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098Y1 - 난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난간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9098Y1 KR0129098Y1 KR2019950024494U KR19950024494U KR0129098Y1 KR 0129098 Y1 KR0129098 Y1 KR 0129098Y1 KR 2019950024494 U KR2019950024494 U KR 2019950024494U KR 19950024494 U KR19950024494 U KR 19950024494U KR 0129098 Y1 KR0129098 Y1 KR 01290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ecorative
- connector
- transverse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난간연결구조에 관한분야.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에는 지주관 상단에 횡관을 대고 용접하거나 또는 장식볼 외주면에 횡관및 연결구를 용접한 구성이기에 외관이 단정치 못하고, 견고하지 못하였으며, 원가 또한 많이드는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고안은 장식구(2)를 반구형 장식캡(3)과 횡관연결관체(4)로 분리구성한후 이를 결합고정시켜 형성하고, 횡관연결관체(4) 외주연에는 내향만곡부(8)를 형성하여 이곳에 수평 횡관연결부(11)및 경사 횡관연결구(12)등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조립과 더불어 장식효과가 뛰어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난간연결시 사용되는 구조임.
Description
제1도는 본고안의 연결용 장식구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난간을 수평으로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한 수평연결구의 사시도.
제3도는 난간을 경사지게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한 경사연결구의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관 2 : 장식구
3 : 장식캡 4 : 횡관연결관체
5 : 장식돌부 6 : 돌출테두리
7 : 삽입부 8 : 횡관연결용 내향만곡부
9 : 돌출테두리부 10 : 삽입관
11 : 수평횡관 연결구 12 : 경사횡관 연결구
13,13' : 원호상의 밀착요부 14,14' : 용접공
15 : 횡관 16,16' : 횡관삽입부
본고안은 난간 연결구조에 관한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난간조립시 매우 편리하면서 외관이 매우 편리하면서 외관이 매우 미려단정해지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종래에는 지주관의 상단에 장식용볼을 용접고정시킨 연결구를 조립고정하고, 지주관 상단측면에 횡관을 바로 맞대어 용접시키거나 또는 횡관선단에 연결구를 조립후 연결구 선단이 지주관 상단측면에 용접고정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는 지주관 상단에 장식볼이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이기에 볼자체에 대한 장식효과가 뛰어난 반면 난간시공시 매우 어렵고 견고하지 못하면서도 번거로운 폐단이 따랐으며, 간혹 용접부위가 외부로 나타남으로써, 외관을 해치는 경우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페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욘신안공고 제 94-439 호도 있었던바, 이는 횡관의 끝단부에 삽입고정되는 연결구를 볼의 외주면에 대고 용접시켜서 난간을 구성한 것으로써, 난간의 지주와 횡관의 연결고정을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는반면에 장식용볼에 직접 연결구를 용접고정 시켜야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장식용볼이 제기능및 효과를 발휘하기 못하여, 단순히 연결구의 작용밖에 할 수 없게되어 장식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폐단이 따랐던 것이며, 특히 구형의 볼제작시 반구 두개를 맞대어 용접한 후 연마하였기 때문에 제조시 매우 번거롭고, 호환성이 크게 떨어짐은 물론 이로인한 원가가 매우 높아지는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코져 안출된 것으로, 특히 장식구자체의 원가를 저렴하게 하여 저렴하게 제조보급토록 하고, 이와더불어 횡관의 연결고정을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면서 장식구가 횡관의 연결고정과 동시에 장식효과가 매우 뛰어나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항 첨부된 도면에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간연결구조에 있어서,
통상의 지주관(1) 상단에 삽입고정되도록 장식구(2)를 형성하되, 상기 장식구(2)는 반구형(또는 돔형) 장식캡(3)과 횡관연결관체(4)로 분리구성하여, 장식캡(3)은 상단중앙부에형 또는형 등등의 장식돌부(5)와 하단주연부에는 돌출테두리(6)를 형성하고, 횡관연결관체(4)는 상단부로부터 삽입부(7), 횡관연결용 내향만곡부(8), 돌출테두리부(9)및 삽입관(10)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횡관 연결관체(4)의 상단 삽입부(7)를 장식캡(3)의 돌출테두리(6)에 끼운다음, 돌출테두리(6) 끝단을 내향 절곡시킴으로서 장식구(2)가 구성되게 하였다.
또, 전술한 횡관연결관체(4)의 내향만곡부(8)에는 수평횡관 연결구(11)와 경사 횡관연결구(12)등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수평횡관 연결구(11)는 선단에 내향만곡부(8)의 곡면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호상의 밀착요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요부(13) 중앙에는 용접공(14)을 형성하며, 후미에는 횡관(15)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횡관삽입부(16)를 형성하였고, 경사 횡관연결구(12)는 연결고정시 일정한 경사각을 이룰 수 있도록 밀착요부(13')를 형성한것 이외에는 용접공(14')을 비록하여 횡관 삽입부(16')가 모두 수평횡관 연결부와 동일한 구성이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및 효과를 설명한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같이 본고안의 장식구(2)는 장식캡(3)과 횡관연결관체(4)로 구성되어이들을 조립고정시켰을때 하나의 장식구(2)로 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식용볼이 반구를 맞대어 용접시킨후 연마하여 제조하는데 반하여 본고안의 장식구(2)는 용접부위가 전혀없어 용접이나 연마에 따른 공정이 전혀 불필요하고, 이에따라 장식구의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이어서 원가절감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위와같은 본고안의 장식구(2)를 이용하여 지주관(1) 상단에 조립시킬 때는 장식구(2)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관(10)을 지주관(1)에 끼우고, 수평으로 횡관(15)을 연결조립할때는 횡관(15) 선단에 끼워지는 수평 횡관연결구(11)를 장식구(2)의 내향만곡부(8)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공(14')을 통하여 용접고정시킨뒤, 횡관(15)을 조립하고 계단과 같이 횡관(15)을 경사지게 설치할때는 장식구(2)의 내향만곡부(8)에 경사 횡관연결구(1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공(14')을 통하여 용접고정시킨뒤, 횡관(15)을 삽입고정시키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횡관(15)이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고정되면서, 장식구(2)의 상단에 형성된 장식캡(3) 표출되게 되어 매우 미려하려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같이 장식구(2)의 내향만곡부(8)에 수평 횡관연결구(11)및 경사 횡관연결구(12)를 조립고정시키면, 접속면이 넓어 매우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되고, 외관도 매우 단정해지는 잇점이 있으며, 장식구(2)가 수평 또는 경사 횡관연결구(11)(12)를 감싸는 상태로되어 종래의 볼 연결구조에 비하여 매우 뛰어난 내구성을 갖게되어 신뢰성도 크게 높일 수 있게 되는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장식구(2)를 장식캡(3)과 횡관 연결관체(4)로 분리구성하되, 용접부위가 전혀없이 매우 견고하게 조립시키므로서 종래 장식용볼에 비하여 원가가 크게 절감되며, 또 횡관 연결관체(4)의 내향만곡부(8)에는 수평 횡관연결구(11)와 경사 횡관연결구(12)을 감싸는 구성이므로 용접후 매우 견고하고 접시에도 안정성이 뛰어나며 난간시공시 외관이 매우 미려 단정한 등의 효과가 뛰어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 난간연결구조에 있어서, 통상의 지주관(1) 상단에 삽입고정되도록 장식구(2)를 형성하되, 상기 장식구(2)는 반구형 (또는 돔형) 장식캡(3)과 횡관 연결관체(4)로 분리 구성하여 장식캡(3)은 상단중앙부에형 또는형 등등의 장식돌부(5)와 하단주연부에는 돌출테두리(6)를 형성하고, 횡관 연결관체(4)는 상단부로부터 삽입부(7), 횡관연결용 내향만곡부(8), 돌출테두리(9)및 삽입관(10)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횡관연결관체(4)의 상단 삽입부(7)를 장식캡(3)의 돌출테두리(6)에 끼운다음, 돌출테두리(6) 끝단을 내향절곡시킴으로서 장식구(2)가 구성되게 하며, 상기 내향만곡부(8)에는 수평횡관 연결구(11)와 경사 횡관연결구(12)등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횡관연결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수평 횡관연결구(11)는 선단에 원호상의 밀착요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요부(13) 중앙에는 용접공(14)을 형성하며, 후미에는 횡관(15)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횡관삽입부(16)를 형성하고, 경사 횡관연결구(12)는 연결고정시 일정한 경사각을 이룰수 있도록 밀착요부(13')를 형성한것 이외에는 용접공(14')을 비롯하여 횡관삽입부(16')가 모두 수평 횡관연결부와 동일한 구성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난간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4494U KR0129098Y1 (ko) | 1995-09-07 | 1995-09-07 | 난간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4494U KR0129098Y1 (ko) | 1995-09-07 | 1995-09-07 | 난간 연결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3903U KR970013903U (ko) | 1997-04-28 |
KR0129098Y1 true KR0129098Y1 (ko) | 1998-12-15 |
Family
ID=1942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24494U KR0129098Y1 (ko) | 1995-09-07 | 1995-09-07 | 난간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9098Y1 (ko) |
-
1995
- 1995-09-07 KR KR2019950024494U patent/KR01290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3903U (ko) | 1997-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39819A (en) | Light bulb holders for a decorative light string net | |
US20060102218A1 (en) | Connection member of movable type camp having good detachability | |
KR0129098Y1 (ko) | 난간 연결구조 | |
CN209436385U (zh) | 一种牢固型组合纽扣 | |
CN208750565U (zh) | 一种灯臂安装结构及吊灯 | |
US20030013339A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a pipe-type lamp | |
CN218635489U (zh) | 一种多功能发夹 | |
CN215857186U (zh) | 一种装配式墙面踢脚线 | |
JP3056734U (ja) | 組立式棚 | |
CN219629421U (zh) | 一种空气炸锅 | |
KR0132369Y1 (ko) | 난간용지주의 조립식 소켓연결구 | |
CN212117741U (zh) | 一种装饰镜的安装结构 | |
JP2916032B2 (ja) | 飾り付軒樋の接続構造 | |
CN214579461U (zh) | 一种管道安装组合便捷接头 | |
CN217022640U (zh) | 方向盘轮圈装饰环及方向盘 | |
KR200244426Y1 (ko) | 난간지주 고정캡 | |
JPH0333865Y2 (ko) | ||
JP3070750U (ja) | 手すり部材接続具 | |
CN111535548A (zh) | 一种可快速装配的组合式金属饰面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 |
KR200303015Y1 (ko) | 난간용 지주의 연결장치 | |
JPS6121768Y2 (ko) | ||
JPH08199741A (ja) | 縦葺用屋根板の留付構造および吊り子 | |
KR200293673Y1 (ko) | 조립식 책상의 측판과 뒷판의 연결구조 | |
KR930003078Y1 (ko) | 계단난간 파이프 연결 소켓관 | |
JP3399335B2 (ja) | 飾り付軒樋の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