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05B1 -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 Google Patents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05B1
KR101873705B1 KR1020180005437A KR20180005437A KR101873705B1 KR 101873705 B1 KR101873705 B1 KR 101873705B1 KR 1020180005437 A KR1020180005437 A KR 1020180005437A KR 20180005437 A KR20180005437 A KR 20180005437A KR 101873705 B1 KR101873705 B1 KR 10187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flange
space
web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혁
Original Assignee
김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혁 filed Critical 김도혁
Priority to KR102018000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는, 일측에 장식이 마련되고 타측에 결합부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결합부에 레이저 용접되는 귀걸이핀;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웨브; 및 상기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핀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여 가고정되는 돌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WARRING WITH PIN CONNECTION STRUCTURE USING LASER WELDING}
본 발명은 귀걸이핀과 몸체부를 갖는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용접 방식을 이용하여 귀걸이핀과 몸체부가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귀걸이는 통상적으로 장식이 부가되는 몸체부와 이러한 장식을 인체의 귀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인 귀걸이핀으로 구성된다.
귀걸이핀을 몸체부에 고정할 때에는 레이저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아크 용접이나 산소 용접과 같은 다른 방식과 대비하여, 레이저 용접은 용접 포인트가 작고 깨끗하며 그 세기도 상대적으로 견고하여 귀걸이 핀을 몸체부에 고정하기에 매우 적합한 방식에 해당한다. 또한, 레이저 용접은 용접후 별도의 표면처리를 크게 요하지도 않는다.
한편, 레이저 용접은 용접 전에 미리 귀걸이 핀을 몸체부에 고정하는 가고정 과정을 필요로 한다. 가고정해야만 작업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즉, 용접 위치(즉, 정위치)에 핀과 몸체부가 잡혀져 있는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을 인가해줌으로써, 쉽고 빠른 부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고정을 위한 몇몇 결합구조들을 제시하는 선행문헌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선행특허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6683호, 발명명칭: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은 몸체의 고정부 내주면에 만곡부가 형성되며, 귀걸이핀은 만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만곡면이 형성되어, 만곡부에 만곡면이 접하여 끼워짐으로서 몸체의 고정부와 귀걸이핀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용접 전 가고정이 쉽지는 않다. 만곡면과 만곡부가 너무 꽉끼어진다면 끼워지는 과정에서 영구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순금과 같이 재질이 무른 경우에는 영구변형에 의해 그 영구변형의 발생 방향을 따라 핀과 몸체부의 방향이 틀어지게 되어 정위치로 가고정하기가 쉽지 않다.
다른 결합구조로서, 고정부와 귀걸이핀에 암수나사산을 형성시켜서 나사체결 방식으로 귀걸이핀을 고정부에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암수나사산을 형성하는 과정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귀걸이가 작을수록 암수나사산도 작아질 수밖에 없어 결국 귀걸이에서 중요한 외관에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하는 내부 구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출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고 순금으로 된 귀걸이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레이저 용접 방식의 귀걸이핀과 몸체부의 새로운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는, 일측에 장식이 마련되고 타측에 결합부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결합부에 레이저 용접되는 귀걸이핀;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웨브; 및 상기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핀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여 가고정되는 돌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웨브와, 제2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돌설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 사이 제1 공간으로 진입하는 제1 돌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 제2 공간으로 진입하는 제2 돌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벽부와, 제2 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핀은,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의 측벽과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은 작고 순금으로 된 귀걸이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레이저 용접 방식의 귀걸이핀과 몸체의 새로운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귀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A부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B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서 몸체부만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 6c는 도 6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5에서 귀걸이핀만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 7c는 도 7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과 결합부가 가고정되는 과정을 귀걸이핀의 회전량에 따라 순서대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회전하기 전 상태를, 도 8b는 도 8a보다 R1만큼 회전한 상태를, 도 8c는 도 8a보다 R2만큼 회전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도 10a의 몸체부에 도 10b의 귀걸이핀이 삽입 및 가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10)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1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10)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1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귀걸이'라 함)는 몸체부(100)와 귀걸이핀(200)을 포함한다.
귀걸이(10)는 전체적으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귀금속 재질인 금, 은, 백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부(100)와 귀걸이핀(200)은 서로 다른 재질일 수도 있으나, 용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몸체부와 귀걸이핀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와 귀걸이핀은 모두 순금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100)는, 일측(102)에 장식(미도시)이 마련되고 타측(104)에 결합부(110)를 갖는다. 일측과 타측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장식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각이나 양각으로 새겨질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보석이 부착될 수도 있다.
귀걸이핀(200)은 결합부(110)에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된다.
귀걸이핀(200)은 그 선단(202)이 결합부(110)로 y방향으로 진입한 후, 레이저 용접으로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용접 전에 귀걸이핀(200)이 몸체부의 결합부(110)에 정위치로 위치할 필요가 있다. 정위치에 귀걸이핀을 가고정시킨 후 레이저 용접을 인가함으로써 귀걸이핀과 몸체부가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용접 부위의 마감도 깨끗하여 귀금속의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귀걸이핀(200)을 몸체부의 결합부(110)에 가고정시킬 때 보다 쉽고, 귀걸이핀과 결합부간 위치 오차를 줄여 용접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결합 구조가 제시된다. 원터치 가고정 방식에 해당한다. 가고정을 위한 회전량이 매우 적어 보다 빠르고 편리한 귀걸이 제작 공정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고정시 귀걸이핀을 쉽게 결합부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과 결합부간 새로운 결합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도 2에서 A부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몸체부의 결합부(110)와 귀걸이핀(200)이 서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5는 도 3에서 B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는 결합부(110)에 귀걸이핀(200)이 가고정을 위해 진입한 후의 상태가 도시된다.
도 6a는 도 5에서 몸체부(100)만을 도시하며,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 6c는 도 6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그리고, 도 7a는 도 5에서 귀걸이핀(200)만을 도시하며, 도 7b는 도 7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 7c는 도 7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는, 베이스부(112)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웨브(113, 115), 및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117, 119)를 포함한다.
웨브(113, 115)는 베이스부(112)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웨브(113)와 제2 웨브(115)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브(113)는 베이스부(112)의 좌측부분으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웨브(115)는 베이스부(112)의 우측부분으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한다(도 6c의 좌표축 참조).
플랜지부(117, 119)는 제1 웨브(113)로부터 연장하는 제1 플랜지부(117)와, 제2 웨브(115)로부터 연장하는 제2 플랜지부(119)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117)는 제1 웨브(113)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플랜지부(119)는 제2 웨브(115)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플랜지부(117)와 제2 플랜지부(119)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베이스부(112)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마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에 의해 베이스부의 면적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이에, 베이스부(112)와 플랜지부(117, 119) 사이에 공간(G1, G2)이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112)와 제1 플랜지(117) 사이에 제1 공간(G1)이 마련되고, 베이스부(112)와 제2 플랜지(119) 사이에 제2 공간(G2)이 마련된다. 이러한 공간(G1, G2)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귀걸이핀의 돌설부가 진입 및 가고정될 수 있다. 공간은 베이스부와 플랜지부 사이 갭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10)는 베이스부(112)로부터 연장하는 벽부(114, 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부(114, 116)는 베이스부(112)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벽부(114)와 제2 벽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부(114)는 베이스부(112)의 윗부분으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벽부(116)는 베이스부(112)의 아랫부분으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벽부(114, 116)가 마련되는 경우, 벽부는 상술한 웨브(113, 115)와 동일한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부와 웨브는 베이스부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된 일체의 하나의 파이프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프 구조물(113, 114, 115, 116)에 제1 플랜지부(117)와 제2 플랜지부(119)가 각각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연장하여 후술하는 돌설부의 진입을 위한 공간(G1, G2)을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200)은 베이스부(112)와 플랜지부(117, 119) 사이 공간(G1, G2)으로 진입하여 가고정되는 돌설부(204, 206)를 포함한다.
돌설부(204, 206)는 베이스부(112)와 제1 플랜지부(117) 사이 제1 공간(G1)으로 진입하는 제1 돌설부(204), 및 베이스부(112)와 제2 플랜지부(119) 사이 제2 공간(G2)으로 진입하는 제2 돌설부(206)를 포함한다.
귀걸이핀(200)이 회전함에 따라 돌설부(204, 206)는 공간(G1, G2)로 각각 진입할 수 있다.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제1 돌설부(204)가 제1 공간(G1)으로, 제2 돌설부(206)가 제2 공간(G2)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제1 돌설부(204)가 제2 공간(G2)으로, 제2 돌설부(206)가 제1 공간(G2)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귀걸이핀(20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돌설부(204)와 제2 돌설부(206)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귀걸이핀(200)의 선단(202)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치 제1 돌설부와 제2 돌설부에 의해 선단의 면적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돌설부(204, 206)와 공간(G1, G2)을 통하여 귀걸이핀과 결합부가 가고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200)과 결합부(110)가 가고정되는 과정을 귀걸이핀(200)의 회전량에 따라 순서대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회전하기 전 상태를, 도 8b는 도 8a보다 R1만큼 회전한 상태를, 도 8c는 도 8a보다 R2(>R1)만큼 회전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귀걸이핀(200)이 결합부 내로 삽입된다. 이때, 제1 돌설부(204)가 제1 벽부(114)를 타고서 플랜지부(117, 119)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르는 홈(H1, 도 6a 참조)으로 삽입되고, 제2 돌설부(206)가 제2 벽부(116)를 타고서 플랜지부(117, 119)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르는 홈(H2, 도 6a 참조)으로 삽입되게 된다. 도 8a는 귀걸이핀(200)이 결합부 내로 삽입된 직후의 상태로서, 가고정을 위해 귀걸이핀이 회전하기 전의 상태에 해당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귀걸이핀(200)이 도 8a에 도시된 상태보다 R1만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돌설부(204)가 베이스부와 제1 플랜지부(117) 사이의 제1 공간(G1)으로 진입하기 시작하고, 제2 돌설부(206)가 베이스부와 제2 플랜지부(119) 사이의 제2 공간(G2)으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귀걸이핀(200)이 더욱 회전하여, 도 8a에 도시된 상태보다 R2(>R1)만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돌설부(204)가 베이스부와 제1 플랜지부(117) 사이의 제1 공간(G1)으로 완전히 진입하고, 제2 돌설부(206)가 베이스부와 제2 플랜지부(119) 사이의 제2 공간(G2)으로 완전히 진입하게 된다. 도 8c는 돌설부의 공간으로의 진입이 종료된 상태에 해당한다.
도 8c에서는 돌설부(204, 206)가 플랜지부(117, 119)보다 약간 작은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고서, 플랜지부(117, 119)에 의해 완전히 오버랩 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고정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돌설부와 플랜지부가 서로 오버랩 되는 정도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작을 수 있다.
돌설부의 공간 내에서 가고정은, 돌설부가 공간 내로 진입하여 플랜지부에 의해 공간 내에 가둬짐으로써 돌설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가고정된 후에는 귀걸이핀에 여러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귀걸이핀이 결합부에서 레이저 용접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설부의 공간으로의 진입 및 진입 후의 가고정이 보다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설부의 크기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돌설부의 두께는 공간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두께는 도면에서 y방향으로의 길이에 해당한다.
일례로, 돌설부가 공간으로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돌설부의 양단부(즉, 공간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부분)(E1, E2, 도 7a 참조)는 공간(G1, G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돌설부가 공간으로 진입한 후 가고정될 수 있도록, 돌설부의 센터부분(C, 도 7a 참조)은 공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억지끼움 방식으로서 돌설부의 센터부분이 공간 내에 억지끼움 될 수 있는 것이다.
귀걸이핀의 회전방향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돌설부의 센터부분(C)이 두껍고 양단부(E1, E2)로 갈수록 얇아지는 좌우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귀걸이핀의 회전방향을 한 방향(예를 들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한정하는 경우에는 돌설부의 일단부(즉, 공간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한 부분)(E1)만이 공간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고, 진입 후 가고정될 수 있도록, 돌설부의 타단부(E2)가 공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좌우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돌설부는 공간으로의 진입 및 가고정을 위해 그 두께가 변하는 가변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설부 대신에 공간이 가변 단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플랜지부와 돌설부가 각각 두 개씩 마련되는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부와 돌설부는 각각 세 개 이상씩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300)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400)의 배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0)는 상술한 두 개의 플랜지부 대신에, 세 개의 플랜지부(317, 319, 3192)를 갖는다. 그에 따라, 세 개의 플랜지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세 개의 벽부(314, 316, 316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와 세 개의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세 개의 웨브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317)와 베이스부(312) 사이에 공간(G1)이 형성되고, 플랜지부(319)와 베이스부(312) 사이에 공간(G2)이 형성되며, 플랜지부(3192)와 베이스부(312) 사이에 공간(G3)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부들(317, 319)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르는 홈(H1)이 형성되고, 플랜지부들(319, 3192)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르는 홈(H2)이 형성되며, 플랜지부들(3192, 317) 사이에 원주 방향을 다르는 홈(H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핀(400)은 상술한 두 개의 돌설부 대신에, 세 개의 돌설부(404, 406, 408)를 갖는다.
이러한 귀걸이핀(400)이 결합부(310)로 삽입된 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돌설부(404)가 플랜지부(317)와 베이스부(312) 사이 공간(G1)으로 진입 및 가고정되고, 돌설부(406)가 플랜지부(319)와 베이스부(312) 사이 공간(G2)으로 진입 및 가고정되며, 돌설부(408)가 플랜지부(3192)와 베이스부(312) 사이 공간(G3)으로 진입 및 가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요소들의 두 개에서 세 개로 증가시키는 경우, 가고정을 위한 회전량을 줄여 보다 신속한 원터치 가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터치 가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나사 구조가 도입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면 위치는 도 6c에 상응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핀(6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면 위치는 도 7b에 상응한다.
그리고, 도 10c는 도 10a의 몸체부에 도 10b의 귀걸이핀이 삽입 및 가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몸체부(500)의 결합부(510)는 베이스부(512)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그루브(51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귀걸이핀(600)은 선단(60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10)가 베이스부(512)로부터 연장하는 웨브(513, 515)와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517, 519)를 가지며, 베이스부와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G1, G2)으로 귀걸이핀(600)의 돌설부(604, 606)가 진입 및 가고정된다는 점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몸체부의 그루브(511)의 측벽에는 나사산(S1)이 형성된다. 일례로, 나사산(S1)은 그루브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나사산일 수 있다.
그리고, 귀걸이핀의 돌출부(601)의 측벽에는 나사산(S1)과 상호보완적인 형상의 나사산(S2)이 형성된다. 일례로, 나사산(S2)은 돌출부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나사산일 수 있다.
돌출 형상의 나사산들(S1, S2)끼리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나사산들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돌출부(601)의 외경은 그루브(5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귀걸이핀(600)이 결합부(510)로 삽입된 후 회전하면, 상술한 것처럼 돌설부(604, 606)가 플랜지부(517, 519) 사이 공간(G1, G2)으로 진입 및 가고정되는데, 이때, 귀걸이핀(600)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S1, S2)들끼리의 나사 결합이 병행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와 돌설부간 가고정 구조에 나사산(S1, S2)에 의한 추가적인 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나사산(S1, S2)간 나사 결합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플랜지부와 돌설부간 가고정을 위해 회전하는 정도로만(일례로,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R2만큼의 회전량 정도로만) 진행되어도, 플랜지부와 돌설부간 가고정 구조에 추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즉, 나사산간 나사 결합은, 돌출부가 그루브 내로 완전히 진입할 때까지 진행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돌출부가 그루브 내로 약간만 진입할 정도로만 진행되고 그에 따라 나사산간에 약간의 회전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가고정 구조에 추가 고정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나사산(S1, S2)을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시키는 것은 피치를 크게 할 수 있어 작은 회전량으로도 쉽게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귀금속과 같이 미세한 스케일에서 나사산을 형성시키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플랜지부와 돌설부간 가고정 구조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작은 회전량으로 추가적인 고정력을 가고정 구조에 제공하기에 기존의 암수나사산보다 적합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고 순금으로 된 귀걸이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레이저 용접 방식의 귀걸이핀과 몸체의 새로운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터치 가고정 방식으로서 제작 시간을 줄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귀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귀걸이
100 : 몸체부
110 : 결합부
112 : 베이스부
113, 115 : 웨브
114, 116 : 벽부
117, 119 : 플랜지부
200 : 귀걸이핀
202 : 선단
204, 206 : 돌설부

Claims (5)

  1.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로서,
    일측에 장식이 마련되고 타측에 결합부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결합부에 레이저 용접되는 귀걸이핀;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웨브; 및
    상기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핀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여 가고정되는 돌설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설부는 가변 단면 구조로서, 상기 공간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양단부가 상기 공간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돌설부의 센터부분이 상기 공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좌우대칭 구조를 가지거나, 상기 공간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일단부가 상기 공간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상기 일단부에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기 공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좌우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귀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웨브와, 제2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웨브로부터 연장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귀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설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 사이 제1 공간으로 진입하는 제1 돌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 제2 공간으로 진입하는 제2 돌설부를 포함하는 귀걸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벽부와, 제2 벽부를 포함하는 귀걸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핀은,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의 측벽과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귀걸이.
KR1020180005437A 2018-01-16 2018-01-16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KR10187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437A KR101873705B1 (ko) 2018-01-16 2018-01-16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437A KR101873705B1 (ko) 2018-01-16 2018-01-16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705B1 true KR101873705B1 (ko) 2018-07-02

Family

ID=6291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437A KR101873705B1 (ko) 2018-01-16 2018-01-16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49B1 (ko) * 2018-11-08 2019-02-11 (주)골드팡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994B2 (ja) * 1998-11-14 2001-03-12 有限会社ジャパンオートテック 車両運搬車
KR101766683B1 (ko) * 2017-06-13 2017-08-09 (주)테라리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994B2 (ja) * 1998-11-14 2001-03-12 有限会社ジャパンオートテック 車両運搬車
KR101766683B1 (ko) * 2017-06-13 2017-08-09 (주)테라리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49B1 (ko) * 2018-11-08 2019-02-11 (주)골드팡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5479B (zh) 牙植入物和基牙之间的连接装置
KR101696158B1 (ko)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KR101873705B1 (ko)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CN218303737U (zh) 饰品
JPH0560305U (ja) 時計ケースのバンド固定構造
JP4559379B2 (ja) ストラップ末端処理具及び処理方法
KR200484983Y1 (ko) 세라믹 시계줄
JP2007222304A (ja) ゴルフクラブ
KR200295868Y1 (ko) 장신구의 보석 고정구조
JP3822490B2 (ja) 引出しの接続用具
JP3692676B2 (ja) 部材の締結構造
JPS5920094Y2 (ja) 時計バンドの先「かん」
JP2002336028A (ja) バッグの接続金具
KR102080723B1 (ko)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JP2518870Y2 (ja) 連結具
KR200193541Y1 (ko) 귀걸이
JPH08182518A (ja) 指輪兼ブローチ
JP3936891B2 (ja) ブローチピン
KR20210039563A (ko) 다층 구조 장신구의 결합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장신구
JPS5913860Y2 (ja) ピンブロ−チ
JPH07289325A (ja) 装身具
JPH0145090Y2 (ko)
JPH0415051Y2 (ko)
JP3045959U (ja) 環状の継手を持つ管体の接続構造
KR0129098Y1 (ko) 난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