외측을 감싸며 지지하는 핀 고정홈(31)을 성형하는 핀 고정홈 성형 단계(S30);와,
귀걸이 핀(P)이 삽입되며 끼워지는 핀 삽입홀(20)과 연결 고리(40)의 중앙 부분을 타공하는 타공 단계(S40);와,
성형 및 타공 완료된 제품을 절단하여 소재(M)에서 분리하는 절단 단계(S50); 및 절단된 소재의 핀 고정부(30) 부위를 안쪽으로 말아지게 성형하는 핀 고정부 성형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및 이의 제조 방법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귀걸이 고정구에 별도의 장식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결 고리를 별도로 용접하거나 결합할 필요 없이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연결 고리가 일체로 이루어져 연결 고리에 부착되는 장식물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에 귀걸이 핀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연결 고리가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장식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 고리를 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서 별도로 연결 고리를 용접하거나 부착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 없이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성형 과정에서 귀걸이 핀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핀 고정홈을 함께 성형하여 제작함에 따라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에 귀걸이 핀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는, 판재를 환홈 형태로 성형하여 중량을 최소화 하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만곡부(10)와, 상기 만곡부(1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귀걸이 핀(P)이 삽입되는 핀 삽입홀(20)과, 상기 핀 삽입홀(20)의 뒤쪽에 구비되어 귀걸이 핀(P)이 상기 핀 삽입홀(20)로 끼워지면 귀걸이 핀(P)의 외측을 고정 지지하는 핀 고정부(30) 및 상기 만곡부(10)의 하부에 일체로 성형 구비되어 별도의 장식구나 장신구를 설치할 수 있는 연결 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만곡부(10)는 귀걸이 핀(P)이 고정되는 측은 오목하고, 착용자의 귓불 측은 볼록하게 성형되어 귀걸이 고정구가 귀에 접촉됨에 있어서 자극을 최소화 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핀 고정부(30)는 롤 형태로 말아지게 성형되어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귀걸이 핀(P)의 외측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귀걸이 핀(P)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의 핀 고정홈(31)이 형성되어, 귀걸이 핀(P)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탄성 지지함에 따라 귀걸이 핀(P)이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은, 귀걸이 고정구로 제작하기 위해 귀금속 또는 금속의 원자재를 일정 폭을 갖는 판 형태로 가공하는 판재 가공 단계(S10)와, 상기 판재 가공 단계(S10)에서 가공된 소재(M)에 환홈 형상의 만곡부(10)를 성형하는 만곡부 성형 단계(S20)와, 상기 만곡부 성형 단계(S20)에서 성형된 만곡부(10)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핀 고정홈(31)을 성형하는 핀 고정홈 성형 단계(S30)와, 상기 만곡부(10)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귀걸이 핀(P)이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타공 단계(S40)와, 귀걸이 고정구로 제작하기 위한 전체적인 형상을 소재(M)로부터 절단하는 절단 단계(S50) 및 절단된 판재에서 핀 고정홈(31)이 형성된 외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핀 고정부(30)를 귀걸이 핀(P)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롤 형태로 말아지게 성형하는 핀 고정부 성형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소재(M)를 성형 및 절단 가공하여 귀걸이 고정구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타공 단계(S40)에서는 연결 고리(40)로 제조되는 부분의 중앙 부위를 함께 타공하게 된다.
이후 핀 삽입홀(20)과 연결 고리(40)의 중앙 부위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절단 단계(S50)는 만곡부(10)의 외측 둘레와, 핀 고정홈(31)의 외측 둘레 및 연결 고리(40)의 관통된 구멍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 둘레를 동시에 절단하여, 귀걸이 고정구를 제조하기 위한 소재 형태로 가공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전체적으로 서로 지그제그 배열로 이루어진 금형에 의해 다수의 귀걸이 고정구가 연속 가공되게 되는데 이는 귀금속인 원자재의 낭비를 최소화 하면서 효율적으로 성형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귀금속 또는 금속의 원자재를 길이 방향의 얇은 판 형태의 소재(M)로 가공한다.
이후 금형을 이용하여 가압 성형함에 따라 상면에서 보아 오목하고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만곡부(10)를 성형한다.
만곡부(10)의 성형이 완료되면, 만곡부(10)의 양측, 즉 소재(M)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고정홈(31)을 성형한다.
이때, 핀 고정홈(31)은 상면에서 보아 볼록하고 하부는 오목한 형태로 성형된다.
핀 고정홈(31)의 성형이 완료되면, 만곡부(10)의 중앙과 연결 고리(40)로 성형될 부위의 중앙 부분이 펀치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와 같이 핀 고정홈(31)과 연결 고리(40) 중앙 부위가 타공 완료되면 소재(M)를 최종적으로 귀걸이 고정구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만곡부(10)와, 핀 고정홈(31)의 외측을 따라 절단한다.
이때, 연결 고리(40)의 중앙 부분이 관통된 외측도 함께 절단하여 절단과 동시에 연결 고리(40)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이 완료되면 핀 고정홈(31)이 형성된 만곡부(10)의 양측을 롤 형태로 말아주어 탄성을 갖는 핀 고정부(30)의 성형이 완료된다.
M : 소재 P : 귀걸이 핀
10 : 만곡부 20 : 핀 삽입홀
30 : 핀 고정부 31 : 핀 고정홈
40 : 연결 고리
S10 : 판재 가공 단계 S20 : 만곡부 성형 단계
S30 : 핀 고정홈 성형 단계 S40 : 타공 단계
S50 : 절단 단계 S60 : 핀 고정부 성형 단계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귀금속 원자재를 압연하거나 압착하여 판재 형상의 소재(M)로 가공하는 판재 가공 단계(S10);와,
    가공된 소재(M)에 강도를 높이기 위한 만곡부를 성형하는 만곡부 성형 단계(S20);와,
    귀걸이 핀(P)의 외측을 감싸며 지지하는 핀 고정홈(31)을 성형하는 핀 고정홈 성형 단계(S30);와,
    귀걸이 핀(P)이 삽입되며 끼워지는 핀 삽입홀(20)과 연결 고리(40)의 중앙 부분을 타공하는 타공 단계(S40);와,
    성형 및 타공 완료된 제품을 절단하여 소재(M)에서 분리하는 절단 단계(S50); 및 절단된 소재의 핀 고정부(30) 부위를 안쪽으로 말아지게 성형하는 핀 고정부 성형 단계(S60);를 포함함에 있어서,
    소재(M)는 전체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이 서로 지그제그 배열로 이루어진 금형에 의해 다수의 귀걸이 고정구가 연속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KR1020190036798A 2019-03-29 2019-03-29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KR10215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98A KR102153868B1 (ko) 2019-03-29 2019-03-29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98A KR102153868B1 (ko) 2019-03-29 2019-03-29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868B1 true KR102153868B1 (ko) 2020-09-09

Family

ID=7246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98A KR102153868B1 (ko) 2019-03-29 2019-03-29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0665A1 (en) * 2021-04-20 2022-10-20 Robyn Gandia Earring and earring b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712A (ja) * 1997-03-24 1998-10-06 Maruyama:Kk ピアス用キャッチ
JP2005204991A (ja) * 2004-01-23 2005-08-04 Maruyama:Kk ピンキャッチ
KR200407534Y1 (ko) 2005-11-15 2006-01-31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고정구 일체형 귀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712A (ja) * 1997-03-24 1998-10-06 Maruyama:Kk ピアス用キャッチ
JP2005204991A (ja) * 2004-01-23 2005-08-04 Maruyama:Kk ピンキャッチ
KR200407534Y1 (ko) 2005-11-15 2006-01-31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고정구 일체형 귀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0665A1 (en) * 2021-04-20 2022-10-20 Robyn Gandia Earring and earring back
US11944169B2 (en) * 2021-04-20 2024-04-02 Robyn Gandia Earring and earring b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9361U (ja) 部品式嵌入ダイヤモンドアクセサリ
KR102153868B1 (ko)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EP1808090A1 (en) Jewelry setting
US5974831A (en) Jewel holding device
KR19980033744A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US20100287988A1 (en) Composite gemston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176869B1 (ko) 스톤을 고정하기 위한 장신구라인의 스톤홈 형성방법
KR101184156B1 (ko)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US5800574A (en) V-end setting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3206924U (ja) 取付台座および宝飾体
KR101698806B1 (ko)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JP2006246929A (ja) 装身具用連結具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76968A (ko) 체인형 보석난집
KR101615718B1 (ko)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KR101177775B1 (ko) 장신구용 연결체
KR100749312B1 (ko) 액세서리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제품
EP0845226B1 (en) Jewelry holding device
JP4963884B2 (ja) 宝石を有する装身用部材の製造方法
KR100248871B1 (ko) 프레스 가공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장신구
KR200285962Y1 (ko) 장신구
KR101541105B1 (ko)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2007029664A (ja) 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取付用チェーン状装身具
KR101558989B1 (ko) 귀금속용 악세사리의 보석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