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089Y1 -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089Y1
KR200363089Y1 KR20-2004-0019649U KR20040019649U KR200363089Y1 KR 200363089 Y1 KR200363089 Y1 KR 200363089Y1 KR 20040019649 U KR20040019649 U KR 20040019649U KR 200363089 Y1 KR200363089 Y1 KR 200363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ollow
ball
male screw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일
Original Assignee
백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일 filed Critical 백승일
Priority to KR20-2004-0019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어싱 액세서리(Piercing Accessory)에 관한 것으로, 볼(Ball)과 바(Bar)가 속이 빈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가볍고 경제적인,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바(bar)와;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볼(ball)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Hollow type piercing Accessory}
본 고안은 피어싱 액세서리(Piercing Accessor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Ball)과 바(Bar)가 속이 빈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가볍고 경제적인,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바디 피어싱(body piercing)이란 귀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코, 입술, 눈썹, 혀, 배꼽, 뺨 등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장신구나 종교적 의미를 갖는 물체를 착용하는 것을 말한다.
고대사회나 아프리카 등의 원주민 사회 또는 일부 힌두교도들 사이에서는 동물의 뼈나 이빨을 깎아서 만든 것이나, 쇠창 또는 은침 등을 착용하였으나, 1980년대말 영국에서 패션 액세서리로서 이용되기 시작하면서는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이나, 이러한 귀금속에 보석을 더하여 만들어진 패어싱 액세서리가 각광을 받고 있다.
피어싱 액세서리의 종류는 비드링(bead ring), 서큘라 바벨(circular barbell), 스트레이트 바벨(straight barbell), 바나나 바벨(banana barbell), 라블렛(lablet stud), 트위스터(twister), 셉텀(septum), 플레시터널(flesh tunnel) 등 매우 다양하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구조는 바벨형으로서, 직선형으로, 바나나형으로, 혹은 환형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바(bar)와 그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ball)과 그 타단에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볼 또는 장식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서큘라 바벨, 스트레이트 바벨, 바나나 바벨, 또는 트위스터 등 바벨 타입 또는 라블렛 스터드(stud) 타입과 같이, 소정 형상의 바와 상기 바의 말단에 결합되는 볼을 갖는 피어싱 액세서리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피어싱 액세서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바벨형 피어싱 액세서리는 양단에 수나사(110)가 형성된 바(100)와, 상기 수나사(110)에 대응되는 암나사(210)가 형성되어 상기 바(1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200)과, 암나사(31)가 형성되어 상기 바(100)의 타단에 결합되고 장식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장식부재(30)로 이루어진다.
신체 일부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바(100)를 관통시키고 그 말단에 상기 구멍보다 큰 볼(200)을 결합시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바(100)의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는 볼(200)이 결합된다.
그런데, 종래의 피어싱 액세서리에서 상기 바와 볼은 속이 차있다. 입술, 코, 혀, 눈썹, 귀 등의 연약한 신체부위에 착용되는 피어싱 액세서리의 특성상 자체의 중량이 커지면 그만큼 착용감이 나빠지고, 특히 입술, 혀, 눈썹 등과 같이 활동량이 많은 부위에 착용되는 경우, 말을 하거나 눈을 깜빡거리는 것과 같은 기본적인 동작에도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어싱 액세서리는 주로 금, 은 또는 백금 등의 귀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피어싱 액세서리와 같은 패션 액세서리는 귀금속의 재산적 가치보다는 제품의 외형이 갖는 심미감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중량이 큰 피어싱 액세서리는 값비싼 귀금속 소재를 더 많이 필요로 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만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볼과 바가 속이 빈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가볍고 경제적인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피어싱 액세서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액서서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바(bar) 11: 수나사부
12: 삽지부 20: 볼
21: 암나사부 30: 장식부재
31: 암나사부 32: 착지부
상기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바(bar); 및 중공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ball)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의 일단에는 착탈 가능하도록 볼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볼 또는 장식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와 볼의 착탈구조로서 바의 말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에 암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반대로 상기 바의 말단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의 일측에 돌출된 수나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볼 또는 장식부재는 상기 바의 타단에 수나사와 암나사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용접이나 브레이징 또는 솔더링 등의 방법을 통해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는 중공(15)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일단에 수나사부(11)가 형성된 바(10)와, 중공(25)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함입되어 상기 수나사부(1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21)를 갖는 볼(20)과, 상기 바(10)의 삽지부(12)가 그 착지부(32)에 삽입되어 용접된 장식부재(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10) 일단의 수나사부(11)는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바(10)를 이루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액서서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1실시예와 대부분 공통되나, 상기 바(10)의 타단에도 수나사부(11)를 형성하고, 장식부재(30)에도 암나사부(31)를 형성하여 착탈 가능 하도록 한다. 따라서 한 세트의 바와 볼에 다양한 심미적 형상을 갖는 장식부를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바(10)의 수나사부(11)는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바(10)를 이루는 파이프의 일단(101)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10)의 타단에는 삽지부(12)를 형성하고, 장식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착지부(32)에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볼(20)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구 형상으로서, 일측에 개구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01)에 암나사부(21)를 삽입하여 그 둘레를 용접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10)와 볼(20)은 중공형으로서 서로 결합되어기존의 액세서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그 중량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11)와 파이프 일단(101)의 결합 및 상기 암나사부(21)와 볼의 개구부(201)의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브레이징, 솔더링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귀금속 세공에서와 같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 상기 수나사부(11)는 바(10)의 양 끝단(101)에 용접되어 구비되고, 볼(20) 뿐만 아니라 상기 장식부재(30)도 일측에 그 암나사부(31)를 갖도록 하여, 상기 바(10)의 양측에 볼(20)과 장식부재(30)가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바(10')의 양단 내면에 암나사부(11')를 형성하고, 볼(20') 및 장식부재(30')의 일측에 돌출된 수나사부(21',31')를 형성하여, 상기 바(10')의 양측에 볼(20') 및 장식부재(30')가 각각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는 속이 빈 중공의 볼(ball)과, 역시 속이 빈 파이프(pipe)로 이루어진 바(bar)를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서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종래의 피어싱 액세서리와 비교할 때, 본 고안은 피어싱 액세서리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제조에 소요되는 값비싼 금, 은 등의 귀금속 소재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바(bar); 및
    중공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ball)을 포함하는,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양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두개의 볼이 상기 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양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나의 볼이 상기 양단 중 일단에 결합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양단 중 타단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4.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된 바;
    상기 바의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 용접되어 구비되는 수나사부;
    중공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및
    상기 수나사부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용접되어 구비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바의 양단에 구비되고,
    각각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두개의 볼이 상기 바의 양단에 결합되는,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바의 양단에 구비되고,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하나의 볼이 상기 양단 중 일단에 결합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양단 중 타단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7.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바(bar); 및
    중공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ball)을 포함하는,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KR20-2004-0019649U 2004-07-09 2004-07-09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KR200363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649U KR200363089Y1 (ko) 2004-07-09 2004-07-09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649U KR200363089Y1 (ko) 2004-07-09 2004-07-09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089Y1 true KR200363089Y1 (ko) 2004-09-24

Family

ID=4935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649U KR200363089Y1 (ko) 2004-07-09 2004-07-09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08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989B1 (ko) 2008-12-29 2011-12-28 이조원 피어싱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1777Y1 (ko) * 2012-05-17 2014-03-19 김점숙 피어싱 액세서리
KR101632999B1 (ko) * 2016-01-28 2016-06-23 양성호 귀걸이 뒷장식 부재
KR101698806B1 (ko) * 2015-12-15 2017-02-01 주식회사 하얀보석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KR101766683B1 (ko) * 2017-06-13 2017-08-09 (주)테라리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KR200485292Y1 (ko) * 2017-02-06 2017-12-18 정동학 액세서리용 피어싱 기구
KR101807955B1 (ko) * 2016-06-24 2018-01-18 윤경석 엑세사리의 제조방법
KR200492804Y1 (ko) 2019-06-25 2020-12-14 오순록 피어싱 장신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989B1 (ko) 2008-12-29 2011-12-28 이조원 피어싱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1777Y1 (ko) * 2012-05-17 2014-03-19 김점숙 피어싱 액세서리
KR101698806B1 (ko) * 2015-12-15 2017-02-01 주식회사 하얀보석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KR101632999B1 (ko) * 2016-01-28 2016-06-23 양성호 귀걸이 뒷장식 부재
KR101807955B1 (ko) * 2016-06-24 2018-01-18 윤경석 엑세사리의 제조방법
KR200485292Y1 (ko) * 2017-02-06 2017-12-18 정동학 액세서리용 피어싱 기구
KR101766683B1 (ko) * 2017-06-13 2017-08-09 (주)테라리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KR200492804Y1 (ko) 2019-06-25 2020-12-14 오순록 피어싱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3089Y1 (ko) 중공형 피어싱 액세서리
CN205884864U (zh) 一种多功能首饰链
CN209750025U (zh) 一种通过磁力组合实现多种佩戴方式的可转动首饰
KR200407517Y1 (ko) 착탈식 펜던트를 갖는 장신구
TWM629880U (zh) 扣件組結構及具有扣件組結構的墜飾
CN113080581B (zh) 一种爱动挂坠
KR101766683B1 (ko)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CN207693090U (zh) 弹力双环卡接式手镯
CN211186096U (zh) 一种可用于多种佩戴的首饰组件
CN218044074U (zh) 一种改良型弹性珠链
KR200397718Y1 (ko) 조립식 반지
JP3930859B2 (ja) 組み合わせ指輪兼装身具
KR200492406Y1 (ko) 귀걸이 장신구
CN212729056U (zh) 一种多功能饰品、项链、耳环及手链
CN207721325U (zh) 手镯
JP2018015515A (ja) 装身具
US20140082890A1 (en) Coordinated and replaceable cuff links
KR200322652Y1 (ko)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장신구
JP3234875U (ja) アクセサリー
CN209883238U (zh) 一种多功能穿戴饰品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CN213550133U (zh) 一种具有变径链条的饰品结构
CN211021273U (zh) 一种珠宝组合挂件
CN209769244U (zh) 一种多用途装饰链
CN205682645U (zh) 一种手脚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