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962Y1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962Y1
KR200285962Y1 KR2020020009233U KR20020009233U KR200285962Y1 KR 200285962 Y1 KR200285962 Y1 KR 200285962Y1 KR 2020020009233 U KR2020020009233 U KR 2020020009233U KR 20020009233 U KR20020009233 U KR 20020009233U KR 200285962 Y1 KR200285962 Y1 KR 200285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main body
decorative body
cutout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귀로
Original Assignee
윤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귀로 filed Critical 윤귀로
Priority to KR2020020009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9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962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장식체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렴한 가격으로 미감의 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식체를 본체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장식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결부가 가압됨으로서 상기 장식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에 의하면, 의도하는 장식체 이외의 부분 즉, 고정링이나 용접 비드 등 미감을 저하시키는 부분 없이, 장식체를 본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깔끔한 이미지의 장신구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y}
본 고안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체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렴한 가격으로 미감의 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사람의 몸을 아름답게 치장하기 위해 착용되는 것으로, 착용 부위에 따라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으로 구분되는 바, 일반적으로, 줄(string), 밴드(band), 또는 체인(chain)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를 결합하여 착용하게 되며, 미감의 표현을 다양하게 하기 위해 줄이나 밴드 또는 체인으로 형성된 본체에 여러 가지 형태의 장식체가 결합되어 제품화 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체에 장식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종래 장신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1)의 외주에 다수의 장식체(2)가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의 양단에 연결구(3a, 3b)가 형성되어 있어 목걸이 또는 팔찌로 사용되는 장신구를 나타낸다.
장식체(2)에는 본체(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관통공(2a)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2a)을 통해 본체(1)에 삽입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체(2)의 양측에 별도의 고정링(4)을 압착시켜 고정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장식체(2) 각각을 적당한 위치에 용접이나 솔더링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고정링에 의해 장식체를 고정하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장식체(2)와 고정링(4)을 함께 삽입한 다음, 장식체(2)를 적정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체의 양측에 고정링(4)을 압착시킴으로서 본체에 대한 장식체의 원하는 배치 상태를 얻게 되는 것으로, 미세한 크기의 고정링을 장식체 한개당 두개씩 본체에 삽입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고, 또 이들 각각을 소요 위치로 이동시켜 압착시켜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울 뿐 만아니라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의도하는 장식체 외에 별도의 부품이 부가되어야 함으로서 미감이 저하되고 가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용접 또는 솔더링에 의해 장식체를 고정시키는 경우 역시, 용접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용접 비드(5)에 의해 제품의 미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장신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식물의 미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본체에 결합되는 장식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장식체를 간단한 공정으로 본체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신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게 하여 코스트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본체에 대해 장식체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체에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종래 장신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전체 사시도, 도 2a는 고정링에 의해 장식체가 결합되기 전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3a는 고정링에 의해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신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체에 장식체가 용접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3a는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3b는 본체에 장식체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3c는 절결부가 가압되어 본체에 대해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체인 형태의 본체에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4b는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밴드형 몸체에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장식체
2a : 관통공 2b : 절결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식체를 본체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장식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결부가 가압됨으로서 상기 장식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에 의하면, 의도하는 장식체 이외의 부분 즉, 고정링이나 용접 비드 등 미감을 저하시키는 부분 없이, 장식체를 본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깔끔한 이미지의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장신구를 시험 제작해 본 결과, 가압 접촉된 절결부에 의해 나타나는 선은 자세히 살펴보기 전에는 거의 드러나지 않을 정도여서 장신구의 외관에 끼치는 악영향은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장식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신구를 도금하는 경우, 절결부의 선이 도금층에 의해 가려져겉으로 드러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찹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줄 형태의 본체(1)에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a는 장식체(2)가 고정되어 완성된 상태의 장신구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3b는 장식체가 관통공을 통해 본체에 삽입된 후 절결부를 가압 밀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장식체를 본체의 원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 프레스 또는 플라이어를 이용 절결부를 가압 밀착시킴으로서 장식체가 본체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장식체(2)는 실시예에 도시된 구형외에, 원통형 또는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어, 본체(1)의 외주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관통공(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2a)으로부터 장식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절결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장식체(2)의 가공시, 관통공(2a)이 형성된 장식체(2)를 가공하는 것은 종전과 같으며, 관통공이 형성된 장식체를, 관통공(2a)이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가늘고 긴 봉에 다수 삽입하고, 봉의 양단을 나사 등으로 조여 장식체를 봉상에 견고히 고정시킨 후, 절결부(2b)를 절삭 가공함으로, 다수의 장식체(2)에 대해 절결부(2b)를 일괄 가공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절결부를 최소의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었다.
절결부(2b)의 틈새폭(w)은 절결부를 가압하여 조여 붙였을 때, 장식체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가능한 한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폭이 너무 좁으면 절결부를 가압하여 조여 붙힌다 하여도 재료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적절한 결합력을 얻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절결부의 틈새폭은 장식체의 크기 및 재질을 고려하여 적당한 폭으로 결정하며, 시험 결과에 의하면, 합성 수지 재질 보다는 금속 재질의 장식체가 적은 좁은 틈새폭의 절결부로도 결합 효과가 우수했으며, 금속 재질 중에서도 강 등의 철 금속 보다는 구리 계열의 비철 금속의 결합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장식체(2)를 그 관통공(2a)를 통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줄 형태의 본체(1)에 외주에 소요 수량 삽입 한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서 프레스나 플라이어로 절결부(2b)를 가압함으로서, 관통공(2a)의 내경이 축소되어 본체(1)의 외주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용접 비드나 고정링 등과 같이 장식체의 결합을 위해 장신구에 생성 또는 결합됨으로서 장신구 자체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는, 깔끔한 디자인의 장신구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다수의 고리(1a)가 체인형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는 본체(1)의 임의의 고리에 장식체(2)를 결합함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을 얻도록 한 장신구를 나타내고 있다.
장식체(2)에 관통공(2a) 및 절결부(2b)가 형성되어 있음은 앞서의 실시예와 같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장식체(2)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2b)의 틈새폭이 체인을 형성하는 고리(1a)의 두께보다 소정치 크게 형성되어 있어, 먼저, 다수의 고리(1a)를 상호 결합하여 체인 형태로 형성한 다음, 장식체(2)를 절결부(2b)를 통해 상기 체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의 각 고리에 삽입한 후, 절결부를 가압함으로서 상기 장식체가 각각의 고리 범위 내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1)의 측면에 장식체(2)가 결합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장식체(2)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2b)의 틈새폭은 밴드형 본체(1)의 두께보다 소정치 크게 형성되어 있어, 장식체(2)를 절결부(2b)를 통해 상기 밴드형 본체에 끼운 후, 절결부(2b)를 가압하여 본체에 대해 조여 붙힘으로서, 밴드형 몸체의 원하는 위치에 장식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에 의하면, 의도하는 장식체 이외의 부분 즉, 고정링이나 용접 비드 등 미감을 저하시키는 부분 없이, 장식체를 본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깔끔한 이미지의 장신구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줄 형상의 본체뿐만 아니라 체인이나 밴드 형태의 본체에 대해 장식체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식체를 본체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장식체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결부가 가압됨으로서 상기 장식체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체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줄의 외주에 삽입된 후, 상기 절결부가 가압됨으로서 관통공의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본체의 외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의 고리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체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체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의 틈새폭은 상기 체인을 형성하는 고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식체가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기 체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의 각 고리에 삽입된 후, 상기 절결부가 가압됨으로서, 상기 장식체가 각각의 고리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체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의 틈새폭은 상기 밴드형 본체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식체가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기 밴드형 본체에 끼워진 후, 상기 절결부가 가압됨으로서 상기 장식체가 상기 밴드형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2020020009233U 2002-03-28 2002-03-28 장신구 KR200285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233U KR200285962Y1 (ko) 2002-03-28 2002-03-28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233U KR200285962Y1 (ko) 2002-03-28 2002-03-28 장신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940A Division KR20030078113A (ko) 2002-03-28 2002-03-28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962Y1 true KR200285962Y1 (ko) 2002-08-22

Family

ID=7308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233U KR200285962Y1 (ko) 2002-03-28 2002-03-28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9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JP3493185B2 (ja) アクセサリーチェーン・紐体ストッパー
JPH0731695Y2 (ja) 装身具
US5816072A (en) Jewelry with links and visible substrate
JP2578167Y2 (ja) 装飾品のワイヤ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KR200285962Y1 (ko) 장신구
KR19980033744A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KR101966051B1 (ko) 소형원석의 활용이 가능한 장신구 제조방법
KR20030078113A (ko) 장신구
US20020069670A1 (en) System for sizing and re-sizing articles of jewelry
KR102153868B1 (ko) 연결고리가 일체로 성형되는 귀걸이 고정구 제조 방법
US563642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jewelry having faux pave look
KR200413018Y1 (ko) 손목 시계용 밴드
US4317264A (en) Means and method for making jewelry
FR2883711A1 (fr) Piece d&#39;orneme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2506896B1 (ko)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US5743114A (en) Free standing ear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910929B1 (ko) 볼륨 장신구 제조 방법
KR102205758B1 (ko) 사각 단면과 코일 권선형 구조를 갖는 고탄성 장신구 링 제조방법
KR19980072239A (ko) 링형 장신구 제작방법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JP3127343U (ja) 鎖状装飾具
JPH06105703A (ja) 金と白金との組合せボールチェーン状装飾品の製法
KR200418733Y1 (ko) 다용도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