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736B1 -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 Google Patents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736B1
KR101496736B1 KR20140000962A KR20140000962A KR101496736B1 KR 101496736 B1 KR101496736 B1 KR 101496736B1 KR 20140000962 A KR20140000962 A KR 20140000962A KR 20140000962 A KR20140000962 A KR 20140000962A KR 101496736 B1 KR101496736 B1 KR 10149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main body
circular
accessory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현
Original Assignee
문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현 filed Critical 문종현
Priority to KR2014000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에 스톤이나 보석을 박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금속에 스톤홈을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의 스톤을 결합하여 장신구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원형의 반지나 팔찌 및 원형 장신구를 제작함에 있어 손쉽게 그리고 스톤 등의 장신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스톤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다수 개 형성된 장신구라인본체를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로 형성하는 원통스프링라인본체형성단계; 상기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에 대해서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하여 단위장신구본체를 형성하는 1주기원형단위절단단계;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된 단위장신구본체의 양 끝단을 접합시켜 원형장신구본체를 구비하는 원형장신구본체접합단계; 단일 원형장신구본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안착홈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을 접합테잎으로 접합하여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 안착홈에 스톤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가 압착롤러에 의해 스톤 상부로 굽혀져 스톤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FIX METHOD OF STONE AND RING TYPE JEWELRY}
본 발명은 금속에 스톤이나 보석을 박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금속에 스톤홈을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의 스톤을 결합하여 장신구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원형의 반지나 팔찌 및 원형 장신구를 제작함에 있어 손쉽게 그리고 스톤 등의 장신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금속은 금속에 광물류인 스톤이나 보석을 삽입시켜 미감을 돋보이는 형태로 제작된다. 요즘 들어 팔찌나 목걸이 및 장신구 중에 장형으로 일련의 보석이나 스톤이 체결된 라인형 귀금속이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귀금속을 체결하기 위해서 금속본체에 형성하는 스톤홈의 형성방법에서 만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의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장신구의 본체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며 시작된다.
장신구의 본체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을 형성한다. 이 안착홈은 일반적으로 가압되거나 롤링으로 눌린 홈으로 하나일 수도 있고, 일렬로 늘어선 홈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단계: 장신구의 본체에 형성된 안착홈의 내측으로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4각의 안착홈의 내측으로 스톤의 뿌리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3단계: 안착홈과 수용홈이 만나는 모서리를 일부 절개하여 스톤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스톤홈은 스톤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지 않도록 형성하는 홈으로 스톤의 외주면에 맞추어 모서리를 일부 절단시키는 형태이다.
다음으로 제4단계: 측벽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홈의 내측으로 절곡된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측벽의 끝단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측벽을 절곡시키는 것이다. 끝단은 절곡되어 안착홈의 내측으로 접근해오며 만일 스톤이 끼워지게 되면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톤홈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안착홈을 바로 형성하고, 다음으로 수용홈을 형성할 때, 정확한 형상이 나오지 않는다. 안착홈은 직사각형이고, 수용홈은 요철의 형상이기에 가압을 통해 서 형상변형을 할 때, 윗부분으로 살이 올라와 사실상 정확한 형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대부분 반지나 귀걸이 등의 장신구는 원형의 형태를 이루나, 종래 방법에 의한 본체는 대부분 직선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스톤의 결합한 이후에 원형으로 가공할 경우 스톤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실용신안출원 제20-1998-0015964호 특허출원 제10-1998-0017261호 특허출원 제10-2011-004183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인 형태의 본체를 형성한 이후 원톤 스프링 형태로 본체를 형성하고 단위 원형장신구 본체를 형성하여 스톤을 결합하기 때문에 스톤 결합 이후 본체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아 스톤과의 결합상태가 양호하게 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스톤을 장신구에 결합시킬 경우 접합테잎을 이용하여 다수 스톤을 한번에 결합시킴으로써 스톤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 스톤이 제자리게 손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톤이 안착홈에 위치된 이후, 별도의 압착롤러에 의해 스톤고정부를 가압함으로써 손쉽게 스톤을 고정시키는 것이며, 스톤의 고정시키기 위해 압착하더라도 안착홈을 변형시키지 않아 스톤이 손상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스톤을 원형 형태의 장신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견고하게 스톤이 고정된 반지, 팔찌, 목걸이, 귀걸이 등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톤(110)이 안착되는 안착홈(120)이 다수 개 형성된 장신구라인본체를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로 형성하는 원통스프링라인본체형성단계(S10); 상기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에 대해서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하여 단위장신구본체(20)를 형성하는 1주기원형단위절단단계(S20);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된 단위장신구본체(20)의 양 끝단을 접합시켜 원형장신구본체(30)를 구비하는 원형장신구본체접합단계(S30); 단일 원형장신구본체(3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안착홈(120)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을 접합테잎(40)으로 접합하여 안착홈(120)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S40); 안착홈(120)에 스톤(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0)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130)를 압착롤러(50)에 의해 스톤(110) 상부로 굽혀져 스톤(110)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원통형스프링라인본체형성단계(S10)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하는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는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직선형의 라인본체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압착롤러(50)는 중앙이 상부로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아래로 위치되어 상협하광의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에 의해 스톤고정부(130)를 눌러 중앙으로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스톤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100)는, 원형 형태의 반지; 원형 형태, C자형으로 일측에 핀이 결합된 형태, 상부가 개구된 오메가(omega)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귀걸이; 목걸이; 및 팔찌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라인 형태의 본체를 형성한 이후 원톤 스프링 형태로 본체를 형성하고 단위 원형장신구 본체를 형성하여 스톤을 결합하기 때문에 스톤 결합 이후 본체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아 스톤과의 결합상태가 양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다수의 스톤을 장신구에 결합시킬 경우 접합테잎을 이용하여 다수 스톤을 한번에 결합시킴으로써 스톤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 스톤이 제자리게 손쉽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스톤이 안착홈에 위치된 이후, 별도의 압착롤러에 의해 스톤고정부를 가압함으로써 손쉽게 스톤을 고정시키는 것이며, 스톤의 고정시키기 위해 압착하더라도 안착홈을 변형시키지 않아 스톤이 손상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스톤을 원형 형태의 장신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견고하게 스톤이 고정된 반지, 팔찌, 목걸이, 귀걸이 등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에 스톤을 고정시키는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장신구에 다수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된 안착홈에 스톤을 고정시키는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된 길게 된 형태의 장신구라인본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스프링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스프링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에서 1주기만큼 절단한 단위장신구본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원형장신구본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원형장신구본체에 접합테잎에 결합된 다수 스톤을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원형장신구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접합테잎 및 다수 스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원형장신구본체에 스톤을 결합하여 호형상의 압착롤러에 의해 스톤고정부를 가압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원형장신구본체에 스톤을 결합하여 경사면 형상의 압착롤러에 의해 스톤고정부를 가압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봉에 의해 회전되는 원형 형태의 원형장신구본체에 스톤을 결합하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원형장신구본체에 스톤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장신구로써 반지의 장신구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장신구로써 일측에 핀이 있는 귀걸이의 장신구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장신구로써 일측이 개구된 오메가(omega) 형상의 귀걸이의 장신구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100)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17 등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스톤(110)이 안착홈(120)에 결합되어 반지, 귀걸이 또는 목걸이의 장식 등의 장신구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에 스톤은 다이아몬드, 보석, 기타 장식용 귀금속 등이 포함되는 것이며, 이러한 스톤이 다수개 구비된 장신구를 생산하는 것이 본 발명에 대한 것이다.
특히 하기에서와 같이 장신구(100) 생산방법으로써 스톤을 고정하는 방법은 우선 원형 형태의 라인 본체를 형성한 상태에서 다수 개의 스톤을 결합하는 것이다.
즉 후술되는 원통형스프링라인본체형성단계(S10)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하는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는 도 1 내지 도 4 등에서의 예시에서와 같이, 다수 단계를 거쳐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직선형의 라인본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장신구라인본체는 대체로 직선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안착홈의 다양한 형태를 구성함에 있어서 압착롤러 형태로 하는 장치에 의해 장신구라인본체에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이나 시간을 절약하고 안착홈이나 본체의 형태도 균형된 형태를 이루게 될 것이다. 그외 기타 다른 방식에 의하더라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본체로써 제공될 수 있는 등,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생산방법에 대한 생산환경에 알맞게 정하여져 길게 형성된 장신구라인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톤(110)이 안착되는 안착홈(120)이 다수 개 형성된 장신구라인본체를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로 형성하는 원통스프링라인본체형성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도 5에서처럼 대체로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 형태를 이루어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를 이루게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에 대해서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하여 단위장신구본체(20)를 형성하는 1주기원형단위절단단계(S20)를 수행한다. 따라서 도 6에서처럼 1주기의 원형 형태로 단위체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원형의 형태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된 단위장신구본체(20)의 양 끝단을 접합시켜 원형장신구본체(30)를 구비하는 원형장신구본체접합단계(S30)를 수행한다.
따라서 도 7에서처럼 완전한 원형 고리형태를 갖추게 된다.
다음으로 단일 원형장신구본체(3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안착홈(120)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을 접합테잎(40)으로 접합하여 안착홈(120)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S40)를 수행한다. 즉 도 8 및 도 9 등에서와 같이 스톤(110) 상부 중앙으로 접합테잎(40)이 접착되어 단일 원형장신구본체(30)에 알맞은 수의 스톤(110)을 손쉽게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따라서 많은 수의 스톤을 손쉽게 장신구에 결합시켜 생산과정이 손쉽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생산과정이 완료되면 스톤 및 장신구로부터 접합테잎(40)을 제거하여 장신구 및 스톤의 결합이 손쉽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안착홈(120)에 스톤(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0)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130)를 압착롤러(50)로 가압하여, 스톤(110) 상부로 굽혀져 스톤(110)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S50)를 수행한다.
즉 회전축봉(51)에 결합된 원형장신구본체(30)의 스톤(110)이 압착롤러(50)에 가압된 스톤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스톤(110)이 스톤고정부(130)에 의해 안착홈(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접합테잎(40)을 제거하여 장신구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압착롤러(50)는 도 10, 도 11 등에서와 같이 중앙이 상부로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아래로 위치되어 상협하광의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에 의해 스톤고정부(130)를 눌러 중앙으로 압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압착롤러(50)는 스톤고정부(130)와 접하는 부분이 하향의 원호를 형성하는 원호형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평면형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손쉽게 스톤고정부(130)가 휘어지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의 스톤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장신구(100)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장신구(100)는, 도 14에서처럼 원형 형태의 반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는 도 15, 도 16에서처럼 원형 형태, C자형으로 일측에 핀이 결합된 형태, 상부가 개구된 오메가(omega)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에 의하여 생상된 장신구로써 반지, 목걸이 장식, 귀걸이, 팔찌 등 다양한 장신구를 손쉽게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
20 : 단위장신구본체 30 : 원형장신구본체
40 : 접합테잎 50 : 압착롤러
100 : 장신구 110 : 스톤
120 : 안착홈 130 : 스톤고정부

Claims (4)

  1. 스톤(110)이 안착되는 안착홈(120)이 다수 개 형성된 장신구라인본체를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로 형성하는 원통스프링라인본체형성단계(S10);
    상기 원통형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에 대해서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하여 단위장신구본체(20)를 형성하는 1주기원형단위절단단계(S20);
    1주기의 원형 단위로 절단된 단위장신구본체(20)의 양 끝단을 접합시켜 원형장신구본체(30)를 구비하는 원형장신구본체접합단계(S30);
    단일 원형장신구본체(3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안착홈(120)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을 접합테잎(40)으로 접합하여 안착홈(120)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S40); 및
    안착홈(120)에 스톤(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0)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130)를 압착롤러(50)에 의해 스톤(110) 상부로 굽혀 스톤(110)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S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원통형스프링라인본체형성단계(S10)의 스프링장신구라인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하는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는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직선형의 라인본체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50)는 중앙이 상부로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아래로 위치되어 상협하광의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면에 의해 스톤고정부(130)를 눌러 중앙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톤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100)는,
    원형 형태의 반지;
    원형 형태, C자형으로 일측에 핀이 결합된 형태, 상부가 개구된 오메가(omega)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귀걸이;
    목걸이; 및
    팔찌;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20140000962A 2014-01-04 2014-01-04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149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962A KR101496736B1 (ko) 2014-01-04 2014-01-04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962A KR101496736B1 (ko) 2014-01-04 2014-01-04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736B1 true KR101496736B1 (ko) 2015-03-04

Family

ID=5302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0962A KR101496736B1 (ko) 2014-01-04 2014-01-04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825B1 (ko) 2017-06-13 2018-10-18 김광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코일장신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44A (ko) * 1998-05-13 1998-07-25 문종현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JP3137955U (ja) * 2007-10-02 2007-12-13 株式会社 工房グリ−ム 宝石の取付構造
KR20120082535A (ko) * 2011-01-14 2012-07-24 문종현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EP2712513A2 (en) * 2012-09-27 2014-04-02 Treemme S.P.A. Unipersonale Elastic bracel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44A (ko) * 1998-05-13 1998-07-25 문종현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JP3137955U (ja) * 2007-10-02 2007-12-13 株式会社 工房グリ−ム 宝石の取付構造
KR20120082535A (ko) * 2011-01-14 2012-07-24 문종현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EP2712513A2 (en) * 2012-09-27 2014-04-02 Treemme S.P.A. Unipersonale Elastic brace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825B1 (ko) 2017-06-13 2018-10-18 김광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코일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852923A (en) Jewelry chain constru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costume jewelry therefrom
CN100563497C (zh) 一种部件式镶口钻石首饰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US57653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stones in jewelry
EP1808090A1 (en) Jewelry setting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1176869B1 (ko) 스톤을 고정하기 위한 장신구라인의 스톤홈 형성방법
KR20170011430A (ko) 보석의 반사율을 높여주는 빛 유입구와 보석 조립이 용이하도록 역마름모꼴 형태로 보석물림 홈을 구성한 보석체인용 난집
KR20050107350A (ko) 꽃모양의 장식부재를 가진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41105B1 (ko)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2153868B1 (ko)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US20080041100A1 (en) Method for adding adornments to metal jewelry
KR101767204B1 (ko)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CN210227162U (zh) 一种金饰品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1541109B1 (ko) 줄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3093750U (ja) 宝石部が動く支持台
CN210382922U (zh) 一种宝石饰品
KR960005947B1 (ko) 장신구
US20070095103A1 (en) Jewelry pendant ring
JP3152795U (ja) 装身具用の貴金属製中空丸玉
JP4163066B2 (ja) 装身具用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指輪並びに装身具用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