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892B1 -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 Google Patents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892B1
KR100708892B1 KR1020050074758A KR20050074758A KR100708892B1 KR 100708892 B1 KR100708892 B1 KR 100708892B1 KR 1020050074758 A KR1020050074758 A KR 1020050074758A KR 20050074758 A KR20050074758 A KR 20050074758A KR 100708892 B1 KR100708892 B1 KR 10070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ead
wire
fixed mold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638A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102005007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8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3/00Connectible jewell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12)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30b)이 형성된 고정금형(30)과, 이 고정금형(3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12)를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헤드부(12a)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가동금형(32)을 포함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30)의 삽입공(30b) 주위에 와이어 헤드부(12a)의 배면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30a)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동금형(32)의 선단부에 고정금형(30)의 오목부(30a)에 대응되는 볼록부(32a)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32a)에는 헤드부(12a)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에 대응되는 음각부(3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는 상기 소성 변형이 완료된 와이어 헤드부(12a)에 보석 장식용 홈(12c)을 형성하기 위한 홈형성핀(38)을 갖는 제2가동금형(36)이 더 구비되어 있다.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고정금형, 가압핀, 헤드부, 홈

Description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Mold for manufacturing apparatus of accessories with head par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액세서리가 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의 가동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액세서리가 제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제작된 액세서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제작된 또 다른 액세서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의 가동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의해 제작된 액세서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릴 11 : 와이어
11a : 헤드부 11a' : 헤드부
11b : 오목부 11c : 홈
11d : 몸통부 12 : 와이어
12a : 헤드부 12b : 오목부
12c : 홈 12d : 몸통부
14 : 커터 16 : 제1가동금형
17 : 가압핀 18 : 제1고정금형
18a : 삽입공 20 : 제2가동금형
22 : 제2고정금형 24 : 제3가동금형
26 : 홈형성핀 28 : 보석
30 : 고정금형 30a : 오목부
30b : 삽입공 32 : 제1가동금형
32a :볼록부 32b : 음각부
32c : 통공 34 : 가압핀
36 : 제2가동금형 38 : 홈형성핀
39 : 와이어 39a : 헤드부
40 : 제1가동금형 40a : 음각부
50 : 제1가동금형 52 : 고정금형
52a : 삽입공 52b : 음각부
본 발명은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Heading Machine)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금형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동금형의 가압조작에 의해 와이어의 헤드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헤드부에 문양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수를 대폭 줄여 생산원가 절감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가공 공정수를 줄여 가공공정마다 진행되는 와이어두부의 가공경화를 막을 수 있어 금형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는 지름 0.8 ~ 2mm 내외의 가는 와이어를 일정길이로 잘라 직경이 큰 두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두부에는 꽃 모양 등 문양을 형성시키고 그 내측에는 모조 보석을 붙이며 타단부에는 귓불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시 이탈되지 않게 벤딩시킨 것으로써, 이러한 두부제조용 금형은 선형 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선경보다 큰 헤드를 만들고 이 헤드에 여러 가지 문양을 가공하여 귀걸이, 콧찌 등 다양한 액세서리 등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기술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릴(10)에서 풀려나는 와이어(11)를 커터(14)로 일정길이로 커팅하는 단계와, 커팅된 와이어(11)를 제1가동금형(16)이 고정(grip)한 후 가압핀(17)이 와이어(11)를 제1고정금형(18)의 삽입공(18a)으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제2가동금형(20)으로 제1고정금형(18)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11)의 선단 노출부를 가압하여 원판 형상의 헤드부(11a)를 만드는 단계와, 이 와이어(11)의 헤드부(11a)의 가장자리를 프레스로 절취하여 소정문양의 헤드부(11a')로 만드는 단계와, 이 와이어(11)를 오목부가 형성된 제2고정금형(22)에 고정시킨 후 제2고정금형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선단부가 둥근 제3가동금형(24)으로 와이어(11)의 헤드부(11a)를 가압하여 이 헤드부(11a)의 뒷부분은 둥글고 앞부분이 오목하게 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헤드부(11a)의 오목부(11b) 중앙에 제3가동금형(24)에 내장된 홈형성핀(26)이 홈(11c)을 형성하는 단계와 와이어(11)의 몸통부를 소정 형상으로 절곡시키는 단계(미도시) 및 홈(11c)에 보석(28)을 끼워 넣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에서 제조장치(Heading Machine)에 소요되는 금형은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이 공정별로 다수개가 소요되며, 또한, 헤드부의 문양을 만들기 위해 별도의 프레스로 절취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재 직경에 비하여 큰 면적의 헤드부 제작이 불가능하고, 또한, 공정수가 많고 작업단계가 복잡하여 대량생산이 곤란하며,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가공 공정수가 많아짐에 따라 스텐레스 재질의 와이어 두부는 가공공정마다 경화가 진행되어 이를 가공하는 금형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금형과 가동금형 각각의 금형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별도의 배면라운드 형성부분과 절취되는 부분을 모두 헤드부의 면적으로 활용하므로써 최소의 액세서리 소재 직경으로 최대의 액세서리 두부를 형성하여 문양의 다양성에 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취작업 공정을 줄여서 작업시간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가공 공정수를 줄여 공정마다 진행되는 와이어 두부의 가공경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금형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뿐 아니라 금형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금형과, 이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동금형을 포함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의 삽입공 입구부에 와이어 헤드부의 배면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금형의 선단부에 고 정금형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볼록부를 가지며, 이 볼록부의 표면에 헤드부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에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금형과, 이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가동금형을 포함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의 삽입공 주위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1가동금형의 편평한 선단부에 와이어의 헤드부 문양과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금형과, 이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가동금형을 포함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금형의 선단부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금형의 삽입공 주위에 와이어의 헤드부 문양과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상기 고정금형과 제1가동금형에 의하여 소성 변형이 완료된 와이어 헤드부에 보석 장식용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형성핀을 갖는 제2가동금형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지름 0.8 ~ 2mm 내외의 가는 와이어를 일정길이 로 잘라 직경이 큰 두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두부에는 꽃 모양 등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12)의 일단부가 고정금형(30)의 오목부(30a)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30b)으로 삽입되고, 와이어(12)의 타단부가 고정금형(30)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한 후, 제1가동금형(32)을 고정금형(30)의 오목부(30a)로 삽입하여 상기 삽입공(30b)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12)를 고정금형의 오목부(30a)와 가동금형의 음각부(32b) 공간으로 전연되도록 하면서 헤드부(12a)의 배면은 라운드지고 그 전면은 문양을 갖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가동금형(32)은 그 선단부에 고정금형(30)의 오목부(30a)와 대응되는 볼록부(32a)를 가지며, 이 볼록부(32a)의 표면에는 이 볼록부(32a)에 의해 가압되는 와이어(12)가 소성 변형되면서 소정형상의 문양을 갖도록 하는 음각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동금형(32)은 그 중심축을 관통하는 통공(32c)이 형성되고, 이 통공(32c) 내에는 고정금형(30)의 삽입공(30b)으로 와이어(12)를 밀어 넣기 위한 가압핀(3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압핀(34)은 제1가동금형(32)의 통공(32c)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문양이 만들어진 와이어 헤드부(12a)의 오목부(12b) 중앙에 홈(12c)을 형성하기 위해 홈형성핀(38)이 내장된 별도의 제2가동금형(36)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릴 (10)에서 풀려나는 와이어(12)를 커터(14)로 일정 길이만큼 커팅하는 단계와, 가동금형(32)이 커팅된 와이어(12)를 고정(grip)시키고 이 가동금형(32)의 통공(32c) 내에 마련된 가압핀(34)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와이어(12)를 고정금형(30)의 삽입공(30b)으로 삽입시키는 단계(이때, 상기 와이어(12)는 고정금형(30)의 삽입공(30b) 후단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다.)와, 상기 가압 작업을 완료한 가압핀(34)의 원상태 복귀와 동시에 제1가동금형(32)이 고정금형(30)의 오목부(30a)로 진입하여 삽입공(30b)에 삽입 지지되어 있는 와이어(12)의 선단부를 가압하여서 그 배면은 오목부(30a)에 대응되는 라운드 형상이 되고 그 전면은 소정 형상의 문양이 생성되게 하는 단계(이는 종래의 프레스로 헤드부의 가장자리를 절취하는 단계와, 헤드부의 뒷부분을 둥글고 앞부분은 오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공정이 단축되게 되는 것이다)를 거치면서 와이어(12)의 헤드부(12a)를 소성 변형시킨다.
이렇게 제1가동금형(32)의 가압 작동에 의해 와이어(12)의 헤드부(12a)는 배면은 라운드 형상이 되고 그 전면은 제1가동금형(32)의 음각부(32b)에 의해 소정의 문양을 갖도록 소성 변형이 완료되면 제1가동금형(32)은 후진하여 물러나고 거의 동시에 제2가동금형(36)이 전진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동금형(36)에 내장된 홈형성핀(38)이 헤드부(12a)의 오목부(12b)로 진입하여 그 중앙에 보석 등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홈(12c)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 치용 금형 및 이 금형에 의해 제작된 액세서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름 0.8 ~ 2mm 내외의 가는 와이어를 일정길이로 잘라 직경이 큰 두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두부에는 꽃 모양 등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고정금형(미도시)의 와이어(39)가 삽입되는 삽입공(미도시) 주위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제1가동금형(40)의 편평한 선단부에는 와이어(39)의 헤드부(39a) 문양과 대응되는 음각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가동금형(50)의 선단부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금형(52)의 삽입공(52a) 주위에는 와이어의 헤드부 문양과 대응되는 음각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고정금형과 가동금형 각각의 금형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별도의 배면라운드 형성부분과 절취되는 부분을 모두 헤드부의 면적으로 활용하므로써 최소 직경의 액세서리 소재로 최대 직경의 액세서리 두부를 형성하여 문양의 다양성에 부응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절취작업 공정을 줄여서 작업시간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가공 공정수를 줄여 공정마다 진행되는 와이어 두부의 가공경화를 최소화할 수 있어 금형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뿐 아니라 금형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금형과, 이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가동금형을 포함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Heading Machine)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의 삽입공 주위에 와이어 헤드부의 배면에 라운드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가동금형의 선단부에 고정금형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에는 헤드부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에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2.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금형과, 이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가동금형을 포함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Heading Machine)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의 삽입공 주위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1가동금형의 편평한 선단부에 와이어의 헤드부 문양과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3.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금형과, 이 고정금형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와이어를 가압하여 소정 형상의 헤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가동금형을 포함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Heading Machine)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금형의 선단부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상기 고정금형의 삽입공 주위에 와이어의 헤드부 문양과 대응되는 음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은
    상기 고정금형(30)과 제1가동금형(32)에 의하여 소성 변형이 완료된 와이어 헤드부에 보석 장식용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형성핀(38)을 갖는 제2가동금형(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KR1020050074758A 2005-08-16 2005-08-16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KR10070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758A KR100708892B1 (ko) 2005-08-16 2005-08-16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758A KR100708892B1 (ko) 2005-08-16 2005-08-16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38A KR20070020638A (ko) 2007-02-22
KR100708892B1 true KR100708892B1 (ko) 2007-04-17

Family

ID=4162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758A KR100708892B1 (ko) 2005-08-16 2005-08-16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718B1 (ko) * 2015-07-03 2016-04-26 이재영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906A (ja) * 1990-09-07 1992-04-17 Tanaka Kikinzoku Kogyo Kk 宝石類保持台の製造方法
JP2001120317A (ja) 1999-10-24 2001-05-08 Maruyama:Kk 装身具及びその製法
KR20020000589A (ko) * 2000-06-24 2002-01-05 원종하 액세서리의 핀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906A (ja) * 1990-09-07 1992-04-17 Tanaka Kikinzoku Kogyo Kk 宝石類保持台の製造方法
JP2001120317A (ja) 1999-10-24 2001-05-08 Maruyama:Kk 装身具及びその製法
KR20020000589A (ko) * 2000-06-24 2002-01-05 원종하 액세서리의 핀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38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07022A (ja) 射出成形装置、射出成形方法および筐体
KR100708892B1 (ko)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KR19980033744A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JP3546379B2 (ja) 多段式圧造成形機
JPH091269A (ja) 金属製リングの表面加飾方法
KR101698806B1 (ko)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KR100851051B1 (ko) 앵커리벳의 제조방법
JP2006246929A (ja) 装身具用連結具とその製造方法
CN213485167U (zh) 听筒装饰件及其制造模具
WO2017007170A1 (ko)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액세서리
KR101910929B1 (ko) 볼륨 장신구 제조 방법
CN217373286U (zh) 一种抽芯装置及其成型模具
KR102167817B1 (ko)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KR20010110515A (ko) 나사머리 성형방법
KR200212141Y1 (ko) 포밍기의 다이부구조
JP3157397U (ja) 袋ナットの圧造成形機
KR100808993B1 (ko) 너트 제작용 금형 장치
JPH05307088A (ja) 時計用りゅうずの製造方法
KR20010019597A (ko)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의 제조방법
JP2000318368A (ja) 筆記具の胴体製造方法
JP2000107830A (ja) 棒状部材の外周部形成用トリーマ
KR100344097B1 (ko) 손톱깍기용 누름편의 제조방법
KR100424687B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JPH10211007A (ja) 貴金属製装身具の表面加工方法
CN103317069B (zh) 一种金属丝弯曲成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