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950Y1 - 보석 마운팅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석 마운팅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950Y1
KR200381950Y1 KR20-2005-0001401U KR20050001401U KR200381950Y1 KR 200381950 Y1 KR200381950 Y1 KR 200381950Y1 KR 20050001401 U KR20050001401 U KR 20050001401U KR 200381950 Y1 KR200381950 Y1 KR 200381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plate
mounting assembly
moun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인균
Original Assignee
나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균 filed Critical 나인균
Priority to KR20-2005-0001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9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석 마운팅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석이 세팅된 마운팅을 손쉽게 조립하면서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보석 장신구를 만들 수 있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에서는 플레이트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조립되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양측면에 플레이트가 관통되는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플레이트는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면서 다른 플레이트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밴딩부를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형성한 결합구멍과 플레이트의 양단에 형성한 밴딩부에 의해 조립작업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져 작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하나의 플레이트에 보석이 세팅된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므로 보다 화려하고 심미감을 갖는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석 마운팅 조립체{Jewel mounting assembly}
본 고안은 보석 마운팅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석이 세팅된 마운팅을 손쉽게 조립하면서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보석 장신구를 만들 수 있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귀걸이, 반지, 시계, 펜던트(Pendant) 등의 귀금속 장신구에는 보석 등의 아이템이 세팅되어 장신구의 화려함과 심미감을 연출하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귀금속 장신구는 세팅된 보석이외에 보석이 세팅되는 마운팅의 형상에 의해 그 화려함과 디자인이 크게 달라지고, 뿐만 아니라 보석이 세팅된 마운팅을 어떤 형상과 방식으로 조립하는가에 따라서도 그 디자인과 생산성 및 원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플레이트(30)의 상면에 보석(J)이 세팅된 다수의 마운팅캡(20)이 접착제나 땜 등의 방법에 접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10)는 보석(J)이 세팅된 다수의 마운팅캡(20)을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플레이트(30)에 접착시키거나 땜 작업에 의해 부착시키므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접착 또는 땜 방식에 의해 플레이트(30) 상에 부착된 마운팅캡(20)은 그 배열이 일정하지 못하고, 접착 또는 땜 부착 부분으로 인하여 장신구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인이 출원하여 등록된(등록번호 제20-0265470호) 연결구를 갖는 보석 고정용 홀더(10)의 경우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석(J)이 세팅되는 마운팅캡부(20)와 플레이트부(21)가 일체로 성형되므로 도 1에서 도시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한 보석 고정용 홀더는 플레이트부(21)에 다수의 마운팅캡부(20)를 형성하는 것이 경제성 측면에서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하나의 보석 고정용 홀더(10)에 다수의 보석(J)이 구비된 화려하고 신비감 있는 다양한 장신구 제품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레이트에 다수의 마운팅캡을 간편하게 설치하면서 다수의 보석이 세팅된 화려한 디자인의 다양한 장신구를 생산할 수 있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는 보석이 세팅되며 양측면에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저면에 절곡 가능한 절곡편을 형성한 마운팅캡과, 상기한 마운팅캡의 삽입구멍에 삽입 결합하며 마운팅캡의 절곡된 절곡편과 결합되도록 표면에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결합편을 형성한 플레이트와, 상기한 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전후부에는 밴딩부를 형성한 베이스 플레이트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석 마운팅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석 마운팅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마운팅캡(200), 플레이트(300), 베이스 플레이트(400)로 구성된다.
먼저 마운팅캡(200)은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석(J)이 세팅되는 것으로, 상부 각각의 모서리에는 고정편(210)을 형성하여 보석(J)을 견고하게 고정 세팅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면 하부에는 삽입구멍(22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한 플레이트(30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저면 양측부에는 절곡 가능한 절곡편(230)을 형성하였다.
플레이트(300)는 상기한 마운팅캡(200)의 삽입구멍(220)에 삽입되어 마운팅캡(200)과 결합되는 것으로, 표면 양측에 고정구멍(310)을 형성하여 상기한 마운팅캡(200)의 절곡된 절곡편(230)과 결합되도록 하고, 양단부에는 결합편(320)을 돌출 형성하였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상기한 플레이트(3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절곡된 양측면에는 삽입구멍(220)을 각각 형성하고, 전후부에는 밴딩부(420)를 형성하여 연결부재(500)에 의해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400)나 장식부품(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마운팅캡(200) 양측면에 형성된 삽입구멍(220)을 통해 하나의 플레이트(300)에 다수의 마운팅캡(200)을 끼운 후,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마운팅캡(200) 중 양측 마운팅캡(200)의 절곡편(230)과 플레이트(300)의 고정구멍(310)을 일치시킨 다음, 절곡편(230)을 절곡시키므로 양측 마운팅캡(200)을 플레이트(300)에 고정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마운팅캡(200)이 결합된 플레이트(30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양단부에 형성한 결합편(320)을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결합구멍(410)에 결합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전후부 밴딩 처리하여 밴딩부(420)를 형성하므로 마운팅캡(200)과 플레이트(300) 및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는 도 5,6,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연결부재(500)에 의해 여러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밴딩부(420)를 서로 연결하므로 시계줄, 가방 장식줄, 목걸이 등 다양한 귀금속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종래기술과는 달리, 절곡편(230)의 절곡에 의해 마운팅캡(200)과 플레이트(30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마운팅캡(200)이 결합된 플레이트(300)는 결합편(32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00)에 손쉽게 결합되므로 장신구의 조립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며, 별도의 연결부재(500)에 의해 다수의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연결하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400)에 마운팅캡(200)이 결합된 다수의 플레이트(3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보석 마운팅 조립체(100)는 다수의 플레이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플레이트(300)를 수용하는 넓이로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형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결합구멍(410)을 형성하므로 다수의 플레이트(30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에서 도시한 본 고안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100)는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400)에 마운팅캡(200)을 갖는 다수의 플레이트(300)가 결합되므로 보다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장신구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운팅캡에 형성한 삽입구멍과 절곡편, 플레이트에 형성한 고정구멍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한 결합구멍을 통해 마운팅캡과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장신구 제품의 조립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고, 또한 하나의 플레이트에 보석이 세팅된 다수의 마운팅캡이 설치되므로 보다 화려하고 심미감을 갖는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캡을 갖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결합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장신구도 만들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석 마운팅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석 마운팅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석 마운팅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석 마운팅 조립체가 시계줄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보석 마운팅 조립체가 가방 장식줄에 사용된 상태를 일부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석 마운팅 조립체가 목걸이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석 마운팅 조립체 200 : 마운팅캡
210 : 고정편 220 : 삽입구멍
230 : 절곡편 300 : 플레이트
310 : 고정구멍 320 : 결합편
400 : 베이스 플레이트 410 : 결합구멍
420 : 밴딩부 500 : 연결부재
J : 보석

Claims (4)

  1. 보석(J)이 세팅되며, 양측면에 삽입구멍(220)을 형성하고, 저면에 절곡 가능한 절곡편(230)을 형성한 마운팅캡(200)과;
    상기 마운팅캡(200)의 삽입구멍(220)에 삽입 결합하며, 마운팅캡(200)의 절곡된 절곡편(230)과 결합되도록 표면에 고정구멍(310)을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결합편(320)을 형성한 플레이트(300)와;
    상기 플레이트(300)가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결합구멍(410)을 형성하고, 전후부에는 밴딩부(420)를 형성한 베이스 플레이트(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캡(200)의 절곡편(230)은 마운팅캡(200)의 저면 양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0)의 고정구멍(310)은 플레이트(300)의 표면 양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다수의 플레이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플레이트(300)를 수용하는 넓이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다수의 결합구멍(4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20-2005-0001401U 2005-01-17 2005-01-17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200381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401U KR200381950Y1 (ko) 2005-01-17 2005-01-17 보석 마운팅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401U KR200381950Y1 (ko) 2005-01-17 2005-01-17 보석 마운팅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950Y1 true KR200381950Y1 (ko) 2005-04-18

Family

ID=4368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401U KR200381950Y1 (ko) 2005-01-17 2005-01-17 보석 마운팅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9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9338B2 (en) 2004-09-21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le conver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9338B2 (en) 2004-09-21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le conversion
US8970883B2 (en) 2004-09-21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le conver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5122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KR910005422B1 (ko) 금속장식판 구성체
JP2013146561A (ja) 宝飾装身具
KR200381950Y1 (ko)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200381949Y1 (ko)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200413018Y1 (ko) 손목 시계용 밴드
KR200319384Y1 (ko) 꽃모양 장신구
KR200265470Y1 (ko) 연결구를 갖는 장식보석 고정용 홀더
USD506156S1 (en) Jewelry link for bracelet or necklace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163238Y1 (ko) 장식보석홀더의구조
KR200467928Y1 (ko) 장신구 모듈
KR100670764B1 (ko) 조립식장신구
KR200353269Y1 (ko) 장신구용 단위체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JP3093750U (ja) 宝石部が動く支持台
JP4561174B2 (ja) 装身具、装身具への装飾体取付方法、時計及び時計への装飾体取付方法
KR200289734Y1 (ko) 보석 알 고정받침 판을 갖는 귀걸이
JP5128218B2 (ja) 装飾品用駒
KR200445768Y1 (ko) 보석장식블록
KR20170003346A (ko)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KR200328407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조
KR200301512Y1 (ko) 장식부속구
KR200362213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