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46A -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 Google Patents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46A
KR20170003346A KR1020150148566A KR20150148566A KR20170003346A KR 20170003346 A KR20170003346 A KR 20170003346A KR 1020150148566 A KR1020150148566 A KR 1020150148566A KR 20150148566 A KR20150148566 A KR 20150148566A KR 20170003346 A KR20170003346 A KR 2017000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using main
housing
cub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204B1 (ko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
Publication of KR2017000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딥 드로잉(deep drawing) 방식에 의해 제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고 밑면과 측면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편;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과 대응되는 타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체인용 난집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장신구로서의 제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뒤틀림 방지에 따른 장신구로서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Manufacturing method and house of house for chain}
본 발명은 보석류 등을 고정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난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딥 드로잉(deep drawing) 방식에 의해 제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체인용 난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등과 같이 몸에 착용하는 장신구는 알 형태의 큐빅이나 보석 등을 난(卵)집에 고정한 후 단독 또는 난줄인 체인 형태로 연결시켜,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난줄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496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156호에 게시된 바 있다.
또한, 난줄에 적용되는 난집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696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3716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810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선행기술의 난줄에 적용되는 난집이나 난집에 관련된 선행기술인 특허문헌 1 내지 3에 게시된 난집은 공지된 프레스 작업방식에 의하여 절단공정과 절곡공정을 거쳐 알 형태의 큐빅이나 보석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한 링크로 구성된다.
이때, 난집을 체인 형태인 난줄로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하우징에 별도의 체인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링을 형성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69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371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810호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과 특허문헌 1 내지 2에 게시된 난집의 경우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짐으로써, 사용자가 착용시 뒤틀림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큐빅이나 보석이 고정된 부분이 돌아가 장신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3은 단독 방식의 난집으로 이는 체인 형태인 난줄로서의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방식에 의해 제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체인용 난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용도에 따라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큐빅이나 보석을 고정하여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난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모재에 프레스작업을 통하여 양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편과 연결고리가 형성되도록 절취함과 동시에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이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절취된 연결편과 연결고리가 서로 대응되는 각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각 측면에 위치한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를 가압에 의해 외부 측으로 돌출시켜 상호 연결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큐빅이나 보석을 고정하여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난집으로서, 상기 난집은 상부가 개방되고 밑면과 측면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편;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과 대응되는 타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서로 대응되는 각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그 측면의 양단 사이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은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제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신구로서의 제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뒤틀림 방지에 따른 장신구로서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용 용도에 따라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큐빅이나 보석의 종류나 동일한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의 장신구로의 제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난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도 7에 의해 제조된 난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난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큐빅이나 보석을 고정하여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난집(1)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방식에 의해 제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특히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집(1)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인 금속재의 얇은 판재 형태의 모재에 공지된 프레스작업을 통하여 양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가 형성되도록 절취함과 동시에 테두리에는 큐빅이나 보석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16)이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플레이트(18)를 형성하는 단계(S1)를 행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8)는 필요에 따라 전체적인 형상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플레이트(18)를 공지된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되는 삽입홈(19)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절취된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가 서로 대응되는 각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10)를 형성하는 단계(S2)를 행한다.
다시 말해서, 공지된 상하 금형 상에 상기 플레이트를 위치시켜 딥 드로잉 함에 따라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될 수 있는 통상적인 용기 형태인 하우징 본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는 종래와 같이 큐빅이나 보석을 삽입할 수 있도록 프레스 작업에 의해 여러 번의 프레스 작업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하우징 본체를 형성함에 따라 정확한 형상을 가짐은 물론 무엇 보다도 불량이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하우징 본체(10)의 각 측면에 위치한 상기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를 통상적인 가압에 의해 외부 측으로 돌출시켜 상호 연결되도록 가압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즉, 각 측면 상에서 외부 측으로 돌출시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연결편(12)은 연결고리(14)로 삽입하여 감싼 후 그 연결편(12)이 연결고리(14)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편(12)이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는 도 8에서와 같이 하우징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편(16) 사이의 하우징 본체(10) 상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하우징 본체(10) 간에 연결되는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에 의해 유동성을 가지면서 분리되지 않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연결편(12)이 연결고리(14)를 감싼 후 연결편(12)만을 용접하여 연결 시킴에 따라 하우징 본체(10)가 뒤틀리지 않는 조건을 가진다.
그로 인해 상기 하우징 본체(10)의 삽입홈(19)으로 삽입되어 고정편(16)에 의해 큐빅이나 보석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그 큐빅이나 보석이 고정된 부분이 뒤틀리지 않고 정방향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장신구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집(1)은 팁 드로잉 방식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고 밑면과 측면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9)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의 상단에 삽입홈(19)으로 삽입된 큐빅이나 보석이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편(16)과; 상기 하우징 본체()10의 일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편(12); 및 상기 연결편(12)과 대응되는 타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고리(1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난집(1) 측면에 형성된 연결편(12)을 다른 난집(1)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고리(14)로 삽입하여 감싼 후 그 감싸진 연결편(12)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난집(1)은 약간의 유동성을 가지면서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연결 고정면서 난줄(1A)를 형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난집과 난집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조건을 가짐은 물론 특히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고정편에 의해 고정된 큐빅이나 보석 또한 연결고리로 감싸진 후 용접 고정되는 연결편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착용 후에도 큐빅이나 보석이 고정된 부분이 전방향으로 위치하여 장신구로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난집인 하우징 본체(10)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를 도 5에서와 같이 그 측면의 양단 사이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각 측면의 일측 끝단 또는 타단 끝단 측에 위치하여 장식 효과를 서로 다르게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하우징 본체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큐빅이나 보석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위치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난줄로 사용시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연결편과 연결고리가 하우징 본체의 측면 일측 끝단에 위치할 경우, 목걸이 등과 같은 장신구를 사용시 하우징 본체의 반대 측은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난집 전체가 방사상으로 위치하여 목걸이로의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반면에, 반대로 타측 끝단으로 연결편과 연결고리를 형성할 경우 반대측이 측면의 끝단이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조밀한 간격을 가지는 장식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장식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큐빅이나 보석 등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위치시켜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장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0)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난줄로서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 본체(10)의 각 측면에 형성된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를 세로 방향으로 형성한다.
그에 따라 하우징 본체의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큐빅이나 보석이나 장식 효과를 달리하고자 할 때에는 하우징 본체의 연결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편과 연결고리에 의해 더욱더 다양한 장식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7에 의해 제조된 난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난집에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더욱더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더욱더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갖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또한 전술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므로 제조과정은 생략하고, 연결수단인 연결편과 연결고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난집(1)의 하우징 본체(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모재로부터 절취되는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는 고정편(16) 사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테두리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편(12)과 연결고리(14)는 하우징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편(16) 사이의 본체 하우징(10) 상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본체 하우징을 제조시 공지된 절곡방식에 의해 외측으로, 즉 수평방향으로 절곡됨과 아울러 특히, 연결편은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에인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하우징 본체의 중심선을 기점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중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전술한 도 5에와 같은 서로 다른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고정편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전술한 연결편과 연결고리가 각 측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비하여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 또한 더욱더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편과 연결고리가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형성됨에 따라 일측 하우징 본체의 연결편을 다른 하우징 본체의 연결고리를 상부에 끼워 고정함에 따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고리에 연결편이 연결되는 연결편을 재차 가압하여 연결고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연결된 부분에 용접 등을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필요로 하는 난줄(1A)로의 제작이 완료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편(16)은 하우징 본체(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모서리에 형성하여 큐빅이나 보석을 하우징 본체의 삽입홈에 넣은 후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편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더욱더 긴밀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삽입홈(19)으로 보석이나 큐빅이 삽입된 상태에서 빛이 유입되어 상기 보석이나 큐빅으로 투과되도록 통공(10a)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통공을 통하여 유입된 빛은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보석이나 큐빅으로 투과되면서 빛의 산란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보석이나 큐빅이 더욱더 화려하면서 영롱하게 빛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난집과 난집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본체에 형성되는 연결편과 연결고리에 의해 제작이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조립성, 즉 난집과 난집을 연결하는 조립성도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하우징 본체를 사각형 형태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1 : 난집 1A : 난줄
10 : 하우징 본체 10a : 통공
12 : 연결편 14 : 연결고리
16 : 고정편 18 : 플레이트
19 : 삽입홈

Claims (7)

  1. 큐빅이나 보석을 고정하여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난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모재에 프레스작업을 통하여 양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편과 연결고리가 형성되도록 절취함과 동시에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이 형성되도록 절단하여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절취된 연결편과 연결고리가 서로 대응되는 각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각 측면에 위치한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를 가압에 의해 외부 측으로 돌출시켜 상호 연결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2. 큐빅이나 보석을 고정하여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난집으로서,
    상기 난집은 상부가 개방되고 밑면과 측면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큐빅이나 보석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편;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과 대응되는 타 측면에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난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되는 각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그 측면의 양단 사이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난집.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난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과 연결고리는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편 사이의 하우징 본체 상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난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본체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난집.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삽입홈으로 보석이나 큐빅이 삽입된 상태에서 빛이 유입되어 상기 보석이나 큐빅으로 투과되도록 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난집.
KR1020150148566A 2015-06-30 2015-10-26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KR101767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3730 2015-06-30
KR1020150093730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46A true KR20170003346A (ko) 2017-01-09
KR101767204B1 KR101767204B1 (ko) 2017-08-23

Family

ID=5781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66A KR101767204B1 (ko) 2015-06-30 2015-10-26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240A1 (ko) * 2018-08-16 2020-02-20 김병조 체인형 보석 목걸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68A (ko) 2001-03-31 2002-10-11 장지현 체인형 보석난집
KR200357810Y1 (ko) 2004-05-06 2004-07-30 이동근 보석 난집
KR101153716B1 (ko) 2012-02-14 2012-06-14 이혜선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219B1 (ko) * 2013-06-04 2014-06-02 김병조 뱅글 팔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68A (ko) 2001-03-31 2002-10-11 장지현 체인형 보석난집
KR200357810Y1 (ko) 2004-05-06 2004-07-30 이동근 보석 난집
KR101153716B1 (ko) 2012-02-14 2012-06-14 이혜선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204B1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KR101153716B1 (ko) 보석의 난반사율을 높이도록 빛 유입구를 갖는 보석체인용 난집 및 상기 난집을 이용한 보석체인과 그 제조방법
JP5990339B2 (ja) 略環状装身具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JPH0611517U (ja) 装身具
KR101403219B1 (ko) 뱅글 팔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204B1 (ko) 체인용 난집의 제조방법 및 그 난집
KR20170011430A (ko) 보석의 반사율을 높여주는 빛 유입구와 보석 조립이 용이하도록 역마름모꼴 형태로 보석물림 홈을 구성한 보석체인용 난집
KR200485425Y1 (ko) 개선된 심미감과 디자인 패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신구용 체인
KR101440097B1 (ko) 장신구 탈착구조
KR101496736B1 (ko) 원형 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US10398201B2 (en) Collet and jewelry
WO2018214341A1 (zh) 一种底镶首饰装置及其组装式镶嵌方法
KR200216024Y1 (ko) 다열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편 구조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200381950Y1 (ko) 보석 마운팅 조립체
KR20020076968A (ko) 체인형 보석난집
KR101973201B1 (ko) 벌어짐이 없고 생산성이 우수한 장식용 보석 난집
KR101883965B1 (ko) 연결형 장신용구
KR200353269Y1 (ko) 장신구용 단위체
KR101541109B1 (ko) 줄형태의 스톤 고정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장신구
KR200351597Y1 (ko) 장신구연결체
JP4963884B2 (ja) 宝石を有する装身用部材の製造方法
KR100670764B1 (ko) 조립식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