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156B1 -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 Google Patents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156B1
KR101184156B1 KR1020100012074A KR20100012074A KR101184156B1 KR 101184156 B1 KR101184156 B1 KR 101184156B1 KR 1020100012074 A KR1020100012074 A KR 1020100012074A KR 20100012074 A KR20100012074 A KR 20100012074A KR 101184156 B1 KR101184156 B1 KR 10118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lead frame
sides
fram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583A (ko
Inventor
김태찬
Original Assignee
김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찬 filed Critical 김태찬
Priority to KR102010001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1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41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slidably arranged
    • A44C17/025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slidably arranged with the gem sliding along guidin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서리용 보석(큐빅 등 준보석을 포함)을 정렬하는 보석난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보석을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을 통해 일렬로 정렬하고 좌, 우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그(guide leg)에 의해 상기 안착홈에 정렬된 보석이 좌, 우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lead frame)을 제공하고 상기 보석이 정렬된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을 본체 프레임에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자연스레 보석이 고정되는 보석난집을 제공하여 각종 액세서리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재료비의 절감으로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Jewelry case Lead frames and accessories with this product}
본 발명은 액세서리용 보석(큐빅 등 준보석을 포함)을 정렬하는 보석난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보석을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을 통해 일렬로 정렬하고 좌, 우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그(guide leg)에 의해 상기 안착홈에 정렬된 보석이 좌, 우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lead frame)을 제공하고 상기 보석이 정렬된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을 본체 프레임에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자연스레 보석이 고정되는 보석난집을 제공하여 각종 액세서리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재료비의 절감으로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고리, 팔찌, 반지, 헤어클립, 헤어밴드 등과 같은 액세서리 제품이나 백(bag)이나 가방 등의 벨트 또는 액세서리 부자재에 장식을 위해 보석(큐빅 등 준보석을 포함)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보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은 보석 설치를 위한 보석난집을 필요로 한다.
액세서리로 제공되는 보석난집의 제조는, 가내 수공업 형태로써 수작업 또는 반자동화 작업으로 이루어져 이에 따른 인건비가 많이 차지하는 산업 중에 하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재료비와 부품가공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해당 액세서리 제품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보석난집과 그와 관련된 제품을 발명하게 되었다.
우선 본 발명에 이르기까지 발명자가 검토한 종래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76968(2002.10.11)의 '체인형 보석난집'은 1피스(piece)로 제작한 보석난집을 연결부를 통해 체인형으로 연결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이 선행기술은 보석(큐빅 등 준보석을 포함)을 보석난집에 고정하기 위해 보석난집의 상부에 4개의 발톱을 형성하여 상기 보석을 보석난집에 넣고 상기 발톱을 구부려 보석을 보석난집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보석을 보석난집에 고정하기 위해 4개의 발톱을 일일이 구부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켜 결국 제품 단가를 높이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89-0003325(1989.04.14)의 '장식용 연결난집 및 그 제조방법'의 경우 원자재의 띠 강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금형으로 클립편을 갖도록 따내고 절곡 성형과 동시에 저면에서 상부 측으로 절결되어 돌설된 사각뿔공을 천공하여 연결 난집을 형성하여 상기 난집의 사각뿔공에 난(보석)의 다각뿔면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난을 게재하고 상기 클립편을 절곡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도 4개의 클립편을 구부려 보석을 난집에서 고정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켜 결국 제품 단가를 높이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보석이 형성된 팔찌 제품의 제조과정을 예시한 것으로, 먼저 환봉(100)을 준비하여 선반(공작기계)(도시생략)에서 손이 들어갈 구멍(101)을 가공 형성하고, 환봉의 둘레에 보석(120)이 설치되도록 예비적으로 둘레 홈(102)을 형성하고, 환봉(100)에서 일정한 폭으로 절단한다. 다음에 상기 둘레 홈(102)에 난집을 형성하기 위해 난집성형롤러(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자국을 내어 난집홈(10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환봉(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2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파이프(100a)를 준비하여 구멍 가공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각각의 난집홈(103)에 보석(120)을 위치시켜 접착제나 수용성 풀 등으로 보석(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임시로 고정한 다음, 상기 둘레 홈(102)의 양 둘레턱(102a)(102b)을 컬링롤러(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컬링(curling) 가공을 하여 안쪽으로 굽힘으로써 난집홈(103)에 안착된 보석(120)을 고정하여 팔찌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선반(공작기계)을 이용하여 구멍가공, 둘레 홈가공, 절단 가공, 난집홈 가공, 컬링 가공과 같이 많은 가공공정을 필요로 함으로써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할 뿐더러 특히, 각 가공공정에서 절삭가공에 의해 버려지는 금속소재의 낭비가 많아지게 됨으로써 이는 결국 재료비의 부담을 증가시켜 제조비용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양 둘레턱(102a)(102b)을 컬링롤러를 이용하여 컬링가공을 하여 안쪽으로 굽힘으로써 난집홈(103)에 안착된 보석(120)을 고정하게 되는바, 이때 보석(120)이 난집홈(103)에서 삐뚤게 위치되어 있거나 컬링가공시 무리한 굽힘에 의해 보석(120)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소위 이가 빠진 불량제품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선반가공에 의해 보석난집을 형성하기 때문에 팔찌 및 반지와 같은 링 형태의 액세서리 제품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은 종래 보석이 형성된 귀고리 제품의 제조과정을 예시한 것으로, 주석합금 등의 재료를 주물로 하여 귀고리 본체(110)를 형성하고 귀고리 본체(110)의 둘레부에 일정간격으로 난집(111)을 형성하여 이 난집(111)을 통해 보석(120)을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으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난집(111)에 설치된 보석(120)이 접착제의 접착력 상실 또는 조립시 접착제를 도포불량 등으로 인하여 보석(120)이 난집(111)에 떨어져 나가 이가 빠진 형태로 하여 제품의 불량처리가 자주 발생하고, 더욱이 주석합금으로 제품을 제조할 경우 다공질성에 의해 표면에 미세 구멍이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보석을 일렬로 정렬할 수 있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을 형성하고, 띠 형태의 재료를 다단의 절곡롤러성형기로 본체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보석이 정렬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슬라이딩 조립하여 보석이 정렬된 보석난집 및 이를 이용한 각종 액세서리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리드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을 가공할 때 재료낭비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종래처럼 버려지는 재료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석을 리드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홈에 위치시키고 이를 본체 프레임에 슬라이딩시켜 조립함으로써 상기 보석이 본체 프레임에 자연스레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종래처럼 보석을 보석난집에서 고정하기 위한 굽힘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보석의 파손 방지 및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그가 본체 프레임에 슬라이딩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그에 의해 안착홈에 위치된 보석이 좌?우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보석의 가지런한 정렬에 의해 고품위의 액세서리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으로,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으로 하여 상부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여 보석의 원뿔부를 일렬로 정렬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굽힘되어 안착홈에 정렬된 보석의 좌?우 수평을 유지하는 가이드 레그를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그는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골을 갖는 반달모양의 레그를 연속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은 가운데가 터지고 양쪽에서 경사진 안착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은 "V"자 홈 형태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그의 반달모양의 레그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의 폭의 양측으로부터 굽힘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의 성형시 안착홈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상부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여 보석의 원뿔부를 일렬로 정렬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굽힘되어 안착홈에 정렬된 보석의 좌?우 수평을 유지하는 가이드 레그를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리드프레임과, 띠 형태의 재료를 절곡롤러성형기로 가공하여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양측 상부로 일정 높이의 절곡 연장되는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양 측면의 상부를 안쪽으로 절곡한 보석고정단턱을 형성한 본체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에 보석이 정렬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바닥면과 양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상기 보석이 상기 보석고정단턱에 자연스레 고정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보석난집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그는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반달모양의 레그를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은 프레스에 의해 가운데가 터지고 양쪽에서 경사진 안착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그의 반달모양의 레그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의 폭의 양측으로부터 굽힘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의 성형시 안착홈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석난집은 본체 프레임의 양 단부를 장식용 캡으로 막아 본체 프레임 내에 조립된 리드프레임이 빠지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석난집은 일자형상 또는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석난집에 귀고리핀과 이 귀고리핀에 클러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석난집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석난집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석난집을 헤어클립의 본체 외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석난집을 헤어밴드의 밴드본체 외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석난집의 양단을 체인을 매개로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 체인 부자재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석난집을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이를 복수의 연결대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장식 부자재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을 띠 형태의 금속판재를 프레스와 절곡롤러성형기로 가공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재료낭비가 거의 없고 종래처럼 버려지는 손실을 최소화시켜 제품경쟁력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석이 정렬된 리드프레임을 본체 프레임에 슬라이딩 조립으로 보석난집을 완성함으로써 종래처럼 굽힘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보석의 파손방지와 함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켜 결국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리드프레임의 가이드 레그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보석의 좌?우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고품질의 각종 액세서리 제품을 제공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보석이 설치된 팔찌 제품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3은 종래 또 다른 보석이 설치된 팔찌 제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및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귀고리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팔찌 제품의 조립과정과 완성된 제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또 다른 귀고리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본체 프레임의 변형 예에 의한 보석난집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헤어클립 제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헤어밴드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액세서리 연결 체인 부자재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백이나 가방의 끈을 연결하는 액세서리 장식 부자재 제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및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10은 보석난집이고, 도면부호 20은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이고, 도면부호 30은 본체 프레임을 나타낸다. 상기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20)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상 '리드프레임'으로 병기하여 설명한다.
상기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20)의 상부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여 보석(120)의 원뿔부(120a)를 일렬로 정렬하는 안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1)이 형성된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H)로 굽힘되어 안착홈(21)에 정렬된 보석(120)의 좌, 우 수평을 유지하는 가이드 레그(2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드프레임(20)은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통상의 프레스기계에서 연속되는 길이재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리드프레임(20)은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그(22)는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굽힘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골(22b)을 갖는 반달모양의 레그(22a)를 연속 형성함으로써 상기 골(22b)을 통해 리드프레임(20)이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의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그(22)의 반달모양의 레그(22a)는 도 4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21)의 폭(W)의 양측으로부터 굽힘 형성되어 리드프레임(20)을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의 성형시 안착홈(21)이 변형되지 않아 보석(120)의 안착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금속재료로 형성된 리드프레임(20)을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으로 성형시 레그(22a)와 레그(22a) 사이를 형성하는 골(22b)을 통해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안착홈(21)에 변형에 따른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안착홈(21)에 안착되는 보석(120)의 안착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드프레임(2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21)은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가운데가 터지고 양쪽에서 경사진 안착편(21a)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21)이 "V"자 홈(21b)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석(120)이 안착되는 안착홈(21)의 높이는 가이드 레그(22)의 높이(H)보다 낮아야 한다. 이에 따라 안착홈(21)에 안착된 보석(120)이 들뜨지 않고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본체 프레임(30)은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바닥면(31)과 이 바닥면(31)의 양측 상부로 일정 높이의 절곡 연장되는 측면(32)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32)의 상부를 안쪽으로 절곡하여 보석고정단턱(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 프레임(30)은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통상의 절곡롤러성형기계에서 연속된 길이재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프레임(30)은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드프레임(20)과 본체 프레임(30)을 통해 보석난집(10)을 구성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2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21)을 통해 보석(120)을 정렬시킨 후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본체 프레임(30)에 슬라이딩시켜 조립한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1)에 위치된 보석(120)의 머리부(120b)가 본체 프레임(30)의 상부 양측에 절곡 형성된 보석고정단턱(33)에 의해 보석(120)이 자연스레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 프레임(30)의 바닥면(31)과 측면(32)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는 리드프레임(20)은 가이드 레그(22)가 반달모양(라운드 형상)의 레그(22a)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슬라이딩이 용이하여 조립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 프레임(30)이 원호형상을 할 때 상기 리드프레임(20)의 자유로운 슬라이딩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프레임(20)의 안착홈(21)에 정렬된 보석(120)이 본체 프레임(30)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보석고정단턱(33)에 의해 자연스레 고정되는 것에 의해 보석(120)의 고정시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무리한 고정력 없이 고정됨으로써 조립성과 함께 보석(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 구성된 보석난집(10)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의 좌?우 가이드 레그(22)가 본체 프레임(30)의 바닥면(31)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위치되어 리드프레임(20)이 본체 프레임(30)에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보석(120)이 자연스레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석(120)의 정렬이 양호하게 됨으로써 고품질의 보석난집(10)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석난집(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30)의 양 단부를 장식용 캡(40)으로 막아 고정함으로써 본체 프레임(30) 내에 조립된 리드프레임(20)이 빠지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시된 장식용 캡(40)은 장식을 위해 그 외형을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는 장식용 캡(40)이 본체 프레임(30)의 단부 외측으로 하여 고정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용 캡(40)을 본체 프레임(30)의 단부 내측을 통해 고정하여 본체 프레임(30) 내에 리드프레임(2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귀고리 제품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석난집(10)의 본체 프레임(30)의 배면에 통상의 귀고리 핀(41)을 고정하여 상기 귀고리 핀(4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42)를 설치하여 귀고리 제품(5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귀고리 제품(50)은 귓불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piercing type earring)를 예시한 것이며, 이밖에 귓불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통상의 귀고리(non piercing type earring)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보석난집(10)은 일자형상(수평형)을 예시한 것으로, 길이재로 제공되는 리드프레임(20)과 본체 프레임(30)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보석난집(10)을 구성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팔찌 제품(반지 제품 포함)의 조립과정과 완성된 제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와 같이 보석난집(10)을 이용하여 팔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 프레임(30)을 원하는 지름의 링 형태로 형성한 상태에서 일자형태(수평형태)의 리드프레임(20)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링 형태의 본체 프레임(30)의 양 단부를 약간 비틀어 서로 엇갈리게 한 상태에서 리드프레임(20)의 안착홈(21)에 보석(120)을 정렬시킨 후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본체 프레임(30)에 슬라이딩시켜 조립한다.
이에 따라 안착홈(21)에 위치된 보석(120)의 머리부(120b)가 본체 프레임(30)의 상부 양측에 절곡 형성된 보석고정단턱(33)에 의해 보석(120)이 자연스레 고정되며, 이때 본체 프레임(30)의 바닥면(31)과 측면(32)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는 리드프레임(20)은 가이드 레그(22)가 반달모양(라운드 형상)의 레그(22a)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레그(22a)와 레그(22a) 사이의 골(22b)에 의해 리드프레임(20)은 링 형상의 본체 프레임(30)의 궤도를 따라 자연스레 원호형상을 하면서 슬라이딩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리드프레임(20)의 가이드 레그(22)가 반달모양(라운드 형상)의 레그(22a)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10과 같이 본체 프레임(30)이 원형 링이거나 또는 도시생략된 물결형상(파형)이라도 그 본체 프레임(30)의 궤도를 따라 자유로운 슬라이딩 조립을 보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석난집(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30)의 양 단부를 장식용 캡(40)으로 막고 원위치시켜 고정함으로써 팔찌 제품(60)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팔찌 제품(60)을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보석난집(10)을 구성하는 리드프레임(20)과 본체 프레임(30)을 축소 제조함으로써 반지 제품(도시생략)을 제조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장식용 캡(40)은 장식을 위해 그 외형을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는 장식용 캡(40)이 본체 프레임(30)의 단부 외측으로 하여 고정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장식용 캡(40)을 본체 프레임(30)의 단부 내측을 통해 고정하여 본체 프레임(30) 내에 리드프레임(2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또 다른 귀고리 제품의 사시도이다.
이는 앞서 도 8에 도시된 귀고리 제품(50)은 보석난집(10)이 일자형상인 것을 예시한 것인데 반하여, 도 12에 도시된 귀고리 제품(70)은 보석난집(10)이 원호형상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석난집(10)의 조립과정은 앞서 도 9와 같이 본체 프레임(30)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일자형상의 길이재로 제공되는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슬라이딩 조립시켜 보석난집(10)을 완성하고, 본체 프레임(30) 일측에 통상의 귀고리 핀(41)을 고정하여 상기 귀고리 핀(4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42)를 설치하여 링 형태의 귀고리 제품(7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서 예시된 본체 프레임(30)은 바닥면(31)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성형하여 보석난집(10)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13에 도시된 본체 프레임(30)의 변형 예와 같이 본체 프레임(30)의 일 측면(32)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30)에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슬라이딩 조립하여 보석난집(1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헤어클립 제품의 정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헤어클립의 본체(81) 외면에 본체 프레임(30)에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슬라이딩 조립하여 구성된 보석난집(10)을 부착하여 헤어클립 제품(80)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헤어밴드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헤어밴드의 밴드본체(91) 외면에 본체 프레임(30)에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슬라이딩 조립하여 구성된 보석난집(10)을 부착하여 헤어밴드 제품(90)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보석난집(10)의 외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어클립의 본체(81) 또는 헤어밴드의 밴드본체(91)의 외형에 따라 일직선형 또는 궁형 또는 물결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하여 헤어클립 제품(80)이나 헤어밴드 제품(90)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액세서리 연결 체인 부자재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30)에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슬라이딩 조립하여 구성된 보석난집(10)의 양단을 체인(92)을 매개로 서로 연결하여 액세서리 연결 체인 부자재 제품(93)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석난집(10)을 이용한 액세서리 연결 체인 부자재 제품(93)은 목걸이, 팔찌, 발찌, 액세서리 체인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보석난집을 이용한 백이나 가방의 끈을 연결하는 장식 부자재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30)에 보석(120)이 정렬된 리드프레임(20)을 슬라이딩 조립하여 구성된 보석난집(10)을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하고 이를 복수의 연결대(94)로 연결하여 액세서리 장식 부자재 제품(95)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석난집(10)을 이용한 액세서리 장식 부자재 제품(95)은 예로, 도 17과 같이 가방의 끈(96)을 상기 연결대(94)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귀고리, 팔찌, 반지, 헤어클립, 헤어밴드, 목걸이와 같은 액세서리 부자재 또는 제품, 또는 백이나 가방 등의 벨트 또는 액세서리 장식 부자재의 제품으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보석난집 20 :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30 : 본체 프레임

Claims (18)

  1.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으로 하여 상부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여 보석의 원뿔부를 일렬로 정렬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굽힘되어 안착홈에 정렬된 보석의 좌?우 수평을 유지하는 가이드 레그를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그는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골을 갖는 반달모양의 레그를 연속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은 가운데가 터지고 양쪽에서 경사진 안착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은 "V"자 홈 형태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반달모양의 레그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의 폭의 양측으로부터 굽힘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의 성형시 안착홈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
  6.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상부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여 보석의 원뿔부를 일렬로 정렬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굽힘되어 안착홈에 정렬된 보석의 좌?우 수평을 유지하는 가이드 레그를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리드프레임과, 띠 형태의 재료를 절곡롤러성형기로 가공하여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양측 상부로 일정 높이의 절곡 연장되는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양 측면의 상부를 안쪽으로 절곡한 보석고정단턱을 형성한 본체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에 보석이 정렬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바닥면과 양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상기 보석이 상기 보석고정단턱에 자연스레 고정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그는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골을 갖는 반달모양의 레그를 연속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은 가운데가 터지고 양쪽에서 경사진 안착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반달모양의 레그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착홈의 폭의 양측으로부터 굽힘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의 성형시 안착홈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석난집은 본체 프레임의 양 단부를 장식용 캡으로 막아 본체 프레임 내에 조립된 리드프레임이 빠지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띠 형태의 금속재료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상부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하여 보석의 원뿔부를 일렬로 정렬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표면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굽힘되어 안착홈에 정렬된 보석의 좌?우 수평을 유지하는 가이드 레그를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리드프레임과, 띠 형태의 재료를 절곡롤러성형기로 가공하여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양측 상부로 일정 높이의 절곡 연장되는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양 측면의 상부를 안쪽으로 절곡한 보석고정단턱을 형성한 본체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에 보석이 정렬된 리드프레임을 상기 본체 프레임의 바닥면과 양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상기 보석이 상기 보석고정단턱에 자연스레 고정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한 보석난집은, 일자형상 또는 원호형상 또는 물결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난집.
  12. 청구항 6의 보석난집을 이용하여 상기 보석난집에 귀고리핀과 이 귀고리핀에 클러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 제품.
  13. 청구항 6의 보석난집을 이용하여 상기 보석난집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 제품.
  14. 청구항 6의 보석난집을 이용하여 상기 보석난집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제품.
  15. 청구항 6의 보석난집을 이용하여 상기 보석난집을 헤어클립의 본체 외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제품.
  16. 청구항 6의 보석난집을 이용하여 상기 보석난집을 헤어밴드의 밴드본체 외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 제품.
  17. 청구항 6의 보석난집을 이용하여 상기 보석난집의 양단을 체인을 매개로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연결 체인 부자재 제품.
  18. 청구항 6의 보석난집을 이용하여 상기 보석난집을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이를 복수의 연결대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장식 부자재 제품.
KR1020100012074A 2010-02-09 2010-02-09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KR10118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74A KR101184156B1 (ko) 2010-02-09 2010-02-09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74A KR101184156B1 (ko) 2010-02-09 2010-02-09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83A KR20110092583A (ko) 2011-08-18
KR101184156B1 true KR101184156B1 (ko) 2012-09-18

Family

ID=4492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74A KR101184156B1 (ko) 2010-02-09 2010-02-09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74A (ko) * 2018-12-13 2020-06-23 김귀원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81B1 (ko) * 2015-01-19 2016-07-08 문종현 형틀을 이용한 줄난 성형방법 및 줄난장신구
KR102082056B1 (ko) * 2018-09-11 2020-02-27 권순석 조명등용 장식구
IT202000012088A1 (it) * 2020-05-22 2021-11-22 Better Silver S P A Gioiell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492B2 (ja) 1992-07-20 2001-03-1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π/4シフトQPSK TDMAバースト波の周波数測定方法
KR200425708Y1 (ko) 2006-06-21 2006-09-13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492B2 (ja) 1992-07-20 2001-03-1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π/4シフトQPSK TDMAバースト波の周波数測定方法
KR200425708Y1 (ko) 2006-06-21 2006-09-13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774A (ko) * 2018-12-13 2020-06-23 김귀원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KR102151857B1 (ko) * 2018-12-13 2020-10-15 김귀원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83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749B1 (en) Jewelry article utilizing a linear stone setting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KR101153716B1 (ko)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US6112552A (en) Gemstone setting and method of using
KR101184156B1 (ko)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JPH0611517U (ja) 装身具
US6708525B2 (en) Omega type ornamental chain
WO2020055042A1 (ko) 소형원석의 활용이 가능한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11430A (ko) 보석의 반사율을 높여주는 빛 유입구와 보석 조립이 용이하도록 역마름모꼴 형태로 보석물림 홈을 구성한 보석체인용 난집
EP1245168A2 (en) An ornamental manufactured product of the type called "wound graduated or degradé"
US20050103050A1 (en) Omega type ornamental chain and process for making the chain
KR102153868B1 (ko)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KR102272918B1 (ko) 장식구 이탈 방지부재가 일체로 구비되고 체결이 용이한 장식구 연결고리 제조 방법
KR200216024Y1 (ko) 다열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편 구조
US10398201B2 (en) Collet and jewelry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0444207B1 (ko) 액세서리의 보석알 고정방법
US20070095103A1 (en) Jewelry pendant ring
KR102205758B1 (ko) 사각 단면과 코일 권선형 구조를 갖는 고탄성 장신구 링 제조방법
KR20020076968A (ko) 체인형 보석난집
UA139254U (uk) Ювелірний універсальний виріб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KR20130006705U (ko) 장신구 연결고리
US20060042222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elongated elements afor jewels
KR101541105B1 (ko)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