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105B1 -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 Google Patents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105B1
KR101541105B1 KR1020140000961A KR20140000961A KR101541105B1 KR 101541105 B1 KR101541105 B1 KR 101541105B1 KR 1020140000961 A KR1020140000961 A KR 1020140000961A KR 20140000961 A KR20140000961 A KR 20140000961A KR 101541105 B1 KR101541105 B1 KR 10154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groove
ornamental
se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404A (ko
Inventor
문종현
Original Assignee
문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현 filed Critical 문종현
Priority to KR102014000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1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에 스톤이나 보석을 박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금속에 스톤홈을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의 스톤을 결합하여 장신구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평면을 이루는 반지나 팔찌 및 귀걸이 등의 장신구를 제작함에 있어 손쉽게 그리고 스톤 등의 장신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장신구본체의 상면에 다수 스톤이 안착되는 다수 안착홈들이 형성되는 안착홈형성단계; 다수 안착홈들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을 접합테잎으로 접합하여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 안착홈에 스톤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를 압착롤러의 압착에 의해 스톤 상부로 굽혀 스톤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 및 다수 안착홈에 각각 스톤이 안착되고 고정된 장신구본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측방향을 가압하는 측방향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FIX METHOD OF STONE AND PANEL TYPE JEWELRY}
본 발명은 금속에 스톤이나 보석을 박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금속에 스톤홈을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의 스톤을 결합하여 장신구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평면을 이루는 반지나 팔찌 및 귀걸이 등의 장신구를 제작함에 있어 손쉽게 그리고 스톤 등의 장신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금속은 금속에 광물류인 스톤이나 보석을 삽입시켜 미감을 돋보이는 형태로 제작된다. 요즘 들어 팔찌나 목걸이 및 장신구 중에 장형으로 일련의 보석이나 스톤이 체결된 라인형 귀금속이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귀금속을 체결하기 위해서 금속본체에 형성하는 스톤홈의 형성방법에서 만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의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장신구의 본체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며 시작된다.
장신구의 본체에 롤러식 금형이나 가압식 금형으로 펀칭을 하여 4각의 안착홈을 형성한다. 이 안착홈은 일반적으로 가압되거나 롤링으로 눌린 홈으로 하나일 수도 있고, 일렬로 늘어선 홈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단계: 장신구의 본체에 형성된 안착홈의 내측으로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4각의 안착홈의 내측으로 스톤의 뿌리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3단계: 안착홈과 수용홈이 만나는 모서리를 일부 절개하여 스톤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스톤홈은 스톤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지 않도록 형성하는 홈으로 스톤의 외주면에 맞추어 모서리를 일부 절단시키는 형태이다.
다음으로 제4단계: 측벽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홈의 내측으로 절곡된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측벽의 끝단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측벽을 절곡시키는 것이다. 끝단은 절곡되어 안착홈의 내측으로 접근해오며 만일 스톤이 끼워지게 되면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톤홈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안착홈을 바로 형성하고, 다음으로 수용홈을 형성할 때, 정확한 형상이 나오지 않는다. 안착홈은 직사각형이고, 수용홈은 요철의 형상이기에 가압을 통해 서 형상변형을 할 때, 윗부분으로 살이 올라와 사실상 정확한 형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대부분의 스톤 장신구는 원형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스톤 장신구의 생산이 필요하며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 제작시 스톤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만 할 것이다.
실용신안출원 제20-1998-0015964호 특허출원 제10-1998-0017261호 특허출원 제10-2011-004183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면을 이루되 대체로 휘어진 형태의 장신구를 제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톤이 결합되기 위한 안착홈이 직선 형태의 장신구본체에서 별도의 스톤고정부에 의해 스톤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어지도록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수평대의 직선형 장신구, 수평대의 굴곡형 장신구, 수평대의 S자형 장신구 등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장신구본체(10)의 상면에 다수 스톤(110)이 안착되는 다수 안착홈(120)들이 형성되는 안착홈형성단계(S10); 다수 안착홈(120)들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을 접합테잎(40)으로 접합하여 안착홈(120)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S20); 안착홈(120)에 스톤(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0)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130)를 압착롤러(50)의 압착에 의해 스톤(110) 상부로 굽혀 스톤(110)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S30); 및 다수 안착홈(120)에 각각 스톤(110)이 안착되고 고정된 장신구본체(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측방향을 가압하는 측방향가압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안착홈형성단계(S10)의 장신구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하는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는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직선형의 라인본체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측방향가압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장신구본체(10)는 측방향으로 굴곡진 굴곡형, 또는 'S'자 형상으로 휘어진 S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의 스톤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100)는, 측방향으로 굴골진 굴곡형 또는 'S'자 형상으로 휘어진 S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장신구본체(10)의 상면에 다수 스톤(110)이 안착되는 다수 안착홈(120)들이 형성되는 안착홈형성단계(S10); 다수 안착홈(120)들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을 접합테잎(40)으로 접합하여 안착홈(120)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S20); 및 안착홈(120)에 스톤(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0)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130)를 압착롤러(50)의 압착에 의해 스톤(110) 상부로 굽혀 스톤(110)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S30)를 포함하는 스톤 고정방법에 있어서, 다수 안착홈(120)에 각각 스톤(110)이 안착되고 고정된 장신구본체(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측방향을 가압하는 측방향가압단계(S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형성단계(S10)는, 형성되는 다수 안착홈(120)들이 소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스톤안착단계(S20)는, 다수의 안착홈(120)들이 소정 간격을 두어 홈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 안착홈(120)들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이 안착홈(120)들에 안착되며, 상기 스톤고정단계(S30)에서의 압착롤러(50)는 스톤고정부(130)를 가압하는 부분이 상부가 좁고 아래가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압착롤러(50)에 의해 스톤고정부(130)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스톤(110)의 상면 가장자리로 접혀 스톤(1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측방향가압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장신구본체(10)는 측방향으로 굴곡진 굴곡형, 또는 'S'자 형상으로 휘어진 S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수평면을 이루되 대체로 휘어진 형태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수평대를 이루는 수평면에 다수 스톤이 장식되어 심미감을 갖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스톤이 결합되기 위한 안착홈이 직선 형태이면서 수평면을 이루는 장신구본체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고, 스톤의 결합도 직선 형태의 수평면의 장신구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톤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톤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휘어지도록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수평대의 직선형 장신구, 수평대의 굴곡형 장신구, 수평대의 S자형 장신구 등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에 스톤을 고정시키는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장신구에 다수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된 안착홈에 스톤을 고정시키는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가압롤러에 의해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된 길게 된 형태의 장신구라인본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에 안착홈이 형성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의 안착홈에 접합테잎에 접합된 다수 스톤이 결합을 위해 위치된 분리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의 안착홈에 다수 스톤이 접합테잎에 접합된 상태로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의 안착홈에 스톤이 안착되고 스톤고정부를 둥근 원호형 압착롤러에 의해 가압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의 안착홈에 스톤이 안착되고 스톤고정부를 경사면형 압착롤러에 의해 가압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의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의 안착홈에 다수 스톤이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형의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의 안착홈에 다수 스톤이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S자형의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의 안착홈에 다수 스톤이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100)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13 등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스톤(110)이 안착홈(120)에 결합되어 반지, 귀걸이 또는 목걸이의 장식 등의 장신구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에 스톤은 다이아몬드, 보석, 기타 장식용 귀금속 등이 포함되는 것이며, 이러한 스톤이 다수개 구비된 장신구를 생산하는 것이 본 발명에 대한 것이다.
특히 하기에서와 같이 장신구(100) 생산방법으로써 스톤을 고정하는 방법은 우선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본체를 형성한 상태에서 다수 개의 스톤을 결합하는 것이다.
우선 스톤이 결합되기 위한 장신구본체(10)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장신구본체(10)는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처럼 수평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대체로 수평면을 이루며 소정 길이를 갖게 길게 형성된 것이다.
즉 후술되는 안착홈형성단계(S10)의 장신구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하는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는 도 1 내지 도 4 등에서의 예시에서와 같이, 다수 단계를 거쳐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직선형의 라인본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장신구라인본체는 대체로 직선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안착홈의 다양한 형태를 구성함에 있어서 압착롤러 형태로 하는 장치에 의해 장신구라인본체에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이나 시간을 절약하고 안착홈이나 본체의 형태도 균형된 형태를 이루게 될 것이다. 그외 기타 다른 방식에 의하더라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본체로써 제공될 수 있는 등,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생산방법에 대한 생산환경에 알맞게 정하여져 길게 형성된 장신구라인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신구라인본체에 대해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안착홈 및 스톤고정부(130)가 형성되어 장신구본체(10)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스톤고정부(130)는 후술되는 과정 중에서 굽혀져 스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평면을 이루는 장신구본체(10)의 상면에 스톤(110)이 안착되는 다수 안착홈(120)들이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안착홈형성단계(S10)를 수행하는 것이다. 안착홈(120)은 가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다수 안착홈(120)들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을 접합테잎(40)으로 접합하여 안착홈(120)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S20)를 수행한다. 따라서 스톤이 장착되기 위한 다수의 안착홈(120)들이 소정 간격을 두어 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홈(120)에 스톤(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0)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130)를 압착롤러(50)의 압착에 의해 스톤(110) 상부로 굽혀 스톤(110)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S30)를 수행한다.
즉 도 8, 도 9 등에서와 같이 스톤고정부(130)를 가압하는 압착롤러(50)는 스톤고정부(130)를 가압하는 부분이 대체로 상부가 좁고 아래가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스톤고정부(130)와 접하는 부분은 안쪽으로 상향을 향하는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며, 원호면 또는 평면이 되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압착롤러(50)의 압착에 의해 스톤고정부(130)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스톤(110)의 상면 가장자리로 접혀 스톤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다수 안착홈(120)에 각각 스톤(110)이 안착되고 고정된 장신구본체(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측방향을 가압하는 측방향가압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러한 측방향가압단계(S40)에 있어서, 장신구본체(10) 측면을 가압하는 수단으로는 대체로 가압롤러(미도시됨)가 이용될 수 있으며, 가압롤러의 가압에 의해 굽어지고 반대측에서 이격된 곳에는 지지롤러(미도시됨)나 지지대 등에 의해 지지된 부분은 휘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신구본체(10)는 측방향으로 휘어진 굴곡형태 또는 'S'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11, 도 12 등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기 측방향가압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장신구본체(10)는 측방향으로 굴곡진 굴곡형, 또는 'S'자 형상으로 휘어진 S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보다 심미감을 갖는 것이다.
물론 측방향가압단계(S40)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직선형의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를 이루는 것이며, 도 10에서처럼 직선 수평대로써의 심미감을 갖는 것이며,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수평대 형태의 장신구(100)를 제조하는 스톤고정방법에 의하면 수평대 형태로 하는 심미감을 갖는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스톤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100)는, 측방향으로 굴골진 굴곡형 또는 'S'자 형상으로 휘어진 S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장신구본체
40 : 접합테잎 50 : 압착롤러
100 : 장신구 110 : 스톤
120 : 안착홈 130 : 스톤고정부

Claims (4)

  1.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장신구본체(10)의 상면에 다수 스톤(110)이 안착되는 다수 안착홈(120)들이 형성되는 안착홈형성단계(S10);
    다수 안착홈(120)들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을 접합테잎(40)으로 접합하여 안착홈(120)에 안착시키는 스톤안착단계(S20); 및
    안착홈(120)에 스톤(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0) 주위에 상향으로 돌출된 스톤고정부(130)를 압착롤러(50)의 압착에 의해 스톤(110) 상부로 굽혀 스톤(110)을 고정시키는 스톤고정단계(S30)를 포함하는 스톤 고정방법에 있어서,
    다수 안착홈(120)에 각각 스톤(110)이 안착되고 고정된 장신구본체(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측방향을 가압하는 측방향가압단계(S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형성단계(S10)는, 형성되는 다수 안착홈(120)들이 소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스톤안착단계(S20)는, 다수의 안착홈(120)들이 소정 간격을 두어 홈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 안착홈(120)들의 개수와 동일한 스톤(110)이 안착홈(120)들에 안착되며,
    상기 스톤고정단계(S30)에서의 압착롤러(50)는 스톤고정부(130)를 가압하는 부분이 상부가 좁고 아래가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압착롤러(50)에 의해 스톤고정부(130)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스톤(110)의 상면 가장자리로 접혀 스톤(1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측방향가압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장신구본체(10)는 측방향으로 굴곡진 굴곡형, 또는 'S'자 형상으로 휘어진 S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안착홈형성단계(S10)의 장신구본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장신구라인본체를 형성하는 장신구라인본체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라인본체에 대해 안착홈형성롤러에 의해 안착홈 및 스톤고정부가 형성되어 장신구본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스톤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100)는,
    측방향으로 굴곡진 굴곡형 또는 'S'자 형상으로 휘어진 S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20140000961A 2014-01-04 2014-01-04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154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961A KR101541105B1 (ko) 2014-01-04 2014-01-04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961A KR101541105B1 (ko) 2014-01-04 2014-01-04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404A KR20150081404A (ko) 2015-07-14
KR101541105B1 true KR101541105B1 (ko) 2015-08-06

Family

ID=5379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961A KR101541105B1 (ko) 2014-01-04 2014-01-04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1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404A (ko)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2923A (en) Jewelry chain constru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costume jewelry therefrom
CN102342635B (zh) 用于多宝石珠宝件的多琢面宝石
US6442971B1 (en) Multi-stone round center setting for diamonds and gemstones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US20090229307A1 (en) Method of decorating an article
US7730743B2 (en) Gem setting having grooved channel walls and methods of setting gems
KR101176869B1 (ko) 스톤을 고정하기 위한 장신구라인의 스톤홈 형성방법
KR101541105B1 (ko)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1184156B1 (ko)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2017079836A (ja) 宝石用石座、宝石の石座取付方法及び装身具
KR101203427B1 (ko) 변형된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과 그를 통해 생산된 장신구
US20020166337A1 (en) Round gemstone arrangements with settings
KR101609689B1 (ko)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KR102153868B1 (ko)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US5800574A (en) V-end setting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05568079U (zh) 一种镶嵌饰品
JP3213155U (ja) 装身具の装飾構造
US20140310919A1 (en) Crimping Bead with Plunger
KR101767204B1 (ko)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US20070095103A1 (en) Jewelry pendant ring
KR200485425Y1 (ko) 개선된 심미감과 디자인 패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신구용 체인
KR101602310B1 (ko) 장신구의 보석결착구조
KR101541109B1 (ko) 줄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CN218278880U (zh) 一种方便定位的首饰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