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689B1 -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689B1
KR101609689B1 KR1020140113540A KR20140113540A KR101609689B1 KR 101609689 B1 KR101609689 B1 KR 101609689B1 KR 1020140113540 A KR1020140113540 A KR 1020140113540A KR 20140113540 A KR20140113540 A KR 20140113540A KR 101609689 B1 KR101609689 B1 KR 10160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bending
longitudinal plat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989A (ko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
Priority to KR102014011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6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005Making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보석(10)을 일렬로 연결된 난집에 수용한 체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재료에서 횡판부(21), 종판부(22), 물림부(25)를 지닌 본체(20)를 블랭킹하는 단계; (b) 상기 횡판부(21)와 종판부(22)를 설정된 각도로 절곡하여 수용공간을 지닌 단위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단위품의 본체(20)을 일렬로 배치하고 연결편(30)을 넣은 상태로 절곡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반제품 본체(20)의 수용공간에 보석(10)을 물린 상태에서 물림부(25)를 절곡하는 단계; 및 (e) 상기 대향하는 종판부(22)를 용접하여 용접부(3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난집에 보석을 물린 보석체인의 양산에 있어서 소성가공과 용접가공을 접목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생력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jewelry chain having stone case}
본 발명은 보석체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난집을 일렬로 배열하여 보석을 물린 체인형 장신구를 양산하기 위한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보석가공을 비롯한 귀금속 산업은 자동화 비율이 낮은 노동집약적 분야로서 숙련공에 의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도 한다. 다만 귀금속이 점차 대중화되면서 생산과 수입체제에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 맞추어 양산을 위한 기술개발이 절실하다. 특히, 보석체인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지닌 경우에도 양산을 위한 생산기술을 적용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보석체인의 사용에 있어서 보석을 체인 구조로 연결하는 난집의 "H"형 부분에서 분리 및 이탈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클레임 요인이 된다. 설사 미세한 연결부를 용접하더라도 높은 결합력을 기대하기 곤란하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53716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1517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펀칭작업으로 함체편을 따내는 제1블랭킹공정과; 연결편(7)을 따내는 제2블랭킹공정과; 연결핀을 위치시키는 연결편삽입공정과; 결착부가 형성되도록 펀칭하는 제1벤딩공정과; 함체편을 좌우로 벌어지게 하는 제2벤딩공정과; 연결편과 함체편을 오무려주는 체결공정과; 보석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보석고정공정;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고급스러운 장신미와 견고한 고정력을 보장하며 상품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장신구용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걸림 부재와 결합 부재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편과 하편을 절곡하는 벤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와 용접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힌지부의 용접시 위치맞춤을 하고 결합력을 증기시키기 위해 마련된 용접용 홈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장신구의 제조시 공정수가 저감되어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 1은 블랭킹과 벤딩 공정의 복잡성에 의하여 품질의 균일화는 물론 적절한 결합강도를 보장하기 곤란하고, 선행문헌 2에 의하면 결합 강도를 높일 여지는 있으나 보석체인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구조의 양산에 적용하기 한계성을 나타낸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53716호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공개일자 : 2012. 6. 14.)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1517호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공개일자 : 2004. 1. 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렬로 배열된 난집에 보석을 물린 보석체인의 제조에 있어서 소성가공과 용접가공을 접목하여 양산성을 확보하는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보석을 일렬로 연결된 난집에 수용한 체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재료에서 횡판부, 종판부, 물림부를 지닌 본체를 블랭킹하는 단계; (b) 상기 횡판부와 종판부를 설정된 각도로 절곡하여 수용공간을 지닌 단위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단위품의 본체을 일렬로 배치하고 연결편을 넣은 상태로 절곡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반제품 본체의 수용공간에 보석을 물린 상태에서 물림부를 절곡하는 단계; 및 (e) 상기 대향하는 종판부를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a)는 각각의 물림부의 단부에 보석과 곡면으로 접촉하는 요홈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b)는 다이와 펀치를 이용하여 횡판부를 먼저 절곡한 다음 종판부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펀치는 횡판부를 형성하는 반경사면과 종판부를 형성하는 전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e)는 레이저 용접기를 사용하여 점용접 형태의 용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렬로 배열된 난집에 보석을 물린 보석체인의 양산에 있어서 소성가공과 용접가공을 접목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생력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집에서 보석을 지지하는 부분의 결합력을 높여서 알빠짐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체인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체인의 마지막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투입된 지그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보석(10)을 일렬로 연결된 난집에 수용한 체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제안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석체인은 난집에 해당하는 본체(20)의 상면에 보석(10)을 지닌 구조이다. 보석(10)의 하부 측면은 본체(20)의 횡판부(21)와 종판부(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측면은 4개의 물림부(25)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웃하는 본체(20)들은 각각 연결편(30)을 개재하여 일렬로 연결되어 장신구 체인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 (a)는 원재료에서 횡판부(21), 종판부(22), 물림부(25)를 지닌 본체(20)를 블랭킹하는 과정으로 개시된다. 원재료는 통상 금속판이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비금속판, 수지판 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a)처럼 본체(20)의 횡판부(21), 종판부(22), 물림부(25)는 사전에 설계된 전개도에 따라 블랭킹 가공에 의하여 일시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a)는 각각의 물림부(25)의 단부에 보석(10)과 곡면으로 접촉하는 요홈부(2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랭킹 가공의 금형과 펀치에 요홈부(26)를 형성하기 위한 형태를 구비한다. 물림부(25)에 요홈부(26)를 형성하는 경우 후속 공정에서 절곡량을 축소하면서도 보석(10)에 대한 결합강도를 높이고 손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요홈부(26)의 곡률은 보석(1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물림부(25)는 횡판부(21)와 종판부(22)가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림부(25)가 본체(20)의 코너에 형성되고 요홈부(26)을 구비하면 보석(10)의 물림과 관련한 성형성, 결합강도, 손상방지의 기능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연결편(30)은 본체(20)의 규격에 맞추어 별도의 블랭킹 공정으로 형성하여 투입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계 (b)는 상기 횡판부(21)와 종판부(22)를 설정된 각도로 절곡하여 수용공간을 지닌 단위품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단위품은 하나의 본체(20)를 의미하고, 다수의 단위품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다. 횡판부(21)와 종판부(22)가 절곡되면 단위품의 본체(20)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본체(20)의 상부 개구는 보석(10)을 맞물려 결합하는 수용공간으로 활용된다. 횡판부(21)와 종판부(22)는 저면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상광하협의 구배를 지닌 각도로 절곡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b)는 다이(41)와 펀치(42)를 이용하여 횡판부(21)를 먼저 절곡한 다음 종판부(22)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b)처럼 횡판부(21)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고 도 2(c)처럼 종판부(22)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한다. 전술한 것처럼 물림부(25)가 본체(20)의 코너에 위치하는 구조상 종판부(22)를 먼저 절곡하면 물림부(25)의 변형이 수반되고 횡판부(21)의 절곡시 재차 변형이 수반되어 정밀도가 저하된다.
이때, 상기 펀치(42)는 횡판부(21)를 형성하는 반경사면(42a)과 종판부(22)를 형성하는 전경사면(4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 4(a)와 같이 반경사면(42a)과 전경사면(42b)을 지닌 펀치(42)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전경사면(42b)은 최종적 치수를 이루는 절곡각도(예컨대 85˚)로 형성되고, 반경사면(42a)은 최종적 치수에 이르기 전의 절곡각도(예컨대 45˚)로 형성된다. 4분할되는 다이(41)는 각각의 구동기(45)(46)에 의하여 회동되며 가압하는 구조이다. 한 쌍의 횡구동기(45)는 대향하는 횡방향 다이(41)를 회동시켜 반경사면(42a)에서 횡판부(21)를 형성하고, 한 쌍의 종구동기(46)는 대향하는 종방향 다이(41)를 회동시켜 전경사면(42b)에서 종판부(22)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절곡 공정은 작동력을 크게 요하지 않으므로 구동기(45)(46)는 전기 엑츄에이터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계 (c)는 상기 단위품의 본체(20)을 일렬로 배치하고 연결편(30)을 넣은 상태로 절곡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반제품은 다수의 단위품이 연결편(30)을 개재하여 일렬의 체인 형태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도 4(b)와 같이 길이가 연장된 다이(41)와 전경사면(42b)을 지닌 펀치(42)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원하는 수량의 단위품을 다이(41)에 일렬로 올리고 대향하는 종판부(22)의 벌어진 틈을 이용하여 연결편(30)을 넣는다. 이어서 펀치(42)를 내려 연결편(30)과 본체(20)를 동시에 가압한 상태에서 횡구동기(45)를 작동하여 펀치(42)의 전경사면(42b)에 밀착하면 대향하는 종판부(22)가 접촉하면서 연결편(30)의 결합이 완료된 반제품이 생성된다.
이때, 종판부(22)는 연결편(30)이 임의로 인출되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유동할 수 있을 정도로 지지하는 개구부(28)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계 (d)는 상기 반제품 본체(20)의 수용공간에 보석(10)을 물린 상태에서 물림부(25)를 절곡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물림부(25)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본체(20)의 수용공간에 보석(10)을 결합하는 과정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물림부(25)에 요홈부(26)이 형성되므로 작게 절곡하더라도 결합강도가 증대되고 보석(10)이 면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의 우려가 축소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계 (e)는 상기 대향하는 종판부(22)를 용접하여 용접부(35)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마무리된다. 본 발명에서 절곡을 비롯한 소성가공을 기반으로 하여 신속한 성형이 가능하지만 착용중 외력이 작용하면 대향하는 종판부(22)가 벌어져 연결편(30)이나 보석(10)이 이탈될 우려가 크다. 이에 대향하는 종판부(22)에 용접부(35)를 형성하면 결합강도가 크게 증가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e)는 레이저 용접기를 사용하여 점용접 형태의 용접부(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본체(20)의 종류에 따라 레이저 용접기의 출력을 조절하여 점용접 형태의 용접부(35)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레이저 용접기의 출력이 미흡하면 결합강도가 저하되고 출력이 지나치면 과도하게 용융되어 미관을 해친다.
이와 같은 단계 (e)의 용접공정은 단계 (c)의 반제품 상태에서 전체 종판부(22)에 대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단계 (d)와 같이 보석(10)을 결합한 상태에서 양단의 종판부(22)에 대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20)로 금속 외에 비금속, 수지 등을 사용하더라도 레이저 용접기에 의하여 용접부(35)를 형성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보석 20: 본체
21: 횡판부 22: 종판부
25: 물림부 26: 요홈부
28: 개구부 30: 연결편
35: 용접부 41: 다이
42: 펀치 42a: 반경사면
42b: 전경사면 45: 횡구동기
46: 종구동기

Claims (5)

  1. 다수의 보석(10)을 일렬로 연결된 난집에 수용한 체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재료에서 횡판부(21), 종판부(22), 물림부(25)를 지닌 본체(20)를 블랭킹하는 단계;
    (b) 상기 횡판부(21)와 종판부(22)를 설정된 각도로 절곡하여 수용공간을 지닌 단위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단위품의 본체(20)을 일렬로 배치하고 연결편(30)을 넣은 상태로 절곡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반제품 본체(20)의 수용공간에 보석(10)을 물린 상태에서 물림부(25)를 절곡하는 단계; 및
    (e) 상기 대향하는 종판부(22)를 용접하여 용접부(3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 (a)는 각각의 물림부(25)의 단부에 보석(10)과 곡면으로 접촉하는 요홈부(2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다이(41)와 펀치(42)를 이용하여 횡판부(21)를 먼저 절곡한 다음 종판부(22)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펀치(42)는 횡판부(21)를 형성하는 반경사면(42a)과 종판부(22)를 형성하는 전경사면(4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레이저 용접기를 사용하여 점용접 형태의 용접부(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KR1020140113540A 2014-08-28 2014-08-28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KR10160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40A KR101609689B1 (ko) 2014-08-28 2014-08-28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40A KR101609689B1 (ko) 2014-08-28 2014-08-28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89A KR20160025989A (ko) 2016-03-09
KR101609689B1 true KR101609689B1 (ko) 2016-04-08

Family

ID=5553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540A KR101609689B1 (ko) 2014-08-28 2014-08-28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679B1 (ko) * 2016-01-07 2016-07-15 김선강 장식용 체인
KR101973201B1 (ko) * 2018-05-17 2019-08-26 이시영 벌어짐이 없고 생산성이 우수한 장식용 보석 난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37Y1 (ko) * 1999-07-01 2000-02-15 나인균 장신용체인의연결부재구조
KR101153716B1 (ko) * 2012-02-14 2012-06-14 이혜선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17A (ko) 2002-06-28 2004-01-07 이영덕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37Y1 (ko) * 1999-07-01 2000-02-15 나인균 장신용체인의연결부재구조
KR101153716B1 (ko) * 2012-02-14 2012-06-14 이혜선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989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2923A (en) Jewelry chain constru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costume jewelry therefrom
EP2789253A1 (en) Tennis-type chain for jewelry and method of manufacture
ITMI20100037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maglia di catena per gioielleria ed oreficeria,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e maglia di catena prodotta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KR101609689B1 (ko)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US802267A (en) Article of jewelry.
CN105054511B (zh) 手链的制作方法
US20080168799A1 (en) Tension ring
KR101184156B1 (ko)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KR20170011430A (ko) 보석의 반사율을 높여주는 빛 유입구와 보석 조립이 용이하도록 역마름모꼴 형태로 보석물림 홈을 구성한 보석체인용 난집
CN116098355A (zh) 装饰品部件、装饰品以及装饰品部件和装饰品的制造方法
KR101014059B1 (ko) 프레스절단식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보석체인
KR10222067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식구 연결고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구 연결고리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2272918B1 (ko) 장식구 이탈 방지부재가 일체로 구비되고 체결이 용이한 장식구 연결고리 제조 방법
CN106880142B (zh) 一种无焊料双面镶嵌宝石首饰的制作工艺
KR101767204B1 (ko)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EP2708151A1 (en)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interconnecting elements of a slide fastener
US532587A (en) Jewelry
KR101541105B1 (ko) 수평대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7469784B2 (ja) 金属製装身具
US931306A (en) Jewel-setting.
KR20050067640A (ko) 집보석 제조방법
KR101541109B1 (ko) 줄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ITVI20100328A1 (it) Catena a scopo ornamentale del tipo ad anelli con elemento decorativo e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di detta cate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