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683B1 -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683B1
KR101766683B1 KR1020170073737A KR20170073737A KR101766683B1 KR 101766683 B1 KR101766683 B1 KR 101766683B1 KR 1020170073737 A KR1020170073737 A KR 1020170073737A KR 20170073737 A KR20170073737 A KR 20170073737A KR 101766683 B1 KR101766683 B1 KR 10176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pin
laser welding
earring pin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숙
Original Assignee
(주)테라리제
이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라리제, 이경숙 filed Critical (주)테라리제
Priority to KR102017007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귀걸이 몸체에 귀걸이핀을 레이저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서 초보자도 용접부 주변이 그을리거나 뒷면이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손상 없이 깨끗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귀걸이 몸체에 끼워진 귀걸이핀은 레이저 용접을 하기 전까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곧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 내주면과 귀걸이핀 외주면이 만곡되거나 또는 암,수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거나 고정부에 귀걸이핀이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됨으로서 고정부에 귀걸이핀이 견고하면서도 올곧게 고정되어 레이저 용접을 하는데 수월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Structure of union pin for an earring with laser welding}
본 발명은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귀걸이 몸체 일측면에 구비되는 중공형의 고정부에 귀걸이핀이 결합되되 상기 귀걸이핀은 돌기끼움방식, 억지끼움방식 또는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귀걸이 몸체에 결합되어 올곧은 직선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레이저 용접은 작업자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메뉴얼을 따라 쉽게 용접을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귀금속용접(예를 들어 산소용접)에 비해 작업 난이도가 낮으면서도 용접부위가 깨끗하게 용접되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장신구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그 중 사람의 몸을 치장하기 위한 장신구 중에서 가장 일찍부터 사용된 귀걸이는, 고대 동방의 여러 나라에서는 일종의 부적으로 소중히 여겨져 왔다.
근래에 들어서는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하여 형형색색의 귀걸이를 착용하게 되었고, 귀 말고도 신체의 일부를 고의로 뚫어 핀으로 고정시키는 피어싱도 많은 사람들이 즐겨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귀걸이의 종류로는 나사결합되는 버튼이어링과 모빌형상의 모빌이어링, 커다란 링형의 슬레이브 이어링 등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438호(등록일: 2006.06.26.)에는 결합핀이 장식볼에 아크용접으로 고정되는 귀걸이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용접방식으로 결합핀과 장식볼이 결합되는데, 일반적인 귀금속 용접은 아크용접 또는 산소용접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경우 용접작업의 숙련자가 아닌 이상 용접부 주변이 까맣게 그을리거나 뒷면이 울퉁불퉁 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귀금속(순금) 제품으로서 가치가 하락하여 불량품으로 취급되거나 용접작업 이후 별도로 표면작업을 한 이후에 출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귀걸이 몸체에 귀걸이핀을 고정하기 위해 레이저 용접을 통해 고정함으로서 용접부 주변이 그을리거나 뒷면이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손상이 없기 때문에 별도로 표면작업을 하지 않아 작업속도가 개선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귀걸이 몸체에 끼워진 귀걸이핀은 레이저 용접을 하기 전까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곧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 내주면과 귀걸이핀 외주면이 만곡되거나 또는 암,수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거나 고정부에 귀걸이핀이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별도의 장식(D)이 탈부착 되는 장식면(110)이 형성되며, 상기 장식면의 타측에는 중공 형상의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귀걸이 몸체(100)와; 상기 귀걸이 몸체(100)의 고정부(120)에 일측단이 결합되는 귀걸이핀(200)과; 상기 귀걸이핀(200)이 고정부(1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레이저 용접(L)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귀걸이핀(200)은 고정부(120)에 끼워지는 단부에 단차(201)가 형성되어 귀걸이핀 및 고정부가 동일한 외주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내주면에 만곡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귀걸이핀(200)은 만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곡면(202)이 형성되어, 상기 만곡부에 만곡면이 접하여 끼워짐으로서 고정부(120) 및 귀걸이핀(200)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고정부(120)의 내주 직경은 귀걸이핀(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B1)이 구비되며, 상기 귀걸이핀(200)은 외주면에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B2)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귀걸이 몸체에 귀걸이핀을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됨으로서 초보자도 용접부 주변이 그을리거나 뒷면이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손상 없이 깨끗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귀걸이 몸체에 끼워진 귀걸이핀은 레이저 용접을 하기 전까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곧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 내주면과 귀걸이핀 외주면이 만곡되거나 또는 암,수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거나 고정부에 귀걸이핀이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됨으로서 고정부에 귀걸이핀이 견고하면서도 올곧게 결합되어 레이저 용접을 하는데 수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을 측단면에서 나타낸 예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 몸체(100) 및 귀걸이핀(2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져있다.
이때, 상기 귀걸이 몸체(100)는 별도의 장식(D)이 탈부착 되는 장식면(110)이 형성되며, 상기 장식면의 타측에는 중공 형상의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장식(D)은 진주, 다이아몬드, 큐빅 등으로 작업자의 의도 또는 구매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종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핀(200)은 귀걸이 몸체(100)의 고정부(120)에 일측단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귀걸이핀(200)은 고정부(120)에 끼워지는 단부에 단차(201)가 형성되어 귀걸이핀 및 고정부가 동일한 외주면을 갖게 하는 바, 이는 고정부(120)의 외주면과 귀걸이핀(200)의 외주면 지름이 같아 귀걸이(핀)를 사용자의 귀에 관통시키더라도 고정부 및 귀걸이핀의 지름의 차이로 인한 이물감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귀걸이핀(200)이 고정부(1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레이저 용접(L)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귀걸이 몸체(100)와 귀걸이핀(200)을 일반적인 산소용접으로 결합하는 경우 10년 이상된 숙련자가 아닐경우 용접부 주변이 까맣게 그을리거나 뒷면이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귀금속(순금)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하락하게되어 불량품으로 취급되거나 별도로 표면작업을 통해 외관을 개선해야 했지만, 레이저 용접의 경우에는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가 메뉴얼을 따라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접합부 주변에 손상이 가지 않아 깨끗한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120)는 내주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만곡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귀걸이핀(200)은 만곡부와 대응되는 볼록한 형상의 만곡면(202)이 형성됨으로서 금속의 탄성을 이용한 탄성결합을 조장하여 고정부에 결합된 만곡부가 유동하지 않는 것인 바, 이는 레이저 용접(L)을 통해 결합할 때 귀걸이핀 고정부에 제대로 끼워지지 않아 귀걸이핀이 직선도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로 고정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120)의 내주 직경은 귀걸이핀(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바, 이 또한 레이저 용접(L)을 통해 결합할 때 귀걸이핀 고정부에 제대로 끼워지지 않아 귀걸이핀이 직선도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로 고정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12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B1)이 구비되며, 상기 귀걸이핀(200)은 외주면에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B2)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는 바, 이 역시 레이저 용접(L)을 통해 결합할 때 귀걸이핀 고정부에 제대로 끼워지지 않아 귀걸이핀이 직선도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로 고정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120)는 입구보다 내측이 더 넓게 형성되는(도면상 좌광우협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귀걸이핀(200)는 고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고정부에서 귀걸이핀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120) 내측에서 귀걸이핀(2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단부에 유동방지구(122)가 구비된 유동방지핀(12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는 귀걸이핀(200)의 단부에는 유동방지핀(유동방지구 포함)과 동일한 형상의 유동방지홈(203)이 형성되는 바, 이는 유동방지핀(유동방지구 포함) 및 유동방지홈이 상호 결합하여 귀걸이핀이 고정부에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고 올곧은 직선도를 유지되도록 한 이후 레이저 용접(L)으로 고정함으로서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핀(123) 외주면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막 형태의 연질부(R)가 형성되어 유동방지홈(203)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120) 내주면에는 다수의 회전방지구(124)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201) 외주면에는 회전방지구와 대응되는 형태의 회전방지홈(20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20)에 귀걸이핀(200)이 결합된 이후 작업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이저 용접의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에, 상기 고정부(120)에 끼워지는 단차의 단부에는 라운딩 또는 챔퍼링이 형성되어 귀걸이핀(200)의 단차가 고정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귀걸이 몸체 110 ... 장식면
120 ... 고정부 121 ... 만곡부
122 ... 유동방지구 123 ... 유동방지핀
124 ... 회전방지구 200 ...귀걸이핀
201 ... 단차 202 ... 만곡면
203 ... 유동방지홈 204 ... 회전방지홈
B1 ... 암나사산 B2 ... 수나사산
D ... 장식 L ... 레이저 용접
R ... 연질부

Claims (5)

  1. 별도의 장식(D)이 탈부착 되는 장식면(110)이 형성되며, 상기 장식면의 타측에는 중공 형상의 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귀걸이 몸체(100)와; 상기 귀걸이 몸체(100)의 고정부(120)에 일측단이 결합되는 귀걸이핀(200)과; 상기 귀걸이핀(200)이 고정부(1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레이저 용접(L)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귀걸이핀(200)은 고정부(120)에 끼워지는 단부에 단차(201)가 형성되어 귀걸이핀 및 고정부가 동일한 외주면을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120)는 내주면에 만곡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귀걸이핀(200)은 만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곡면(202)이 형성되어, 상기 만곡부에 만곡면이 접하여 끼워짐으로서 고정부(120) 및 귀걸이핀(2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73737A 2017-06-13 2017-06-13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KR10176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37A KR101766683B1 (ko) 2017-06-13 2017-06-13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37A KR101766683B1 (ko) 2017-06-13 2017-06-13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683B1 true KR101766683B1 (ko) 2017-08-09

Family

ID=5965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37A KR101766683B1 (ko) 2017-06-13 2017-06-13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05B1 (ko) * 2018-01-16 2018-07-02 김도혁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50B1 (ko) * 2000-05-16 2003-02-06 조승국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KR200363089Y1 (ko) * 2004-07-09 2004-09-24 백승일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50B1 (ko) * 2000-05-16 2003-02-06 조승국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KR200363089Y1 (ko) * 2004-07-09 2004-09-24 백승일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05B1 (ko) * 2018-01-16 2018-07-02 김도혁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177A (en) Gem stone mount
KR101811772B1 (ko) 피어싱 결합구조를 갖는 장신용 구슬의 제조방법
KR101766683B1 (ko)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KR101005684B1 (ko) 장신구 연결핀
KR200363089Y1 (ko)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KR101199925B1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KR20180135770A (ko)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JP2008178430A (ja) 装身具
KR101784252B1 (ko) 회전 장신구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US20060156760A1 (en) Ear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12729056U (zh) 一种多功能饰品、项链、耳环及手链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CN209883238U (zh) 一种多功能穿戴饰品
KR20140074418A (ko) 반지
KR200492406Y1 (ko) 귀걸이 장신구
JP3930859B2 (ja) 組み合わせ指輪兼装身具
KR102260586B1 (ko) 의류 장식용 알루미늄 단추캡 및 그 제조 방법
CN213664034U (zh) 一种吊坠结构及首饰
KR101865575B1 (ko) 장신구의 꼬임 방지장치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JP3034538U (ja) 装飾物取り付け用金具
JPH05344905A (ja) ピア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