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535A -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 Google Patents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535A
KR20120082535A KR1020110003836A KR20110003836A KR20120082535A KR 20120082535 A KR20120082535 A KR 20120082535A KR 1020110003836 A KR1020110003836 A KR 1020110003836A KR 20110003836 A KR20110003836 A KR 20110003836A KR 20120082535 A KR20120082535 A KR 2012008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groove
side wall
fixing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현
Original Assignee
문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현 filed Critical 문종현
Priority to KR102011000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2535A/ko
Publication of KR2012008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에 스톤이나 보석을 박아 고정하여 보석으로서 활용하는 고정방법 중 약간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체에 4각의 안착홈과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안착홈과 수용홈의 면접부위에 스톤홈을 형성하며, 안착홈을 이루는 측벽을 일단 가압하고 외측으로 벌려 스톤을 삽입한 상태에서 스톤밀착부를 형성하되, 스톤과 스톤밀착부 사이에 어느 정도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스톤이 수용된 본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스톤을 안정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the jewelry and method to fix stone}
본 발명은 금속에 스톤이나 보석을 박아 고정하여 보석으로서 활용하는 고정방법 중 약간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체에 4각의 안착홈과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안착홈과 수용홈의 면접부위에 스톤홈을 형성하며, 안착홈을 이루는 측벽을 일단 가압하고 외측으로 벌려 스톤을 삽입한 상태에서 스톤밀착부를 형성하되, 스톤과 스톤밀착부 사이에 어느 정도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스톤이 수용된 본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스톤을 안정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류는 금속에 광물류인 스톤이나 보석을 삽입시켜 미감을 돋보이는 형태로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스톤을 삽입하고, 고정하는 기술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종래의 방법은 도시된 도 1 내지 3에서처럼, 반지와 같은 링형의 장신구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링체(70)의 재료가 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파이프(60)를 소정의 폭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그 외주면에 스톤을 수용하기 위한 스톤 수용홈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링체(7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톤 수용부에 수용되어 부착될 다수의 스톤(20)을 테이프(30)에 부착한다. 이렇게 테이프(30)에 부착된 스톤(20)을 링체(70)의 스톤 수용부에 한 번에 삽입하고, 링체(70)의 상면을 압착하여 스톤(20)을 링체(70)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전술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은 스톤(20)이 내장된 링체(70)를 링체(7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한다는 점이다. 스톤(20)의 전방을 가압해야만 하기에 편향되게 돌출된 부분을 정확하게 가압해야만 한다. 이는 작업이 세밀하게 진행되어야 하기에 공정의 시간이 많이 투입된다. 한번에 하나씩의 스톤(20)만을 고정시킬 수 있기에 번거로움이 높다.
또한 스톤(20)이 다수 개 부착된 링체(7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되, 다수 개를 연달아 가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문제가 있다.
스톤(20)이 수용된 링체(70)를 회전시키면서 롤러로 밀어 넣으며 스톤(20)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슬러지의 낭비가 심하다. 또한 이렇게 다수 개의 스톤을 롤러를 통해서 가압해야만 하기에 완벽하게 링형이나 원형의 장신구만이 가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금속에 스톤이나 보석을 박아 고정하여 보석으로서 활용하는 고정방법 중 약간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에 4각의 안착홈과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안착홈과 수용홈의 면접부위에 스톤홈을 형성하며, 안착홈을 이루는 측벽을 일단 가압하고 외측으로 벌려 스톤을 삽입한 상태에서 스톤밀착부를 형성하되, 스톤과 스톤밀착부 사이에 어느 정도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스톤이 수용된 본체의 측면을 가압하여 스톤을 안정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은, 제1단계; 장신구의 본체(10)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11)을 형성하는 단계; 제2단계; 장신구의 본체(10)에 형성된 안착홈(11)의 내측으로 수용홈(12)을 형성하는 단계; 제3단계; 안착홈(11)과 수용홈(12)이 만나는 모서리를 일부 절개하여 스톤홈(13)을 형성하는 단계; 제4단계; 측벽(14)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홈(11)의 내측으로 절곡된 측벽(14)을 형성하는 단계; 제5단계; 절곡된 측벽(14)을 좌우방향으로 벌려 팔 벌린 측벽(14)으로 넓혀주어 간격(A)과 스톤밀착부(16)를 형성시키는 단계; 제6단계; 팔 벌린 측벽(14)의 내측인 안착홈(11)과 수용홈(12) 및 스톤홈(13)에 스톤(20)을 안착시키되, 스톤(20)과 팔 벌린측벽(14)간에 간격(A)이 유지되게 하는 단계; 제8단계; 팔 벌린측벽(14)의 측방을 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간격(A)을 좁힘과 동시에 스톤(20)을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에 따른, 제7단계의 스톤(20)과 팔 벌린측벽(14)간에 형성되는 간격(A)은, 0.1-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에 따라 원형, 타원형, 물방울형, 일부가 터진 원형, 일부가 터진 타원형, 일부가 터진 물방울형의 장신구(70) 가공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한 공정을 통해서 대다수 형상의 보석을 가공할 수 있으며, 그 스톤을 고정할 때에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장신구에 스톤을 고정함에 있어서, 스톤이 깨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스톤을 장신구에 고정함에 있어서 롤러 가압 공정을 사용하기에 슬러지가 적게 발생되며, 그에 따라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 스톤 고정방법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스톤 고정방법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스톤 고정방법의 가압된 링체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스톤고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스톤고정방법의 특징부만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스톤고정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 보석류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스톤고정방법으로 측방을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보석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4 내지 7를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제1단계; 장신구의 본체(10)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11)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며 시작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장신구의 본체(10)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11)을 형성한다. 이 안착홈(11)은 일반적으로 가압되거나 롤링으로 눌린 홈으로 하나일 수도 있고, 일렬로 늘어선 홈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2단계; 장신구의 본체(10)에 형성된 안착홈(11)의 내측으로 수용홈(12)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도시된 도 4의 도면에서처럼 4각의 안착홈(11)의 내측으로 스톤(20)의 뿌리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11)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3단계; 안착홈(11)과 수용홈(12)이 만나는 모서리를 일부 절개하여 스톤홈(13)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스톤홈(13)은 스톤(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지 않도록 형성하는 홈으로 스톤(20)의 외주면에 맞추어 모서리를 일부 절단시키는 형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4단계; 측벽(14)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홈(11)의 내측으로 절곡된 측벽(14)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측벽의 끝단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측벽을 절곡시키는 것이다. 끝단은 절곡되어 안착홈의 내측으로 접근해오며 만일 스톤이 끼워지게 되면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5단계; 절곡된 측벽(14)을 좌우방향으로 벌려 팔 벌린 측벽(14)으로 넓혀주어 간격(A)과 스톤밀착부(16)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 공정은 본 발명만의 아주 독특한 공정으로서 4단계를 거치며 세워진 측벽을 좌우 방향으로 벌려 팔 발린 측벽(1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종래 대다수의 스톤고정방법에서는 스톤(20)의 크기나 지름에 정확한 안착홈(11)과 그 측벽을 비치하여 스톤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완전히 무시하고, 스톤(20)에 비하여 약간의 간격(A)을 가질 수 있도록 측벽의 팔을 벌려주게 된다. 결국 이러한 팔 벌린측벽(14)의 내측에 끼인 스톤(20)은 그 측벽과 안착홈(11) 내부에서 이리저리 연동이 될 수 있도록 종래의 고정방법에 비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측벽(14)을 좌우 방향으로 벌려 준 상태이기에 측벽(14)은 절곡되어 자연스럽게 스톤밀착부(16)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스톤(20)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6단계; 팔 벌린 측벽(14)의 내측인 안착홈(11)과 수용홈(12) 및 스톤홈(13)에 스톤(20)을 안착시키되, 스톤(20)과 팔 벌린 측벽(14)간에 간격(A)이 유지되게 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세하게는 팔 벌린 측벽(14)의 내측으로 스톤(20)을 안착시킨다. 이때 사용하는 방법은 종래와 같이 접착층을 가진 테이프에 다수 또는 하나의 스톤(20)을 부착시키고, 안착홈(11)에 안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7단계; 팔 벌린측벽(14)의 측방을 금형이나 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간격(A)을 좁힘과 동시에 스톤(20)을 고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마지막 공정으로 전술된 6단계를 통해서 어느 정도의 간격(A)을 가진 상태로 팔 벌린 측벽(14)의 내측에 수용된 스톤(20)을 측방에서 가압해 주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스톤(20)이 수용된 본체(10)를 측면에서 금형이나 가압수단을 통해서 가압하되, 팔 벌린 측벽(14)이 그 팔을 좁힐 수 있도록 가압해 준다. 이러한 가압을 통해서 팔 벌린측벽(14)은 그 폭을 좁힘과 동시에 스톤(20)을 정확하게 물어줄 수 있도록 하며, 도시된 도 4에서처럼 꺽여진 스톤밀착부(16)도 팔 벌린측벽(14)이 그 간격(A)을 좁히면서 스톤(20)의 헤드부분으로 근접해와, 스톤(20)을 상부에서 자연스럽게 가압해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포인트는 여기에 있다. 종래는 스톤을 고정할 때에 있어서 스톤(20)에 비하여 동일한 크기의 안착홈(11)과 수용홈(12)을 형성하여 가압하기에 스톤(20)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는데, 본 발명은 스톤(20)과 팔 벌린 측벽(14)간에 일정한 간격(A)을 항상 형성시키기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고, 링형상의 장신구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스톤이 깨지지 않는다는 장점도 살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시된 도 6에서처럼, 플레이트만을 이용하여 측방을 가압하여도 스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와 같이 금형을 떠서 그 금형을 이용하여 가압하지 않고도 플레이트(31, 32)만을 이용하여 가압이 가능하기에 본 발명은 유용한 것이다.
전술된 공정에서 상기 제7단계의 스톤(20)과 팔 벌린측벽(14)간에 형성되는 간격(A)은, 0.1-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수치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많은 실시를 통해서 취득한 지식인데, 도시된 도 4, 5에서처럼 일측의 간격이 0.1-1mm 정도 되게 형성하고, 금형을 통해서 그 측방을 가압할 때, 이 간격을 고려하여 스톤(20)이 깨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모든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통해, 원형, 타원형, 물방울형, 일부가 터진 원형, 일부가 터진 타원형, 일부가 터진 물방울형의 장신구 가공도 가능하다. 즉 측방을 가압하는 방식이기에 장신구의 형태가 제안받지 않는다.
단순하게 금형이나 혹은 평판형의 플레이트 상에 스톤(20)이 내장된 상태의 장신구(70)를 올려두고 측방을 플레이트나 금형으로 가압하는 방식만으로 스톤(20)을 고정할 수 있기에 장신구(70)의 형상은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장신구(70)의 일측이 터진 상태라도 활용이 가능하다.
10; 본체 11; 안착홈
12; 수용홈 14; 팔 벌린측벽
20; 스톤 A; 간격

Claims (3)

  1. 제1단계; 장신구의 본체(10)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11)을 형성하는 단계;
    제2단계; 장신구의 본체(10)에 형성된 안착홈(11)의 내측으로 수용홈(12)을 형성하는 단계;
    제3단계; 안착홈(11)과 수용홈(12)이 만나는 모서리를 일부 절개하여 스톤홈(13)을 형성하는 단계;
    제4단계; 측벽(14)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홈(11)의 내측으로 절곡된 측벽(14)을 형성하는 단계;
    제5단계; 절곡된 측벽(14)을 좌우방향으로 벌려 팔 벌린 측벽(14)으로 넓혀주어 간격(A)과 스톤밀착부(16)를 형성시키는 단계;
    제6단계; 팔 벌린 측벽(14)의 내측인 안착홈(11)과 수용홈(12) 및 스톤홈(13)에 스톤(20)을 안착시키되, 스톤(20)과 팔 벌린측벽(14)간에 간격(A)이 유지되게 하는 단계;
    제7단계; 팔 벌린측벽(14)의 측방을 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간격(A)을 좁힘과 동시에 스톤(2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7단계의 스톤(20)과 팔 벌린측벽(14)간에 형성되는 간격(A)은,
    0.1-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통해, 원형, 타원형, 물방울형, 일부가 터진 원형, 일부가 터진 타원형, 일부가 터진 물방울형의 장신구(70) 가공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KR1020110003836A 2011-01-14 2011-01-14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20120082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836A KR20120082535A (ko) 2011-01-14 2011-01-14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836A KR20120082535A (ko) 2011-01-14 2011-01-14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535A true KR20120082535A (ko) 2012-07-24

Family

ID=4671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836A KR20120082535A (ko) 2011-01-14 2011-01-14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25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36B1 (ko) * 2014-01-04 2015-03-04 문종현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CN111427252A (zh) * 2020-03-26 2020-07-17 深圳市帕玛精品制造有限公司 手表装饰物的镶嵌方法
CN112220170A (zh) * 2020-10-14 2021-01-15 深圳市睿和珠宝实业有限公司 一种珠宝镶嵌组装结构以及相应的珠宝组装方法
CN113876091A (zh) * 2021-09-15 2022-01-04 周六福珠宝股份有限公司 一种钻石戒指切割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36B1 (ko) * 2014-01-04 2015-03-04 문종현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CN111427252A (zh) * 2020-03-26 2020-07-17 深圳市帕玛精品制造有限公司 手表装饰物的镶嵌方法
CN112220170A (zh) * 2020-10-14 2021-01-15 深圳市睿和珠宝实业有限公司 一种珠宝镶嵌组装结构以及相应的珠宝组装方法
CN113876091A (zh) * 2021-09-15 2022-01-04 周六福珠宝股份有限公司 一种钻石戒指切割方法
CN113876091B (zh) * 2021-09-15 2024-03-29 周六福珠宝股份有限公司 一种钻石戒指切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8190B2 (en) Invisible setting and methods and tools for effecting same
KR20120082535A (ko)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US8764283B2 (en) Process and device for fastening a glass to a bezel
EP2487330A3 (en) Components with cooling chann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2342635B (zh) 用于多宝石珠宝件的多琢面宝石
WO2007064848A3 (en) Process for making an orthodontic band
DE502006000364D1 (de) Rollenwerkzeug zur linienhaften Blechverformung sowie Blechverformungsvor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Rollenwerkzeug
JP5350801B2 (ja) 無段変速機用プッシュベルトの一部となる横断要素の製造方法
JP2007275976A (ja) プレス金型、バーリング加工方法、プレス加工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加工品
US20140352387A1 (en) Element blank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272458A (ja) 軸形成方法
GB2390047B (en) Split die groove maker
WO200703552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cision parts
KR100271609B1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US20090311069A1 (en) Insert nut and insert t-nut
NZ600849A (en) Offset nail and method of making an offset nail
JP2007289989A (ja) 増肉した曲げ部を有する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9972292B2 (en) Precision drum hoop devices and methods
KR102153868B1 (ko)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US20130199044A1 (en) Method of Forming a Sprocket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US20050005639A1 (en) Precious stone setting
CN206024832U (zh) 多槽形母标及包括其的耳标组件
KR101698806B1 (ko)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JP2007283404A (ja) 金属製板状体と柱状体とのカシメ組付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