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340B1 -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340B1
KR101508340B1 KR20130146860A KR20130146860A KR101508340B1 KR 101508340 B1 KR101508340 B1 KR 101508340B1 KR 20130146860 A KR20130146860 A KR 20130146860A KR 20130146860 A KR20130146860 A KR 20130146860A KR 101508340 B1 KR101508340 B1 KR 10150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strip
cutting
string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택
Original Assignee
유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택 filed Critical 유정택
Priority to KR2013014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1Faceting g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장식물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을 가지면서 외부로 노출이 되는 면이 일정한 조도를 가지도록 연마가 된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의 제조방법은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 및 스트립 형상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스트립 형상의 소재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 부위의 외부 표면이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하나의 방향으로 연마, 다이스 성형 또는 절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부위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Accessary Having an Grinded Surface for Decora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장식물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을 가지면서 외부로 노출이 되는 면이 일정한 조도를 가지도록 연마가 된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 또는 액세서리는 몸의 치장을 위한 도구를 말하며 예를 들어 귀걸이, 목걸이, 팔찌, 반지 또는 귀걸이와 같은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관념의 형상화, 외관의 향상 및 상징물 기능을 가지면서 다양한 소재로 제조되어 인체에 착용이 된다.
장신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0468131호 ‘장신구 표면 가공용 절삭 공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금 또는 은과 같은 귀금속으로 제작되어 귀걸이, 목걸이 또는 팔찌와 같은 것으로 적용되는 장신구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가공을 하기 위한 절삭 공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 구동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장신구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가공하는 절삭 공구에 관한 것으로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 구동 부분에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자유단 부분에 구비된 원형의 단면을 가진 헤드 부분과 상기 헤드 부분의 한쪽 외주 면에 반경 방향으로 구비된 절삭 팁을 포함하는 표면 가공용 절삭 공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장신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70672호 ‘장신구용 성형물의 구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은을 원통 형상으로 성형한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부 표면에 유화칼슘 용액에 침지하여 외부 표면에 특정 색상이 도포되는 색상 도포 층과; 상기 심재를 일정 형상으로 절삭한 절취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색 표현이 가능한 장신구용 성형물의 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장신구는 외부에 요철 무늬를 형성하거나 장식물을 특정 형상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적 감각은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이 될 수 있으므로 장신구에 표현되는 문양 또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미적 감각은 공통적인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미적 감각에 기초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물을 보호하는 커버의 표면이 연마가 된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신구의 제조방법은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 및 스트립 형상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스트립 형상의 소재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 부위의 외부 표면이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하나의 방향으로 연마, 다이스 성형 또는 절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부위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립 형상의 소재를 정해진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여 당기면서 바이트 부위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는 스트립 형상으로 연장이 되는 바닥 면; 바닥 면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바닥 면으로부터 꺾인 형상을 가지는 보호 면; 및 바닥 면 및 보호 면에 의하여 고정되는 장식물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면 또는 보호 면의 외부 표면은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절삭, 다이스 성형 또는 연마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개방 커버에 의하여 보호가 되는 것에 의하여 장식물의 손상 또는 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커버 표면이 연마가 되어 그 자체로 미적 감각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장식물 자체의 미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제조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제조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제조 방법은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 및 스트립 형상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1); 상기 스트립 형상의 소재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S12); 상기 결합 부위의 외부 표면이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하나의 방향으로 연마하는 단계(S13); 및 상기 결합 부위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을 결합시키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예를 들어 팔찌, 귀걸이 또는 반지와 같은 것으로 사용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한 형상의 변경을 통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장신구의 제조를 위하여 소재가 준비되어야 한다(S11). 소재는 예를 들어 스트링 형태의 장식물과 스트립 형상의 판형 소재가 될 수 있다.
스트링 형태의 소재는 예를 들어 와이어에 결합된 다수 개의 장식성 보석, 수정(crystal), 모조 보석, 장식성 코팅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장식성 보석은 스트링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하여 와이어에 연속적으로 접착이 될 수 있다.
스트립 형상의 소재는 예를 들어 황동, 청동, 은, 구리 또는 이와 유사한 연질의 금속 또는 합금이 될 수 있다. 스트립 형상의 소재는 가공이 되어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을 보호하는 커버 기능을 할 수 있다.
소재가 준비되면(S11) 스트립 형상의 소재가 적절하게 가공이 될 수 있다(S12). 스트립 형상의 소재는 예를 들어 롤(roll)에 감겨질 수 있고 그리고 한쪽 끝은 롤러와 같은 드로잉(drawing) 수단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가공이 될 수 있다. 스트립의 한쪽 끝은 인장 롤러에 의하여 당겨지고 그리고 중간에 형상 결정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트립 형상의 소재의 가공은 장식물이 고정될 수 있으면서 원형, 타원형 또는 말굽 형상과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공이 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만들어진 스트립 소재는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장식물의 결합은 끼움 고정, 접착제 고정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고정 방식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스트립 소재가 가공이 되면서 또는 가공이 된 이후 외부 표면이 가공이 될 수 있다(S13). 외부 표면의 가공은 연마, 절삭 또는 다이스 성형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가공된 스트립 소재의 외부 면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초경합금 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소재의 바이트로 절삭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마 또는 절삭이 되는 부위는 가공된 스트립 소재에서 외부로 노출이 되는 면이다. 외부로 노출이 되는 면이 일정 방향으로 바이트에 의하여 절삭이 되면 외부 면의 조도가 개선이 되는 한편 가공 과정에서 발생된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다. 추가로 절삭에 의하여 광택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연마 또는 절삭 공정은 형상이 가공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링 장식물을 고정하기 위한 홈 형상이 만들어지고 이후 바이트에 의하여 외부 면이 절삭이 될 수 있다. 대안으로 형상이 가공이 된 이후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외부 면이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절삭, 다이스 성형 또는 연마가 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절삭, 다이스 성형 또는 연마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마 공정이 완료되면(S13), 스트링 장식물이 스트립 소재에 결합이 될 수 있다(S14). 결합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결합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제시된 형상 가공 또는 절삭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는 형상 가공 또는 절삭이 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스트립 소재(C0)는 한 쌍의 가공 롤러(11a, 11b)를 통과하면서 형상이 가공될 수 있고 그리고 한 쌍의 가공 롤러(11a, 11b)의 뒤쪽에 위치하는 절삭 바이트(13a, 13b)에 의하여 외부 노출면이 절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절삭은 형상 스트립(C1)이 형상 롤러(12)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 롤러(11a, 11b)를 통과하는 스트립 소재(C0)는 꺾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장 롤러(14a, 14b)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절삭 바이트(13a, 13b)에 정해진 외부 면이 절삭이 될 수 있다. 가공 롤러(11a, 11b)에 의하여 스트립 소재(C0)에 가해지는 압력이 100이라면 인장 롤러(14a, 14b)에 의하여 형상 스트립(C1)에 가해지는 압력은 100.1 내지 11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장력의 차이로 인하여 절삭 바이트(13a, 13b)에 의하여 형상 스트립(C1)이 절삭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절삭 바이트(13a, 13b)의 양쪽으로 차폐 스크린(S1, S2)가 배치될 수 있다. 차폐 스크린(S1, S2)은 절삭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 찌꺼기의 차단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외부 노출면은 다이스에 의하여 성형 또는 연마가 될 수 있다. 도 1b의 아래쪽에 도시된 것처럼, 형상 다이스(16)가 준비되고 그리고 형상 다이스(16)에 연마 부위(161)이 만들어질 수 있다. 연마 부위(161)에서 연마 또는 절삭이 되어야 할 부분은 절단 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부위(161)의 각각의 외부 둘레 면이 절단 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연마는 예를 들어 돌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과 같은 소재에 의한 연마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특정한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스트립 소재(C0)에서 가공이 되어야 할 부분은 미리 결정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공 롤러(11a, 11b)에 의하여 절곡 선(C01)이 위쪽으로 꺾이도록 가공이 될 수 있다. 가공 롤러는 가공 형상에 따른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절곡 면의 외부 면은 절삭 바이트(13a, 13b)에 의하여 절삭이 될 수 있다. 절삭 바이트(13a, 13b)는 예를 들어 초경합금 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간격 조절이 가능한 지그와 같은 장치에 고정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바닥의 외부 면이 절삭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바닥의 외부 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삭 바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인장 롤러(14a, 14b)가 형상 스트립은 당기는 것에 의하여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형상 롤러(12)는 형상 스트립(C1)이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형상 스트립(C1)은 형상 롤러(12)에 형성된 모양에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적절한 절단 장치에 의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이 될 수 있다.
스트립 소재(C0)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 및 절삭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에 대하여 설명이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스트립 소재(21)는 바닥 면(211) 및 보호 면(211a, 2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2a의 (나)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바이트(23), 성형 다이스 또는 돌에 의하여 절삭 또는 연마가 될 수 있다. 바이트(23)는 전체적으로 경사진 측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몸체(231), 몸체(231)에 형성된 고정 홀(232) 및 경사진 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절삭 날(2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스트립 소재(21)는 가공 롤러에 의하여 보호 면(211a, 211b)이 꺾이는 형태로 가공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바이트(23)의 절삭 날(233)에 의하여 보호 면(211a, 211b)의 외부 면 그리고 바닥 면(211)의 외부 면이 절삭이 될 수 있다. 바이트(23)는 고정 홀(232)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면서 간격 조절이 가능한 지그에 고정이 될 수 있고 절삭 날(233)은 스트립 소재(21)에 비하여 높은 경도를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립 소재(21)는 황동과 같은 소재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절삭 날(233)은 초경합금 또는 다이아몬드와 가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공 및 절삭이 완료되고 그리고 모양이 성형된 형상 스트립(22)은 예를 들어 팔찌 용도로 사용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형상 스트립(22)이 될 수 있다. 형상 스트립(22)은 둘레를 따라 장식물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면(221) 및 보호 면(221a, 221b)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장 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 면(221)의 외부 면과 보호 면(221a, 221b)의 외부 면은 균일한 조도를 가질 수 있다. 외부 면의 균일한 조도는 바이트(23)에 의한 절삭으로 인하여 형성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일정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방향성은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그리고 절삭 날(233)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절삭이 된 외부 면은 투명 코팅이 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 홈에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이 고정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장식물(24)은 스트링 형상이 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의 외부 면을 가공하여 보석 또는 그와 유사한 장식 소재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24)이 제조될 수 있다.
도 2b의 (나)를 참조하면, 장신구(20)는 귀걸이가 될 수 있고, 외부 노출면이 절삭이 된 형상 스트립(22), 형상 스트립(22)에 형성된 연장 홈에 고정되는 장식물(24) 및 고정을 위한 고정 핀(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물(24)은 예를 들어 끼움 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연장 홈에 고정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연장 홈에 고정될 수 있다.
팔찌, 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장신구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장신구는 형상 스트립(22)의 외부 면이 청결하면서 깨끗한 미감을 가지고 장식물(25) 고유의 미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연장 홈에 고정된 장식물(24)이 손상이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개방 커버에 의하여 보호가 되는 것에 의하여 장식물의 손상 또는 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커버 표면이 연마가 되어 그 자체로 미적 감각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장식물 자체의 미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a, 11b: 가공 롤러 12:형상 롤러
13a, 13b: 절삭 바이트 16: 다이스
20: 장신구 21:스트립 소재
22: 형상 스트립 23: 바이트
24: 장식물 25: 고정 핀
161: 형상 부위 211: 바닥 면
211a, 211b: 보호 면 231: 몸체
232: 고정 홀 233: 절삭 날

Claims (3)

  1.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 및 스트립 형상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스트립 형상의 소재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 부위의 외부 표면이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하나의 방향으로 연마, 다이스 성형 또는 절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부위에 상기 스트링 형상의 장식물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방향으로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립 형상의 소재를 정해진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여 당기면서 바이트 부위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신구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KR20130146860A 2013-11-29 2013-11-29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0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860A KR101508340B1 (ko) 2013-11-29 2013-11-29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860A KR101508340B1 (ko) 2013-11-29 2013-11-29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340B1 true KR101508340B1 (ko) 2015-04-08

Family

ID=5303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860A KR101508340B1 (ko) 2013-11-29 2013-11-29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391A (ko) * 1994-12-20 1996-07-18 권의철 악세사리용품 표면 연마방법
KR19980072239A (ko) * 1997-03-03 1998-11-05 이웅수 링형 장신구 제작방법
KR200262654Y1 (ko) 2001-10-31 2002-03-18 박태규 장신용 체인의 면 절삭을 행하기 위한 바이트 홀더
KR20050108888A (ko) * 2004-05-14 2005-11-17 한상천 장신구의 보석설치방법 및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391A (ko) * 1994-12-20 1996-07-18 권의철 악세사리용품 표면 연마방법
KR19980072239A (ko) * 1997-03-03 1998-11-05 이웅수 링형 장신구 제작방법
KR200262654Y1 (ko) 2001-10-31 2002-03-18 박태규 장신용 체인의 면 절삭을 행하기 위한 바이트 홀더
KR20050108888A (ko) * 2004-05-14 2005-11-17 한상천 장신구의 보석설치방법 및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4406A1 (en) Gemstone
KR102084208B1 (ko) 장식 요소 및 제조 방법
US4139667A (en) Gemstone cloisonne
KR101508340B1 (ko)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CN210492921U (zh) 链珠嵌入式复合玉手镯
JP5681311B1 (ja) 装身具の製造方法
US20190014873A1 (en) Geode style pearl and method of production
JP5525098B1 (ja) 装身具の製造方法
US1101989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nament made of precious metal and ornament manufactured thereby
CN209862537U (zh) 一种采用批花镶嵌宝石的首饰
JP5901683B2 (ja) 装身具の装飾方法
JP3210197U (ja) 装飾具
KR20210002069U (ko) 장신구
KR200210879Y1 (ko)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악세사리가 고정된 장신구
JP3163798U (ja) 装飾真珠
CN109875199B (zh) 一种采用批花镶嵌宝石的首饰及批花镶嵌宝石的方法
US20070095103A1 (en) Jewelry pendant ring
JP3167481U (ja) 蛍光真珠
KR100523475B1 (ko) 신체 착용 가능한 보석 박힌 대나무 악세사리와 그 보석부착홈
JP2011130931A (ja)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JP3152795U (ja) 装身具用の貴金属製中空丸玉
KR20000071970A (ko) 불규칙한 장식면을 갖는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44207B1 (ko) 액세서리의 보석알 고정방법
KR20060000405A (ko) 석재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KR20150059814A (ko) 장신구용 장식알 고정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