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774A -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 Google Patents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774A
KR20200072774A KR1020180160736A KR20180160736A KR20200072774A KR 20200072774 A KR20200072774 A KR 20200072774A KR 1020180160736 A KR1020180160736 A KR 1020180160736A KR 20180160736 A KR20180160736 A KR 20180160736A KR 20200072774 A KR20200072774 A KR 2020007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jewel
space
ring
g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857B1 (ko
Inventor
김귀원
Original Assignee
김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원 filed Critical 김귀원
Priority to KR102018016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8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부재, 보석 및 상기 제1부재에 결합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석이 구비된 쥬얼리로서, 상기 공간은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석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홈, 상기 보석의 상기 일측 부분에 대향하는 타측 부분을 지지하는 제1돌기 및 상기 보석의 아랫 부분을 지지하는 홈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보석을 위치시켜 수용하고 지지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된 제1돌기와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제1측부 및 상기 제1측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의 제2측부가 상기 제1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이다. 본 발명은 작업성을 향상 시키고, 제작 중에 보석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지지발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지지발의 벌어짐 또는 지지발의 분리로 인하여 보석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석을 구비한 반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및 그 제조 방법{Jewelry with jewe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할된 부분을 이용하여 보석을 고정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쥬얼리를 제작함으로써, 보석을 확실하게 고정하고 제작을 쉽게 할 수 있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쥬얼리는 금, 은, 백금, 도금 등으로 제작되는 귀금속으로서, 그 화려함과 고급성을 더하기 위하여 다이아몬드 또는 큐빅 등과 같은 보석이 추가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런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는 결혼식 또는 각종 기념일 등에 많이 사용된다.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작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금 또는 보석 등의 무게 또는 미적인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것 이외에, 이런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착용 중에 보석이 빠지지 않아야 하며, 그 제작 역시 쉬어야 한다.
이런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쥬얼리에 보석이 들어갈 구멍을 만들어 작업자가 보석을 하나씩 삽입하고, 그 이후 보석의 측면과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망치 등을 이용하여 쥬얼리를 절곡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런 절곡 과정은 고도의 스킬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때로는 망치 등을 잘못 사용하여 비싼 보석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도 있었다.
도 1a에 종래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의 일종으로서 반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도시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은 특허 제10-027160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보석을 하나씩 부착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체에 스톤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 다수의 스톤을 테이프에 부착하는 단계, 본체에 스톤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스톤 안착홈에 테이프에 부착된 스톤을 안착하는 단계, 본체의 측면을 절곡 및 압착하여 스톤 옆면과 상면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제작 과정이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본체의 측면을 절곡 및 압착하여 스톤을 설치함에 상당한 힘이 소요되며, 때로는 보석이 손상될 수 있는 우려도 있었다.
도 1b에도 종래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의 예시로 반지를 제조하는 기술을 도시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은 공개특허 제10-2015-003554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공구를 이용하여 보석을 지지발로 고정하는데, 그 과정에서 4개의 지지발에 조금이라도 더 힘을 가하는 경우 보석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착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실수로 지지발의 단부가 외부에 걸리게 되면 지지발이 벌어지거나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비싼 보석이 빠져 잃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선행기술 0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1609호
(선행기술 00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5541호
이처럼 종래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작하는 방식으로는, 쥬얼리 본체를 절곡하여 보석의 측면과 상면을 덮는 방식, 별도의 지지발을 설치하는 방식 등이 있었는데, 이들 모두 제작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제작 중 고가의 보석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아울러 착용 중에 보석이 결합된 상태가 느슨해지면서 보석이 쥬얼리로부터 이탈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요자가 원하는 미적 화려함을 보유하면서도,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 중에 최대한 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착용 중에 보석이 확실하게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보석이 부착된 쥬얼리와 관련된 기술은 여전히 작업자가 망치 등을 이용하여 보석을 하나씩 끼워 맞추는 방식을 사용하는 등 그 발전 속도가 상당히 더디며, 관련 기술개발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작업성을 향상 시키고, 제작 중에 보석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보석을 확실하게 고정하여 착용 중에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처럼 보석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을 1개로 제작하지 않고 분할하여 제작하고, 그 중에서 한 부분에 보석을 수용한 후, 이를 조립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부재, 보석 및 상기 제1부재에 결합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석이 구비된 쥬얼리로서, 상기 공간에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석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홈, 상기 보석의 상기 일측 부분에 대향하는 타측 부분을 지지하는 제1돌기 및 상기 보석의 아랫 부분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서 보석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된 제1돌기와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제1측부 및 상기 제1측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의 제2측부가 상기 제1부재에 결합하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석과 상기 제1돌기는 복수이고, 상기 제1돌기 사이에는 상기 제1부재에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부재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제1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석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홈, 상기 보석의 상기 일측 부분에 대향하는 타측 부분을 지지하는 제1돌기 및 상기 보석의 아랫 부분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상기 보석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된 제1돌기와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측부를 구비하는 상기 제2부재를 제1부재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지는 제1링 부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 및 손가락에 끼워지는 제2링 부재를 포함하는 보석이 구비된 반지로서, 상기 제1링 부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 중에서 각각의 보석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에는 상기 보석의 일측면을 수용하며 지지하는 원형 형상의 홈, 상기 보석의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지지하는 제1돌기 및 상기 보석의 아랫면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서 보석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상기 제2링 부재는 상기 제1링 부재와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돌기 전체와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링 부재에 결합되는 보석을 구비한 반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링 부재는 상기 제1돌기 전체와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측부와, 상기 제1측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측부의 외경은 상기 제1링 부재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제2측부의 내경은 상기 제1링 부재의 내경과 동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보석을 쉽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종래에 비해 상당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석이 분리되어 분실될 염려가 없고, 특히 지지발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지지발 사용에 따른 문제점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이런 문언적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유추할 수 있는 것까지 모두 포함한다.
도 1a, 1b는 종래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의 개략적인 단면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로서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로서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서 보석이 쥬얼리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커버부재가 제거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로서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2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본 발명이 이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다른 구성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되었으며, 반드시 축척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그 중에서도 반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로서 반지(1)는 제1링 부재(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4) 및 상기 제1링 부재(2)에 결합 되는 제2링 부재(3)를 포함한다. 제1링 부재(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4)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보석(4)은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되고 지지된다. 제1링 부재(2)에 결합하는 제2링 부재(3) 역시 보석(4)의 상부면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제1링 부재(2)와 함께 반지 착용 중에 보석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링 부재(2)와 제2링 부재(3)는 모두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며, 제1링 부재(2)와 제2링 부재(3)가 조립되어 접촉하는 부분을 레이저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 고정하며, 이렇게 결합된 반지(1)를 손가락에 끼워 착용하게 된다.
반지(1)는, 보석(4)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링 부재(2)의 공간에 보석(5)을 위치하는 단계, 상기 제1링 부재(2)에 제2링 부재(3)를 용접으로 결합하는 단계, 용접된 부분을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편평하게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해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1링 부재(2)와 제2링 부재(3)가 결합되어 있는 단면도이며, 이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링 부재(2)는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제1링 부재(2)의 측면 외주를 따라 일측에 보석(4)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링 부재(2)는 반지의 외주면 또는 외경을 형성하는 제1원주면(2a)과, 손가락과 접촉하며 상기 제1원주면(2a)과 동심원을 이루며 반지의 내주면 또는 내경을 형성하는 제3원주면(2d)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1링 부재(2)에는 제2원주면(2b)이 형성되는데, 반지를 착용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제2원주면(2b)은 제1원주면(2a)보다 손가락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원주면(2a)과 제2원주면(2b) 사이에 보석(4)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링 부재(2)는 제1원주면(2a)과, 상기 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제1원주면(2a)으로부터 두께(t) 만큼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위치하며, 제1종방향으로 폭(w1)을 구비하는 제2원주면(2b)이 형성된다.
제2원주면(2b)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보석(4)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제1돌기(7)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돌기(7)의 높이는 두께(t) 만큼 제1원주면(2a) 보다는 낮지만 보석(4)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높이이면 충분하다.
보석(4)을 수용하는 공간은, 제1링 부재(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간에는 보석(4)의 제1측면(4a)이 수용되고 지지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제1홈(2c), 상기 제1홈(2c)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보석(4)의 제2측면(4b)이 지지되며 제2원주면(2b)을 형성하는 제1돌기(7) 및 보석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제2홈(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석이 수용되는 공간은, 보석이 놓이기 전까지는 비어 있는 공간으로서, 보석을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석(4)의 하부는 공간 하부의 제2홈(5)에 위치하고, 보석(4)의 일측면(4a)은 제1홈(2c)에서, 상기 일측면(4a)에 대향하는 타측면(4b)은 제2원주면(2b)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제1홈(2c)의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1돌기(7)에 의하여 지지되며, 보석(4)의 상부는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제1돌기(7)는 보석의 타측면(4b)을 지지하기 위하여 보석을 공간에 위치시킨 후 보석쪽으로 밀어 보석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1홈(2c)과 함께 보석을 더욱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석(4)은 공간에 수용되고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석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홈(5)의 형상으로 도 2, 3에는 관통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석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다만 제2홈(5)에 보석의 하부를 밀착하여 끼우는 경우라면 보석을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된 홈이 더욱 바람직할 수는 있다. 아울러 보석의 하부를 공간에 밀착하기 위하여, 공간 아래 제2홈(5)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형상은 보석이 끼워질 수 있도록 보석의 하부 형상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링 부재(2)의 공간에 보석(4)이 위치하면, 제1링 부재(2)에 고정된 보석(4)의 이탈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하여, 제1링 부재(2)의 측부에 제2링 부재(3)가 결합된다. 제2링 부재(3)는 제1링 부재(2)와 같이 결합되어 손에 끼워지므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외경이 다를 경우, 제2링 부재(3)는 제1링 부재(2)와 함께 일종의 계단식 반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2링 부재(3)에는 상기 제1링 부재(2)에서 돌출되어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종방향 폭(w1)보다 작은 제2종방향 폭(w2)을 가지는 제1측부(3a)와, 상기 제1측부(3a)의 외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부(3b)를 구비하며, 상기 제1측부(3a)와 제2측부(3b)가 이루는 부분에 일종의 수용공간(3c)이 형성된다.
제1종방향 폭(w1)과 제2종방향 폭(w2)의 차이는 제1링 및 제2링 부재(2a, 2b)들이 결합될 때, 상기 수용공간(3c)을 통해 제1측부(3a)가 제1돌기(7)를 덮고 보석(4)의 상부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정도로서, 보석(4)은 외부에서 볼 수 있지만 제1돌기(7)는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링 부재(2)와 제2링 부재(3)를 조립하고, 용접 결합함에 있어서 제2링 부재(3)의 위치를 정확하게 하고, 혹시 착용 중에 제2링 부재(3)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링 부재(2)에 제2돌기 형태의 지지수단(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6)은 제2링 부재(3)의 제2측부(3b) 내면과 접촉하여 제2링 부재(3)를 지지함으로써, 제1링 부재(2)와 제2링 부재(3)가 접촉하면서 제2링 부재(3)의 위치를 고정하고 또한 착용 중에 틀어지는 경우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6)은 제1링 부재(2)에 설치되는데, 그것도 제1돌기(7) 옆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보석을 지지하는 제1돌기(7)과 지지수단(6)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지지수단(6)은 제2링 부재(3)를 지지하는 것 이외에, 인접하고 있는 보석 2개를 한꺼번에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석이 복수인 경우, 각각의 보석의 타측면(4b)은 각각의 제1돌기(7)에 의하여 지지되고, 각각의 보석의 타측면(4b) 옆면과 인접하는 보석의 타측면(4b) 옆면이 지지수단(6)에 의하여 같이 지지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보석 타측면(4b)을 지지하는 각각의 제1돌기(7)와 지지수단(6)이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수단(6) 역시, 제2링 부재(3)가 제1링 부재(2)에 결합될 때 제1돌기(7)와 함께 제2링 부재(3)에 의하여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보석이 구비된 쥬얼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링 부재(2)에 보석을 수용한다. 보석(4)은 그 일측면(4a)이 제1홈(2c)에 의하여, 상기 일측면(4a)에 대향하는 타측면(4b)이 제1돌기(7)에 의하여, 하부는 제2홈(5)에 의하여 지지된다.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제1돌기(7)를 보석 방향으로 밀어 접촉하여 지지하게 할 수 있다.
그 이후 제2링 부재(3)가 상기 제1링 부재(2)의 측면에서, 보석의 일부와 제1돌기(7) 전부를 수용하면서, 제2링 부재(3)와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조립한다. 그 이후 제1링 부재(2)와 제2링 부재(3)의 접촉 부분을 레이저용접을 통해 결합하며, 사용자가 착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용접면을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보석이 부착된 반지를 제작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로서 반지라는 점에서는 공통되나, 제2실시예는 보석을 수용하는 보석홀딩부(12)가 손가락에 끼워지는 반지 본체(11)와 별개로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다르다.
이러한 반지는 통상의 반지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지 본체(11)와, 반지 본체(11)의 외주에 제공되는 보석홀딩부(12, 난집이라고도 불린다)를 포함한다. 보석홀딩부(1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이 90도 방향 회전되어 상태, 즉 눕혀진 상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원주방향보석(13a)이라 부른다.
보석홀딩부(12)는 상기 원주방향보석(13a)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홀딩부본체(15)와 커버부재(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부본체(15)에 커버부재(14)를 레이저용접으로 결합한 후, 용접면을 가공하여 반지가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도 5, 7에서와 같이 홀딩부본체(15)에는 2개의 원형 형상의 돌출부(도면번호 없음)가 형성되고, 커버부재(14)에는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는 홈(도면번호 없음)이 형성된다. 상기 원형 형상의 돌출부에 커버부재(14)의 홈을 끼운 후 그 부분을 용접한다. 그 이후 남는 돌출부는 절단하고, 용접면과 함께 편평하게 가공을 하게 된다.
홀딩부본체(15)에서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은 보석의 하부면, 일측면,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보석의 상부면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보석을 고정하는 방식은 제1실시예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설명한다.
보석을 수용하는 홀딩부본체(15)의 공간에는, 보석의 일측면을 수용하고 보석을 고정하는 제1홈(21), 보석의 하부면을 수용하는 제2홈(18) 및 상기 보석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보석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은 전체적으로는 보석이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서 보석 형상이며, 보석이 그 공간에 수용되어 일측면이 제1홈(21), 하부면이 제2홈(18), 타측면이 제1돌기(16)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런 제1홈(21), 제2홈(18) 및 제1돌기(16)는 홀딩부본체(15)를 이루는 하나의 몸체에 설치된다.
홀딩부본체(15)의 상부에 커버부재(14)가 설치되는데, 커버부재(14)는 상기 제1돌기(16) 전부와 상기 공간에 놓인 보석 일부를 덮는 방식으로 위에서 아래로 결합되며, 그 이후 위에서 언급한 레이저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한편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버부재(14)의 위치를 고정하고 착용 중 커버부재(1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돌기(16) 옆에 돌기 형태의 지지수단(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7)은 커버부재(14)가 홀딩부본체(15)에 조립될 때 커버부재(14)의 내면과 접촉하고 커버부재(14)의 위치를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커버부재(14)는 바로 그 아래 쪽에 제1두께(t1) 및 제1내경(d1)을 가지며, 바로 그 아래에 제2 두께(t2) 및 제2 내경(d2)를 가진다. 제2두께(t2)는 상기 제1돌기(16) 전부와 보석 일부를 덮는 정도이며, 지지수단(17)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두께(t1)을 가지는 커버부재(14)의 내면은 상기 지지수단(17)의 상면에 접촉을 하게 된다.
또한 보석홀딩부(12)는 위에서 설명한 옆으로 누운 원주방향보석 이외에 그 가운데에 중앙보석(13b)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커버부재(1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홀딩부본체(15)에는 중앙보석(13b)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홈(도면번호 없음)이 형성되고,그 일측에는 중앙보석(13b)의 측면을 고정할 수 있는 측면고정돌기(20)가 설치된다.
중앙보석(13b)이 설치되는 경우, 커버부재(14)에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그 개구부는 중앙보석(13b)의 중앙 부분만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커버부재(14)에 의하여 중앙보석(13b)의 외측부분은 가려지게 된다. 결국 중앙보석(13b) 역시 측면이 측면고정돌기(20)에 의하여, 하면이 홈에 의하여 수용 지지되며, 그 상면 일부는 커버부재(14)에 의하여 덮여 지게 된다. 결국 중앙보석(13b) 및 원주방향보석(13a)은 모두 커버부재(14)에 의해 이탈되거나 분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딩부본체(15)의 측면고정돌기(20) 옆에는 지지수단(19)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수단(19)의 외측면이 커버부재(14)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커버부재(14)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 실시예 1, 2에서는 반지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는데, 본 발명은 반지 이외에 보석을 구비한 일반적인 쥬얼리에도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 8, 9는 펜던트를 그 예시로 든 것이다.
보석을 구비한 펜던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S)이 형성된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재(100)에는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S)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S)은 전체적으로 보석의 형상과 유사하며, 상기 공간(S)에는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보석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홈(110), 상기 보석의 상기 일측 부분에 대향하는 타측 부분을 지지하는 제1돌기(130) 및 상기 보석의 아랫 부분을 지지하는 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S)은 비어 있는 공간인데, 여기에 보석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된 제1돌기(130) 전체와 공간(S)에 수용된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제1측부(210) 및 상기 제1측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측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부재(200)의 제2측부(220)가 상기 제1부재(210)에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경우 제1측부(210)는 제1돌기(130) 전부와 보석의 일부를 수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제1돌기(130)를 외부에서 볼 수 없고, 보석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조립, 결합되는 과정으로는, 제1부재(210)에는 돌출핀(150)이 위치하고 제2부재(220)에는 상기 돌출핀(15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는 상기 돌출핀(150)이 수용홈(230)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결합한다. 그 이후, 상기 돌출핀(150)과 상기 수용홈(230)을 레이저용접한 후, 제2부재(200)의 표면 위로 돌출된 돌출핀(150)을 제거하고 그 표면을 편평하게 가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부재(100)에는 상기 제2부재(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그 위치를 유지하고 사용 중 제2부재(20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기 형태의 지지수단(1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140)은 제1돌기(130) 사이에 형성되고 제2부재(200)의 제2측부(220)의 내면과 접촉하는 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어서 제2부재(200)가 제1부재(100)에 평행하면서 접촉을 유지한 채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보석이 사용되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각각의 보석을 지지하는 제1돌기(130)와 지지수단(140)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부재(200)는 보석을 지지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를 제작하는 방법 역시 제1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다.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된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에 보석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제2부재(200)를 제1부재(100)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결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석을 수용하는 단계 이후로서 상기 제2부재(200)를 제1부재(100)에 조립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된 제1돌기(130)가 보석에 밀착하게 하도록 제1돌기(130)를 보석 방향으로 미는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1 : 반지 2 : 제1링 부재
2a : 제1원주면 2b : 제2원주면
2c : 홈 2d : 제3원주면
3 : 제2링 부재 3a : 제1측부
3b : 제2측부 3c : 수용공간
4 : 보석 4a : 일측면
4b : 타측면 5 : 관통공
6 : 지지수단 7 : 제1돌기
11 : 반지 본체 12 : 보석홀딩부
13a : 원주방향보석 13b : 중앙보석
14 : 커버부재 15 : 홀딩부본체
16 : 제1돌기 17 : 지지수단
18 : 관통홈 19 : 지지수단
20 : 측면고정돌기 21 : 홈
100 : 제1부재 110 : 홈
120 : 홈 130 : 제1돌기
200 : 제2부재 210 : 제1측부
220 : 제2측부 230 : 수용홈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제1부재(100), 보석 및 상기 제1부재(100)에 결합하는 제2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석이 구비된 쥬얼리로서,
    상기 공간(S)에는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석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홈(110), 상기 보석의 상기 일측 부분에 대향하는 타측 부분을 지지하는 제1돌기(130) 및 상기 보석의 아랫 부분을 지지하는 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S)에서 보석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된 제1돌기(130)와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제1측부(210) 및 상기 제1측부(210)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측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200)의 제2측부(220)가 상기 제1부재(10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석과 상기 제1돌기(130)는 복수이고, 상기 제1돌기(130) 사이에는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부재(200)의 제2측부(2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1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부재(100), 보석 및 상기 제1부재(100)에 결합하는 제2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석의 일측 부분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홈(110), 상기 보석의 상기 일측 부분에 대향하는 타측 부분을 지지하는 제1돌기(130) 및 상기 보석의 아랫 부분을 지지하는 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S)에 상기 보석을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100)에 형성된 제1돌기(130)와 보석의 상부면 일부를 덮는 제1측부(210)와 상기 제1측부(210)의 외측 단부로부터 절곡된 제2측부(220)를 구비하는 상기 제2부재(200)를 제1부재(100)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를 제작하는 방법
  4. 손가락에 끼워지는 제1링 부재(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4) 및 손가락에 끼워지는 제2링 부재(3)를 포함하는 보석이 구비된 반지로서,
    상기 제1링 부재(2)에는 상기 보석(4)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에는 상기 보석(4)의 일측면을 수용하며 지지하는 원형 형상의 홈(2c), 상기 보석(4)의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돌기(7) 및 상기 보석(4)의 아랫면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서 보석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상기 제2링 부재(3)는 상기 제1링 부재(2)와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돌기(7) 전체와 보석(4)의 상부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링 부재(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구비한 반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링 부재(3)는 상기 제1돌기(7) 전체와 보석(4)의 상부면 일부를 수용하는 제1측부(3a)와, 상기 제1측부(3a)의 외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부(3b)를 구비하며,
    상기 제1측부(3)의 외경은 상기 제1링 부재(2)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제2측부(3b)의 내경은 상기 제1링 부재(2)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구비한 반지
KR1020180160736A 2018-12-13 2018-12-13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KR10215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36A KR102151857B1 (ko) 2018-12-13 2018-12-13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736A KR102151857B1 (ko) 2018-12-13 2018-12-13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74A true KR20200072774A (ko) 2020-06-23
KR102151857B1 KR102151857B1 (ko) 2020-10-15

Family

ID=7113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736A KR102151857B1 (ko) 2018-12-13 2018-12-13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8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56B1 (ko) * 2010-02-09 2012-09-18 김태찬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KR101571053B1 (ko) * 2014-07-18 2015-11-23 한영숙 결합형 반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56B1 (ko) * 2010-02-09 2012-09-18 김태찬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KR101571053B1 (ko) * 2014-07-18 2015-11-23 한영숙 결합형 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857B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177A (en) Gem stone mount
JP6503288B2 (ja) 宝石製品、宝石製品用の締め具の作製方法、イヤリング用の留め具、留め具を形成するための部品のキットおよびキットから組み立てられるイヤリング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WO2016030922A1 (ja) 略環状装身具
EP1808090A1 (en) Jewelry setting
JP2020075079A (ja) 宝石セッティング台
JP3182683B2 (ja) 宝石保持具及び宝石装身具
KR20200072774A (ko) 보석을 구비한 쥬얼리
US11766100B1 (en) Interchangeable piece or set of jewelry
JP2017079836A (ja) 宝石用石座、宝石の石座取付方法及び装身具
US11197522B2 (en) Modular jewelry system
CN110545690B (zh) 饰品
JP6917098B1 (ja) 宝石支持台および装飾具
JP5089937B2 (ja) 宝石用台座
KR101773816B1 (ko) 보석이 부착된 반지의 제조방법
KR20160126929A (ko) 보석부재를 가지는 액세서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CN109198822B (zh) 宝石炫彩微镶工艺以及穿戴饰品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1762B1 (ko) 유동형 난집조립체 및 이 유동형 난집조립체의 스프링타입 유동체 제조방법
US20230371660A1 (en) Wearable decorative element
KR102254742B1 (ko) 보석의 난집 조립체
KR101974058B1 (ko) 장신구 결합체
KR101973201B1 (ko) 벌어짐이 없고 생산성이 우수한 장식용 보석 난집
KR101883965B1 (ko) 연결형 장신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