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723B1 -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723B1
KR102080723B1 KR1020180016102A KR20180016102A KR102080723B1 KR 102080723 B1 KR102080723 B1 KR 102080723B1 KR 1020180016102 A KR1020180016102 A KR 1020180016102A KR 20180016102 A KR20180016102 A KR 20180016102A KR 102080723 B1 KR102080723 B1 KR 10208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ixing
hole
butonier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539A (ko
Inventor
김채연
Original Assignee
김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연 filed Critical 김채연
Priority to KR102018001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7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액세서리의 한 종류인 부토니에용 장식품을 다른 다양한 액세서리들의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에 관한 것으로, 부토니에용 핀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되, 다른 액세서리가 설치될 수 있는 결속부 및 상기 고정부를 액세서리용 장식품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multipurpose connector for accessory}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액세서리의 한 종류인 부토니에용 장식품을 다른 다양한 액세서리들의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부토니에(Boutonniere)는 의류에 채용하는 액세서리 들을 통칭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일반적으로는 부토니에용 장식품에 핀을 고정한 제품(boutonnier.com)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58792호(2015.10.01.자 등록, “조립식 부토니에 및 그 제조방법”)에 기재된 부토니에는 장식용 오브제(부토니에용 장식품), 장식용 오브제의 후면에 고정되는 핀, 장식용 오브제를 관통하여 장착되되, 장식용 오브제의 후면으로 단추고리가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단추 및, 단추와 핀을 착탈 방식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오브제는 통상적으로 디자인적 요소가 가장 많이 적용되는 부토니에용(액세서리용) 장식품이다.
상기에서 개시된 종래의 부토니에는 단추를 오브제에 관통하여 설치하고, 오브제를 관통한 단추의 한쪽으로 고정부재를 설치한 후, 핀을 의류에 관통시켜 고정부재에 삽입하여 설치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된 부토니에는 핀에 의해서 오브제가 의류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은 핀을 액세서리용 장식품(종래기술의 오브제)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부재가 액세서리용 장식품을 관통하여야 하는바, 부토니에용(액세서리용) 장식품을 디자인 할 시에 그 고정부재의 형상을 고려하여야 하는 디자인적 제한 요소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은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부토니에용(액세서리용) 장식품에 고정부재가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부토니에로써만 사용 가능한 사용상의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은 핀을 고정부재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힘에 의해서 고정부재와 핀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부토니에용 장식품의 디자인적 제한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부토니에용 장식품을 다른 액세서리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부토니에용 장식품의 사용상의 한계 극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부토니에용(액세서리용) 장식품에 핀을 끼우는 방식을 유지하되, 부토니에용(액세서리용) 장식품과 핀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가 개시(disclosure)된다.
부토니에용 핀(10)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에 마련되되, 다른 액세서리(2)가 설치될 수 있는 결속부(200) 및 상기 고정부(100)를 액세서리용 장식품(1)에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이 통과하는 제1 고정 구멍(110) 및 상기 제1 고정 구멍(110)를 통과한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의 끝이 삽입되는 제2 고정 구멍(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이 상기 제1 고정 구멍(110)을 관통하고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10) 또는 다른 액세서리(2)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210)은 상기 고정부(100)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되어 부토니에용 핀(10)이 상기 관통 구멍(210)을 통과하여 고정부(100)에 삽입될 때에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용 장식품(1)의 한쪽에 마련된 결합 홈(310)과 상기 고정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 홈(310)과 대응하는 결합 구멍(320) 및 상기 결합 구멍(320)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 홈(310)에 설치되는 볼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320)은 상기 부토니에용 핀(10)과 인접하되, 상기 부토니에용 핀(1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볼트(330)의 머리(331)가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을 상기 액세서리용 장식품(1)으로 가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320)은 상기 부토니에용 핀(10)과 인접하되, 부토니에용 핀(10)과 겹치지 않고, 상기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 사이에 마련되어, 볼트(330)의 머리(331)가 부토니에용 핀(10)을 액세서리용 장식품(1)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을 제2 고정 구멍(120)으로 안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는 부토니에용 핀이 삽입되는 것 만으로 고정부가 부토니에용 핀을 압박함으로써 부토니에용 핀을 간편하게 탈착 및 부착할 수 있고, 부토니에용 핀을 해제한 후 결속부를 통해서 다른 액세서리에 연결할 수 있는바,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부토니에용 장식품을 다른 액세서리에 활용할 수 있는 사용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는 결합부의 볼트가 부토니에용 장식품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부와 부토니에용 장식품이 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부토니에용 장식품의 디자인적 제한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는 결속부 또는 결합부를 통해서 부토니에용 핀을 휘어진 상태가 되도록 변형함으로써, 그 부토니에용 핀이 휘어지는 힘만큼 고정부 또는 결합부를 압박하고, 휘어진 부토니에용 핀의 반발력으로 부토니에용 핀이 고정부 또는 결합부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를 통해서 다른 액세서리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액세서리용 장식품(1)을 부토니에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한정한 것일 뿐 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체결구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한 본 명세서의 부토니에용 다용도 체결구는 고정부(100)와 결속부(200)를 포함한다.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제1 고정 구멍(110) 및 제2 고정 구멍(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이 상기 제1 고정 구멍(110)을 관통하고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10) 또는 다른 액세서리(2)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210)은 상기 고정부(100)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결합 홈(310)과 결합 구멍(320) 및 볼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320)은 볼트(330)의 머리(331)가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을 상기 액세서리용 장식품(1)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320)은 볼트(330)의 머리(331)가 부토니에용 핀(10)을 액세서리용 장식품(1)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을 제2 고정 구멍(120)으로 안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액세서리용 다용도 체결구는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크게 고정부(100) 및 결속부(2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부토니에용 핀(10)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결속부(200)는 선택적으로 다른 액세서리(2)와 연결 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100)는 부토니에용 핀(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고정부(100)는 부토니에용 핀(10)이 삽입될 때에 그 부토니에용 핀(10)이 압박하여 부토니에용 핀(10)이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부(100)는 실리콘 또는 압축스티로폼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00)는 단면의 모양이 'V'자 모양이 되도록 하여 부토니에용 핀(10)이 횡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고정부(100)는 도1 내지 도 4에서처럼 사각형 모양의 몸체의 상부로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이 통과하는 제1 고정 구멍(110) 및 상기 제1 고정 구멍(110)를 통과한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의 끝이 삽입되는 제2 고정 구멍(1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 구멍(120)은 상기 일례에서 설명된 실리콘 등의 소재로 마련된 것으로 부토니에용 핀(10)을 한번 삽입되는 것으로 구멍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00)는 부토니에용 핀(10)의 분리 및 고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 구멍(110)과 제2 고정 구멍(12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딱딱한 소재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이때의 제2 고정 구멍(120)은 부토니에용 핀(10)의 지름보다 점점 작아지도록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구멍(110)도 상기 제2 고정 구멍(120)과 동일하게 마련하여 부토니에용 핀(10)의 중간 부분이 제1 고정 구멍(110)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제2 고정 구멍(120)은 한쪽이 밀폐된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도 2 또는 도 4에서처럼 상기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부토니에용 핀(10)이 상기 제1 고정 구멍(110)을 관통하고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고정 구멍(110)은 액세서리용 장식품(1)과 평행하도록 마련되고, 제2 고정 구멍(120)은 액세서리용 장식품(1)과 평행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부토니에용 핀(10)이 제1 고정 구멍(110)을 통과한 후에 제2 고정 구멍(12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부토니에용 핀(10)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휘어져야만 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100)는 부토니에용 핀(10)이 휘어지는 것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서 부토니에용 핀(10)과 제2 고정 구멍(120)간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부토니에용 핀(10)이 고정부(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부(100)에 의해서 부토니에용 핀(10)과 액세서리용 장식품(1)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착용자의 움직임 또는 또 다른 외부의 힘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제2 고정 구멍(120)은 통상의 나사골(미 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부토니에용 핀(10)에 상기 나사골과 대응하는 나사산(미 도시)을 마련하여 고정부(100)와 부토니에용 핀(10)이 나사결합 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속부(200)는 고정부(100)에 마련되어 다른 액세서리(2)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에 따른 결속부(2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처럼 통상의 고리형태로 마련된다. 결속부(200)의 위치는 부토니에용 핀(10)이 고정부(100)에 삽입될 때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 마련된다. 결속부(200)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10) 또는 다른 액세서리(2)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2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200)는 도 3에서처럼 부토니에용 핀(10)을 고정부(100)로부터 분리한 후, 관통 구멍(210)으로 통상의 목걸이 줄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즉,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액세서리용 장식품(1)이 결속부(200)를 통해서 목걸이, 팔찌 및 귀걸이 등등의 다른 액세서리들의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결속부(200)는 통상의 클램프 또는 통상의 클립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결속부(200)는 제2 고정 구멍(120)에서 제1 고정 구멍(11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 구멍(210)은 상기 고정부(100)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100)의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제1 고정 구멍(110)이 좌에서 우측으로 마련되면 결속부(200)는 고정부(100)의 몸체 우측에 마련되되, 관통 구멍(210)의 구멍 방향은 몸체의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결속부(200)는 부토니에용 핀(10)이 결속부(200)에 삽입된 후, 그 부토니에용 핀(10)에 외부의 힘을 가하여 제1 고정 구멍(110)으로 휘어지게 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토니에용 핀(10)이 휘어진 상태에서 제1 고정 구멍(110)으로 삽입되면 그 부토니에용 핀(10)의 탄성에 의해서 부토니에용 핀(10)이 제1 고정 구멍(11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고정부(100)에 의해서 부토니에용 핀(10)과 액세서리용 장식품(1)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착용자의 움직임 또는 또 다른 외부의 힘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결속부(200)는 둘 이상으로 서로 대칭하게 마련되어 더욱 다양한 다른 액세서리들에 사용할 수도 있다.
결합부(300)는 상기 고정부(100)를 액세서리용 장식품(1)에서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례에 따른 결합부(300)는 도 2에서처럼 액세서리용 장식품(1)의 한쪽에 마련된 결합 홈(310)을 포함한다. 결합부(300)는 결합 홈(310)과 대응하여 고정부(100)의 몸체를 관통하는 결합 구멍(320)을 포함한다. 결합부(300)는 결합 구멍(320)을 관통하여 결합 홈(310)에 설치되는 볼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볼트(330)가 액세서리용 장식품(1)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부(100)와 액세서리용 장식품(1)이 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액세서리용 장식품(1)의 디자인적 제한요소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볼트(330)는 도 6에서처럼 부토니에용 핀(10)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볼트(330)에 의해서 부토니에용 핀(10)의 상부가 가압되는 방식일 때에는 도 6과 달리 제1 고정 구멍(110)과 제2 고정 구멍(120)이 고정부(100)의 몸체에 접하도록 하여 부토니에용 핀(10)이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부(100)에 강ㅂ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결합부(300)는 도 5에서처럼 부토니에용 핀(10)을 휘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합부(300)의 결합 구멍(320)은 고정부(100)에 설치된 부토니에용 핀(10)과 인접하되, 상기 부토니에용 핀(1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볼트(330)의 머리(331) 하부가 부토니에용 핀(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볼트(330)의 조임에 의해서 부토니에용 핀(10)을 고정부(100) 또는 액세서리용 장식품(1)을 향하여 가압하여 휘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볼트(330)가 설치된 상태에서 부토니에용 핀(10)이 고정부(100)에 설치되도록 한 후, 볼트(330)를 풀어서 고정부(100)에서 돌출되도록 하여 부토니에용 핀(10)의 중간 부분을 고정부(100)의 상부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부토니에용 핀(10)의 반발력에 의해서 볼트(330)의 흔들림 또는 사용상의 풀림을 억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300)는 제1 고정 구멍(110)과 제2 고정 구멍(1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1 고정 구멍(110)과 제2 고정 구멍(120) 사이의 공간으로 부토니에용 핀(10)이 돌출되지 않도록 부토니에용 핀(10)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결합부(300)는 상기에서 설명된 고정부가(100)의 제1 고정 구멍(110)과 상기 제2 고정 구멍(120)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마련될 경우, 제1 고정 구멍(110)으로 삽입되어 관통한 부토니에용 핀(10)을 결합부(300)의 볼트(330) 머리(331)가 가이드하여 제2 고정 구멍(12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 : 부토니에용(액세서리용) 장식품
2 : 액세서리
10 : 액세서리용 핀
100 : 고정부
110 : 제1 고정 구멍
120 : 제2 고정 구멍
200 : 결속부
210 : 관통 구멍
300 : 결합부
310 : 결합 홈
320 : 결합 구멍
330 : 볼트
331 : 머리

Claims (8)

  1. 부토니에용 핀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되, 다른 액세서리가 설치될 수 있는 결속부; 및
    상기 고정부를 액세서리용 장식품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이 통과하는 제1 고정 구멍 및 상기 제1 고정 구멍를 통과한 상기 부토니에용 핀의 끝이 삽입되는 제2 고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구멍과 상기 제2 고정 구멍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제1 고정 구멍과 상기 제2 고정 구멍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부토니에용 핀이 상기 제1 고정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2 고정 구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휘어지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2. 삭제
  3. 삭제
  4. 부토니에용 핀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되, 다른 액세서리가 설치될 수 있는 결속부; 및
    상기 고정부를 액세서리용 장식품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 또는 다른 액세서리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고정부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되어 부토니에용 핀이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고정부에 삽입될 때에 휘어지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5. 부토니에용 핀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되, 다른 액세서리가 설치될 수 있는 결속부; 및
    상기 고정부를 액세서리용 장식품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이 통과하는 제1 고정 구멍 및 상기 제1 고정 구멍를 통과한 상기 부토니에용 핀의 끝이 삽입되는 제2 고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부토니에용 핀 또는 다른 액세서리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고정부와 다른 방향으로 마련되어 부토니에용 핀이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고정부에 삽입될 때에 휘어지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6. 부토니에용 핀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되, 다른 액세서리가 설치될 수 있는 결속부; 및
    상기 고정부를 액세서리용 장식품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액세서리용 장식품의 한쪽에 마련된 결합 홈;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 홈과 대응하는 결합 구멍; 및
    상기 결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 홈에 설치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부토니에용 핀과 인접하되, 상기 부토니에용 핀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볼트의 머리가 상기 부토니에용 핀을 상기 액세서리용 장식품으로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8. 삭제
KR1020180016102A 2018-02-09 2018-02-09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KR10208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02A KR102080723B1 (ko) 2018-02-09 2018-02-09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02A KR102080723B1 (ko) 2018-02-09 2018-02-09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39A KR20190096539A (ko) 2019-08-20
KR102080723B1 true KR102080723B1 (ko) 2020-02-24

Family

ID=6780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102A KR102080723B1 (ko) 2018-02-09 2018-02-09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7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92B1 (ko) * 2014-07-18 2015-10-08 이종채 조립식 부토니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176A (ko) * 2012-05-11 2013-11-20 한상택 다기능 펜던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92B1 (ko) * 2014-07-18 2015-10-08 이종채 조립식 부토니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39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27348U (en) Freight fastening buckle with positioning function
TW201444492A (zh) 具有內表面凹陷特徵的帽蓋結構及拉鍊頭組合結構
CN201518804U (zh) 一种用于纺织带两端连接的锁扣
KR102080723B1 (ko) 액세서리용 다용도 결속체
CN203676222U (zh) 紧固装置
US20100284761A1 (en) Press Type Fastener
JP3559794B2 (ja) 時計用連結構造および時計
JP2011072600A (ja) 装飾品用輪ゴム留め具
CN215685306U (zh) 侧开式带状首饰锁扣
KR20100005103U (ko) 귀걸이 조립체
CN110645241A (zh) 一种全隐藏式滑动锁紧家具板体连接件
CN206342047U (zh) 一种紧配对扣
CN214630373U (zh) 鞋带固定装置、鞋带及鞋子
JP3237279U (ja) 装身具用連結具
JP4344118B2 (ja) 装飾品の連結構造および装飾品
KR200413018Y1 (ko) 손목 시계용 밴드
CN218635465U (zh) 一种手镯
KR102358960B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101316641B1 (ko) 장신구 연결용 어셈블리
KR102158224B1 (ko)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KR200479275Y1 (ko) 파이프 퍼짐형 고정핀
JP3146754U (ja) 装身具の止め具
CN207940418U (zh) 一种拉链、拉头及拉片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