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517A -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517A
KR20040001517A KR1020020036739A KR20020036739A KR20040001517A KR 20040001517 A KR20040001517 A KR 20040001517A KR 1020020036739 A KR1020020036739 A KR 1020020036739A KR 20020036739 A KR20020036739 A KR 20020036739A KR 20040001517 A KR20040001517 A KR 2004000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plate
hing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덕
Original Assignee
이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덕 filed Critical 이영덕
Priority to KR102002003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517A/ko
Publication of KR2004000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신구의 결착이 용이하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하여 고가의 귀금속이 망실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체인의 한쪽에 마련된 결합 부재에 걸림 부재가 삽입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편, 조작편에 연속하여 마련된 상판, 상판에 연속하여 마련된 하편 및 상편과 하편을 절곡하는 벤딩부를 구비한 본체, 본체와 용접되는 힌지부 및 힌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본체는 조작편에서 상판과 하판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힌지부는 본체와 힌지부의 용접시 위치맞춤을 하고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 용접용 홈, 걸림 부재와 체인의 다른 한쪽을 결합하기 위한 링 고리부, 이탈 방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연결고리부 및 걸림 부재가 결합 부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일체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귀금속의 망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신구의 제조시 공정수가 저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Connection structure for orna m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장신구의 걸림 부재로서 사용되는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착용시 용이하게 결착이 가능하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거나 미를 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신구로서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장신구에 있어서는 디자인이나 장신구에 사용되는 보석의 종류도 중요하지만 이 장신구를 체결하는 수단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전체적인 장신구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장신구는 대략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줄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줄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 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연결부재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목걸이나 팔지 등에는 그 장식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펜던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신구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의 일 측면에 줄(1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그의 타측면에는 공간부와 연통되는 걸림홀(14)이 천공된 결합부재(12)가 구성된다. 또, 줄(1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결합부재(12)의 걸림홀(14)에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발발하면서 걸림홀(14)의 내측 상하면에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형상의 걸림 부재(20)가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재(12)의 공간부 내에 걸림홀(14)을 통하여 걸림 부재(20)를 삽입한상태에서 걸림 부재(20)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부재(22)를 결합부재(12)의 고정돌기(16)에 결합시킴으로써, 장식용 줄(10)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장신구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걸림 부재(20)의 고정부재(22)가 매우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걸림 부재(20)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걸림 부재(20) 등이 파손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단순 프레스 가공으로 처리한 후 벤딩하는 경우, 걸림 부재 등이 작고 예리하므로, 벤딩 작업 도중 작업자가 상처를 입을 가능성도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걸림 부재의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누름 부재를 사용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124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공보에서 제안한 연결부재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장신구용 연결구조체는 숫연결구(100)의 누름부(300)로 동작하는 판스프링(200)을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에 끼우면, 판스프링(200)의 양쪽 단턱부(210)가 암연결구(400)의 삽입공(410)내 상면 걸림턱(420)에 걸려서 괘정되며, 숫연결구(100)의 저판(110) 선단에는 양측으로 돌기(120)를 형성하면서 그의 상측으로 덮개편(130)을 절곡 형성하고, 선단과 후미가 소정 각도로 절곡된 판스프링(200)의 선단 양쪽에는 돌기(120)가 끼워지는 요홈(220)을 형성하여 판스프링(200)의 일단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 판스프링(200)의 단턱부(210) 사이에는 끼움공(230)을 형성하고, 누름부(300)의 저면에는 끼움공(230)과 결합되는 돌출부(310)를 형성하며, 그의 저면으로 덮개편(320)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판스프링(200)의 타단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구조체에 있어서는 조립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연결구(100), 판스프링(200), 누름부(300), 암연결구(400)를 각각 주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프레스가공 후 절곡 공정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제조비용도 고가로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숫연결구(100), 누름부(300) 및 암연결구(400)의 형상을 갖는 금속모형을 제작하기 위한 주조 공정, 판스프링(200)을 제작하기 위한 프레스가공 공정, 덮개편(130), 요홈(220), 덮개편(320) 등을 절곡하는 절곡 공정 등이 각각 필요하여, 그 공정이 번잡하게 되고 또한 각각의 공정에서 제조된 각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 2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에 있어서는 숫연결구(100), 판스프링(200) 및 누름부(300)가 조립에 의해 형성되므로,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여 고가의 귀금속이 망실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영구자석을 이용한 장신구의 연결장치가 제시되기도 하지만, 영구자석의 경우 그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영구자석의 자력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걸이, 팔찌 또는 발찌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그 조립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가능한 변형을 억제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결부재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공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프레스 가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부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재 2 : 본체
3 : 벤딩부 4 : 조작편
5 : 상판 6 : 하판
7 : 힌지부 8 : 이탈방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는 목걸이, 팔찌 또는 발찌 등으로 사용되는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걸림 부재와 결합 부재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한쪽에 마련된 결합 부재에 걸림 부재가 삽입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편, 상기 조작편에 연속하여 마련된 상판, 상기 상판에 연속하여 마련된 하편 및 상기 상편과 하편을 절곡하는 벤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와 용접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조작편에서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힌지부의 용접시 위치맞춤을 하고 결합력을 증기 시키기 위해 마련된 용접용 홈, 상기 걸림 부재와 상기 체인의 다른 한쪽을 결합하기 위한 링 고리부, 상기 이탈 방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연결고리부 및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홈은 상기 하판의 단부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와 상기 이탈 방지부는 주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상기 연결 고리부의 관통 구멍의 상하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관통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 또는 상기 간격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관통 구멍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목걸이, 팔찌 또는 발찌 등으로 사용되는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걸림 부재와 결합 부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장신구의 체인과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진 소정 형상의 판재를 주조 또는 가압하여 형성하는 공정, (b) 상기 공정(a)에서 형성된 판재에 대해 상기 장신구의 사용자가 손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편, 상기 조작편에 연속하여 마련된 상판, 상기 상판에 연속하여 마련된 하편을 구비한 형상이고, 상기 조작편에서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본체를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공정(b)에의해 형성된 본체를 상기 상판과 하판이 맞닿을 정도로 벤딩부에서 절곡하고, 상기 조작편을 상기 벤딩부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공정, (d) 상기 하판의 단부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힌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용접용 홈, 상기 체인의 다른 한쪽을 결합하기 위한 링 고리부, 관통 구멍이 형성된 연결고리부 및 걸림 부재가 결합 부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한 힌지부를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힌지부의 연결 고리부의 관통구멍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81)를 구비한 이탈 방지부를 주조에 형성하는 공정 및 (f) 상기 공정(c)에서 마련된 본체와 상기 공정(d)에서 마련된 힌지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e)에서 형성된 이탈 방지부는 상기 공정(f) 후에 상기 힌지부의 연결 고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e)에서 형성된 이탈 방지부는 상기 공정(f) 전에 상기 힌지부의 연결 고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a)에서 형성된 판재에 대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b)의 실행시, 하나의 판재에 다수의 본체가 서로 역전되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다수의 본체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있어서, (1)는 도 1에 있어서 목걸이 또는 팔찌로 사용되는 줄(10)의 한쪽 끝이 연결되는 걸림 부재를 형성하며 줄(이하, 체인이라 함)과 동일 부재, 예를 들어 금으로 형성된 판재이고, (2)는 도 1에 도시된 걸림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기 위해 판재(1)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는 본체이다.
(3)은 본체(1)를 절곡하기 위한 벤딩부이고, (4)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의 다른 한쪽에 마련된 결합 부재에 걸림 부재가 삽입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편이고, (5)는 본체(2)가 벤딩부(3)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상판이고, (6)는 하판이다.
본체(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편(4)에서 상판(5)과 하판(6)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있어서, (7)는 힌지부로서, 이 힌지부(7)에는 본체(2)와 힌지부(7)의 용접을 위한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시 결합력을 배가하기 위해 하판(6)의 단부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힌지부(7)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용접용 홈(71), 걸림 부재와 체인을 결합하기 위한 링 고리부(72), 결합 부재에 마련된 고정핀과 결합하도록 마련된 이탈 방지부(8)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부(73) 및 걸림 부재가 결합 부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74)을 일체로 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탈 방지부(8)에는 이탈방지부(8)와 힌지부(7)를 결합하기 위해 연결 고리부(73)의 관통구멍에 끼워 맞추어지는 한 쌍의 돌출부(81)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8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기둥 형태를 이루며 이탈 방지부(8)와 일체로 주조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걸림 부재인 연결 구조체는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본체(2)에 주조로 형성된 힌지부(7)를 용접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에 도 3 및 도 4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신구의 체인과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진 소정 형상의 판재(1)를 마련한다(S10). 이 판재(1)는 주조에 의해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괴를 가압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해도 좋으며, 반드시 사각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체인의 한쪽에 마련된 결합 부재에 걸림 부재가 삽입되도록,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편(4), 이 조작편(4)에 연속하여 마련된 상판(5), 상판(5)에 연속하여 마련된 하판(6)을 구비한 형상이고, 조작편(4)에서 상판(5)과 하판(6)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본체를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한다(S11).
그 후,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5)과 하판(6)이 맞닿는 정도로 벤딩부(3)를 절곡하고, 조작편(4)을 벤딩부(3)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간 절곡시킨다(S12).
한편, 힌지부(7)의 용접시 위치맞춤을 하고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판(6)의 단부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힌지부(7)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용접용 홈(71), 걸림 부재와 도시하지 않은 체인의 다른 한쪽을 결합하기 위한 링 고리부(72), 이탈 방지부(8)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연결고리부(73) 및 걸림 부재가 결합 부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74)을 일체로 하여 주조에 의해 형성된 힌지부(7)를 별도의 공정으로 마련한다(S13).
다음에 공정(S12)에서 마련된 본체와 공정(S13)에서 마련된 힌지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한다(S14).
또한, 힌지부의 연결 고리부(73)의 관통구멍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관통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돌출부(81)를 구비한 이탈 방지부(8)도 별도의 공정에서 주조에 의해 마련한다(S15).
다음에 공정(S14)에서 용접된 힌지부(7)의 연결 고리부(73)에 공정(S15)에서 형성된 이탈 방지부(8)의 돌출부(81)를 삽입(S16)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가 완성된다(S17).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81)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진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연결고리부(73)의 관통구멍의 형성시, 관통구멍의 내경 치수와 돌출부의 외경치수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여 이탈 방지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돌출부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에서 멀어질수록 치수가 커지는 각기둥 형상(82)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 3(b)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는 하나의 판재(1)에 하나의 본체(2)를 프레스 가공하는 구조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재(1)에 다수의 본체(2)가 서로 역전되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프레스 가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본체(2)를 형성하기 위한 판재(1)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제조 단가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 있어서는 본체(2)의 하판(6)에 힌지부(7)를 용접한 후 연결 고리부(73)에 이탈 방지부(8)의 돌출부(81)를 삽입하는 공정 순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고리부(73)에 이탈 방지부(8)의 돌출부(81)를 삽입한 후 본체(2)의 하판(6)에 힌지부(7)를 용접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체인과 걸림 부재의 결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귀금속의 망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시 수작업에 의한 공정수가 저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결 구조체용 본체의 형성시 판재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힌지부가 주물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시 상처를 입지 않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힌지부가 주물로 형성되므로 힌지부의 연결고리부의 구멍이 늘어나는 일이 없어 이탈방지부가 힌지부에 정확하게 결합되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8)

  1. 장신구용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걸림 부재와 결합 부재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한쪽에 마련된 결합 부재에 걸림 부재가 삽입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편, 상기 조작편에 연속하여 마련된 상판, 상기 상판에 연속하여 마련된 하편 및 상기 상편과 하편을 절곡하는 벤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와 용접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조작편에서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힌지부의 용접시 위치맞춤을 하고 결합력을 증기 시키기 위해 마련된 용접용 홈, 상기 걸림 부재와 상기 체인의 다른 한쪽을 결합하기 위한 링 고리부, 상기 이탈 방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연결고리부 및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홈은 상기 하판의 단부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와 상기 이탈 방지부는 주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상기 연결 고리부의 관통 구멍의 상하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관통 구멍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 또는 상기 간격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관통 구멍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5. 장신구용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걸림 부재와 결합 부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장신구의 체인과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진 소정 형상의 판재를 주조 또는 가압하여 형성하는 공정,
    (b) 상기 공정(a)에서 형성된 판재에 대해 상기 장신구의 사용자가 손으로 압압하기 위한 조작편, 상기 조작편에 연속하여 마련된 상판, 상기 상판에 연속하여 마련된 하편을 구비한 형상이고, 상기 조작편에서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본체를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공정(b)에 의해 형성된 본체를 상기 상판과 하판이 맞닿을 정도로 벤딩부에서 절곡하고, 상기 조작편을 상기 벤딩부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공정,
    (d) 상기 하판의 단부의 길이 및 두께에 대응하여 힌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용접용 홈, 상기 체인의 다른 한쪽을 결합하기 위한 링 고리부, 관통 구멍이 형성된 연결고리부 및 걸림 부재가 결합 부재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한 힌지부를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힌지부의 연결 고리부의 관통구멍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81)를 구비한 이탈 방지부를 주조에 형성하는 공정 및
    (f) 상기 공정(c)에서 마련된 본체와 상기 공정(d)에서 마련된 힌지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e)에서 형성된 이탈 방지부는 상기 공정(f) 후에 상기 힌지부의 연결 고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e)에서 형성된 이탈 방지부는 상기 공정(f) 전에 상기 힌지부의연결 고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에서 형성된 판재에 대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b)의 실행시, 하나의 판재에 다수의 본체가 서로 역전되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다수의 본체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020036739A 2002-06-28 2002-06-28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01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739A KR20040001517A (ko) 2002-06-28 2002-06-28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739A KR20040001517A (ko) 2002-06-28 2002-06-28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517A true KR20040001517A (ko) 2004-01-07

Family

ID=3731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739A KR20040001517A (ko) 2002-06-28 2002-06-28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5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989A (ko)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나래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658U (ko) * 1978-07-17 1980-02-01
JPS57189413U (ko) * 1981-05-26 1982-12-01
JPH09327312A (ja) * 1996-06-10 1997-12-22 Seberu Piko:Kk セフティー付きネックレスの止め金具
KR20010028020A (ko) * 1999-09-17 2001-04-06 임건환 연결용 장식물의 탄성연결부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658U (ko) * 1978-07-17 1980-02-01
JPS57189413U (ko) * 1981-05-26 1982-12-01
JPH09327312A (ja) * 1996-06-10 1997-12-22 Seberu Piko:Kk セフティー付きネックレスの止め金具
KR20010028020A (ko) * 1999-09-17 2001-04-06 임건환 연결용 장식물의 탄성연결부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989A (ko)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나래 난집을 지닌 보석체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US57653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stones in jewelry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US6212869B1 (en) Jewelry link assembly
KR20040001517A (ko)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72852B1 (ko) 체인용 연결구조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JP5147175B2 (ja) 装身具用留め具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KR200381950Y1 (ko)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200229314Y1 (ko) 금속제 장신구 연결 구조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353269Y1 (ko) 장신구용 단위체
CN211211720U (zh) 一种翘板式结构连接锁具
KR200186169Y1 (ko) 체인 장신구
KR200240217Y1 (ko) 장신용 체인
KR200381949Y1 (ko)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101973201B1 (ko) 벌어짐이 없고 생산성이 우수한 장식용 보석 난집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960005947B1 (ko) 장신구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JP4344118B2 (ja) 装飾品の連結構造および装飾品
KR200229299Y1 (ko) 장신구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