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83Y1 - 세라믹 시계줄 - Google Patents

세라믹 시계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83Y1
KR200484983Y1 KR2020150005923U KR20150005923U KR200484983Y1 KR 200484983 Y1 KR200484983 Y1 KR 200484983Y1 KR 2020150005923 U KR2020150005923 U KR 2020150005923U KR 20150005923 U KR20150005923 U KR 20150005923U KR 200484983 Y1 KR200484983 Y1 KR 200484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n
fastening
insertion groov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695U (ko
Inventor
고영곤
현민경
Original Assignee
에코시계 주식회사
현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시계 주식회사, 현민경 filed Critical 에코시계 주식회사
Priority to EP15190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30248A1/en
Priority to US14/926,931 priority patent/US20170042297A1/en
Publication of KR20170000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44C5/107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with links made of more than two elements including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양측면에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중앙연결편재; 상기 중앙연결편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외측으로 상기 삽입홈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체결홈이 형성된 외측연결편재;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핀; 및상기 체결홈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계줄 외측연결편재의 배면에 핀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아 미관상 심미성을 높일 수 있고, 시계줄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세라믹 시계줄{Ceramic Watch Chain}
본 고안은 세라믹 시계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계줄을 구성하는 외측연결편재의 배면에 핀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미관상 심미성을 높이고, 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세라믹 시계줄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0998505는 세라믹과 같은 특수 소재의 시계줄에 있어 체결핀의 강제삽입에 의해 핀 고정이 용이하고 체결력이 우수하며 영구적인 고정구조를 가지게 되는 세라믹 시계줄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에 한 쌍의 핀홈이 형성되고 배면에 해당 핀홈과 연통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외측연결편; 상기 외측연결편의 핀홈과 대응하도록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핀공이 형성되는 중앙연결편; 양단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마련되는 연결핀; 및 일단부에 단차진 걸림턱이 형성된 체결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연결편의 핀공을 통과한 상기 연결핀의 체결부가 상기 외측연결편의 핀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핀이 상기 외측연결편의 삽입홈을 통하여 상기 연결핀의 체결공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된 후 걸림턱에 의하여 상기 연결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최신 세라믹 시계줄의 유행 트렌드는 결합구조의 단순화, 즉, 시계줄 외관에 핀공이나 나사 등의 결합부재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재 등을 내부에 장착하여 미관상 심미감을 높이는 것이다.
이에 반해, 상기 배경기술인 등록특허 10-0998505는 외측연결편의 배면에 체결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손목에 시계를 착용시 시계줄을 볼 때 외측연결편의 배면에서 삽입홈이 보이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최신 유행 트렌드에도 뒤쳐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체결핀을 따로 제작하고, 삽입홈을 따로 형성하는 등 시계줄 제조과정에서도 그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시계줄의 연결편재 내부에 체결부재 등을 결합함으로써. 시계줄의 결합구조를 단순화 하고자 한다.
둘째, 시계줄 외측연결편의 배면에 핀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미관상 심미성을 높이고자 한다.
셋째, 상기 핀을 따로 제작하거나 상기 홈을 따로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시계줄의 제조비용을 낮추고자 한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양측면에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중앙연결편재; 중앙연결편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관통공에 대응하는 삽입홈과 삽입홈의 외측으로 삽입홈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체결홈이 형성된 외측연결편재;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핀; 및 체결홈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양측면에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중앙연결편재; 중앙연결편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관통공에 대응하는 연결공이 형성된 내측연결편재; 내측연결편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연결공에 대응하는 삽입홈과 삽입홈의 외측으로 삽입홈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체결홈이 형성된 외측연결편재; 관통공 및 연결공을 관통하여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핀; 및 체결홈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고정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부; 및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원뿔 형상의 경사부;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삽입홈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며, 몸체부의 높이는 삽입홈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체결핀은 양단에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통체이며, 체결핀의 양단 외주연은 경사부의 외측 경사방향으로 꺾어져 체결홈의 내측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몸체부의 외주연과 체결홈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에는 접착부재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외측연결편재 및 중앙연결편재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은, 체결핀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시계줄 외측연결편재의 배면에 핀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미관상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을 따로 제작하거나 상기 홈을 따로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시계줄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10)은 개략적으로 다수의 중앙연결편재(100)와 상기 중앙연결편재(100)의 상하 외측에 위치한 다수의 외측연결편재(300)가 유연하게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제1형태의 시계줄"에 대해 설명한다.
중앙연결편재(10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연결편재(100)의 상하 외측에는 양측면에 상기 관통공(110)에 대응하는 삽입홈(310)이 형성된 외측연결편재(300)가 위치하고, 체결핀(500)이 상기 중앙연결편재(100) 일측의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연결편재(300) 타측의 삽입홈(310)에 삽입된다.
즉, 상기 중앙연결편재(100)와 외측연결편재(300)는 벽돌의 적층구조와 같이 체결핀(500)에 의해 번갈아가며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하, "제2형태의 시계줄"에 대해 설명한다.
중앙연결편재(10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연결편재(100)의 상하 외측에는 양측면에 상기 관통공(110)에 대응하는 연결공(210)이 형성된 내측연결편재(200)가 위치하고, 상기 내측연결편재(200)의 상하 외측에는 양측면에 상기 연결공(210)에 대응하는 삽입홈(310)이 형성된 외측연결편재(300)가 위치한다.
그리고, 체결핀(500)이 상기 중앙연결편재(100) 일측의 관통공(110)을 통과하여 상기 내측연결편재(200) 타측의 연결공(210)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연결편재(300) 일측의 삽입홈(310)에 삽입된다.
즉, 상술한 "제1형태의 시계줄"의 벽돌의 적층구조와 같이, 중앙연결편재(100), 내측연결편재(200) 및 외측연결편재(300)는 체결핀(500)에 의해 번갈아가며 연결된다.
상기 중앙연결편재(100), 내측연결편재(200) 및 외측연결편재(300)는 세라믹(Ceramic) 소재, 특히, 지르코니아 세라믹(Zirconia Ceramic)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르코니아 세라믹은 다이아몬드 다음의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광택감이 우수하고, 스크래치가 나지 않아, 예물시계와 같은 고급 시계줄의 소재로 쓰인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핀(500)은 양단에 다수의 절개홈(52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통체이다. 즉, 내부가 비어 있는 가느다란 파이프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체결핀(500)은 "제1형태의 시계줄"의 경우 중앙연결편재(100)의 관통공(110) 및 외측연결편재(300)의 삽입홈(310)을 관통하고(도 2 참조), "제2형태의 시계줄"의 경우 중앙연결편재(100)의 관통공(110), 내측연결편재(200)의 연결공(210) 및 외측연결편재(300)의 삽입홈(310)을 관통함으로써(도 4 참조), 상기 연결편재들을 유연하게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500)의 양단에는 다수의 절개홈(5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시계줄(10) 제조과정에서 체결핀(500)의 양단 외주연이 절개홈(520)을 따라 절개되어 외측방향으로 꺾이면서 체결홈(330)의 내측에 걸리게 되는데, 위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측연결편재(300)에는 중앙연결편재(100)의 관통공(110) 또는 내측연결편재(200)의 연결공(210)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는 한쌍의 삽입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10)의 외측으로는 상기 삽입홈(310)보다 약간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체결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330)의 저면에는 고정부재(400)가 결합된다.
고정부재(400)는 몸체부(41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410)의 상부에는 원뿔 형상의 경사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410)는 삽입홈(310)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며, 몸체부(410)의 높이는 상기 체결핀(500)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삽입홈(310)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500)의 양단 외주연이 외측방향으로 꺾어져서 상기 몸체부(410) 상부에 형성된 경사부(430)와 체결홈(330)의 내측 사이에 상기 체결핀(500)의 양단이 끼워지기 위함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10)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외측연결편재(300)의 체결홈(330)의 저면 및 내주연에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600)를 도포한다. 접착부재(600)는 저면에는 얇게 도포하고 내주연에는 약간 더 두껍게 도포한다.
그리고, 체결홈(330)의 저면에 고정부재(400)를 부착한다. 고정부재(400) 몸체부(410)의 지름은 삽입홈(310)의 지름과 대응되므로, 고정부재(400)를 삽입홈(310)에 밀어 넣고 상기 체결홈(330)의 저면에 고정부재(400)를 부착하면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500)의 하단을 상기 삽입홈(310)에 삽입하여, 고정부재(400)의 경사부(430)에 밀착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500)의 상단을 고무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체결핀(500)의 하단 외주연이 절개홈(520)을 따라 절개되어 벌어지면서 원뿔형상의 경사부(430) 외측 방향으로 꺾이도록 한다. 위와 같이, 체결핀(500)의 양단에 다수의 절개홈(520)을 형성한 이유는 고무망치 등으로 타격시 가느다란 체결핀(500) 몸체가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절개홈(520)을 형성하여 체결핀(500) 양단이 외측으로 쉽게 꺾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체결핀(500)의 상단을 타격할 때는 상기 체결핀(500)의 상단에도 절개홈(5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핀(500)의 상단이 절개되지 않도록 상기 상단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를 덮고 고무망치 등으로 타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체결핀(500)의 하단이 체결홈(330)의 내측에 걸리고, 상기 하단 일면이 접착부재(600)와 부착되면서 결국, 체결핀(500)의 하단이 체결홈(330), 즉, 외측연결부재(300)와 고정결합된다.
위와 같이, 외측연결편재(300)의 한쌍의 체결홈(330) 중 하나에 체결핀(500)의 하단을 결합하고, 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체결홈(330)에 체결핀(500)의 하단을 같은 방식으로 결합하면 된다.
체결핀(500)은 부식되지 않으며, 체결핀(500)의 양단이 외측으로 꺾일 수 있도록 일정한 연성 및 강성을 지녀야 하므로,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과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형태의 시계줄"의 경우 중앙연결편재(100)의 관통공(110)에 체결핀(500)을 관통시킨다. 위 상태의 경우, 체결핀(500)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1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2형태의 시계줄"의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위와 같은 상태의 경우, 체결핀(500)의 상단은 연결공(2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상측에 결합될 외측연결편재(300)의 체결홈(330)의 저면 및 외주연에 접착부재(600)를 도포하고 고정부재(400)를 상기 체결홈(330)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외측연결편재(300)의 삽입홈(310)에 체결핀(500)의 상단을 삽입한 후, 고무망치 등으로 외측연결편재(300)의 상부를 타격하면, 체결핀(500)의 상단 외주연이 절개홈(520)을 따라 절개되어 벌어지면서 고정부재(400)의 경사부(430) 외측 방향으로 꺾여 체결핀(500)의 상단이 체결홈(330)의 내측에 걸리고, 상기 체결핀(500)의 상단 일면이 접착부재(600)와 부착되면서 상기 외측연결편재(300)와 체결핀(500)이 고정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중앙연결편재(100)의 관통공(110)(제1형태) 또는 내측연결편재(200)의 연결공(210)(제2형태)에 체결핀(500)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핀(500)의 상단에 외측연결편재(300)를 결합시키면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체결핀(500)을 외측연결편재(300)에 결합시키는 또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체결핀(500)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외측연결편재(300)의 양측면에 체결핀(500)의 외주연 두께에 대응하는 수직홈(335)과 상기 수직홈(335)으로부터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홈(340)을 형성한다.
결합방식은, 체결핀(500)의 하단을 수직홈(335)에 삽입하고, 체결핀(500)의 상단을 고무망치 등으로 타격하면, 체결핀(500)의 하단이 절개홈(520)을 따라 절개되면서 경사홈(340)의 경사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꺾이게 된다. 이로써, 체결핀(500)이 경사홈(340), 즉, 외측연결편재(300)에 고정결합된다.
위와 같이, 외측연결편재(300)의 한쌍의 경사홈(340) 중 하나에 체결핀(500)의 하단을 결합하고, 그 후, 다른 하나의 경사홈(340)에 체결핀(500)의 하단을 같은 방식으로 결합하면 된다.
이후, 도 1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연결편재(100)를 체결핀(500)에 삽입하고, 체결핀(500)의 상단에 외측연결편재(300)를 같은 방식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세라믹 시계줄을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세라믹 시계줄(10)의 경우, 외측연결편(60)의 배면에 핀(40)이 삽입되는 홈(30)이 따로 형성되어 있어서, 손목에 시계를 착용시 시계줄(10)을 볼 때 마다 상기 외측연결편(60)의 배면에서 홈(30)이 보이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도 2의 섹션 A, 도 3의 섹션 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10)은 체결핀(500)의 양단을 외측으로 꺾어서 외측연결편재(300)의 체결홈(33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도 1의 일반적인 세라믹 시계줄(10)과 같이 배면에 홈(30)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미관상 심미성이 높으며, 최신 유행 트렌드에 부합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10)은 도 2 및 도 3의 섹션 A 부분과 같이 시계 본체(20)쪽에 연결된 시계줄에만 적용될 수 있고, 도 2 및 도 3의 섹션 B 부분과 같이 시계줄 체결구(미도시)부분에는 적용될 수 없다.
이는 시계를 착용하는 사용자마다 손목의 둘레가 다르므로, 섹션 B 부분의 중앙연결편재(100) 및 외측연결편재(300) 일부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10)은 체결핀(500)이 외측연결편재(300)에 고정결합되는 구조여서 연결편재들(100, 300)을 분리할 수 없으므로, 섹션 B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시계줄 연결편재들(50, 60)과 같이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밖에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 시계줄을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세라믹 시계줄 20 : 시계 본체
100 : 중앙연결편재 110 : 관통공
200 : 내측연결편재 210 : 연결공
300 : 외측연결편재 310 : 삽입홈
330 : 체결홈 335 : 수직홈
340 : 경사홈 400 : 고정부재
410 : 몸체부 430 : 경사부
500 : 체결핀 520 : 절개홈
600 : 접착부재

Claims (7)

  1. 양측면에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중앙연결편재;
    상기 중앙연결편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외측으로 상기 삽입홈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체결홈이 형성된 외측연결편재;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핀; 및
    상기 체결홈의 저면에 결합되고, 원통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원뿔 형상의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삽입홈보다 낮게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핀은 양단에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통체이며, 상기 체결핀의 양단 외주연은 상기 경사부의 외측 경사방향으로 꺾어져 상기 체결홈의 내측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시계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과 상기 체결홈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에는 접착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시계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결편재 및 상기 중앙연결편재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시계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시계줄.
KR2020150005923U 2015-08-13 2015-09-04 세라믹 시계줄 KR200484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0701.1A EP3130248A1 (en) 2015-08-13 2015-10-21 Ceramic watch chain
US14/926,931 US20170042297A1 (en) 2015-08-13 2015-10-29 Ceramic Watch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5400 2015-08-13
KR2020150005400 2015-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95U KR20170000695U (ko) 2017-02-22
KR200484983Y1 true KR200484983Y1 (ko) 2017-11-16

Family

ID=5826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923U KR200484983Y1 (ko) 2015-08-13 2015-09-04 세라믹 시계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8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60Y1 (ko) * 2005-06-27 2005-09-08 현민경 시계줄
JP2012165878A (ja) 2011-02-15 2012-09-06 Nihon Seimitsu Co Ltd バン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403A (ja) * 1998-03-17 1999-09-28 Citizen Watch Co Ltd ピンと駒の結合構造及び結合方法並びに時計バンド
WO2000016654A1 (fr) * 1998-09-17 2000-03-30 Citizen Watch Co., Ltd. Structure de fixation pour blocs, dispositif de raccordement, structures de cheville et bloc de raccordement dans un ornement en forme de ban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60Y1 (ko) * 2005-06-27 2005-09-08 현민경 시계줄
JP2007000601A (ja) 2005-06-27 2007-01-11 Ecco Watch Co Ltd 腕時計のバンド
JP2012165878A (ja) 2011-02-15 2012-09-06 Nihon Seimitsu Co Ltd バ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95U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152B2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US20140075990A1 (en) Shape Memory Alloy Mounting Collet With Grooved Gemstone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0170042297A1 (en) Ceramic Watch Chain
KR200484983Y1 (ko) 세라믹 시계줄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US11022944B2 (en) Fixing device for a bracelet
KR100248162B1 (ko)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KR101760646B1 (ko) 제조원가 절감과 보조 장식구의 고정 결합성이 개선된 귀걸이
KR101873705B1 (ko)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KR200430563Y1 (ko) 휴대기기 또는 펜단트를 부착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장착된목걸이줄
CN210809572U (zh) 宝石镶口结构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JP2016202616A (ja) クラスプ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295868Y1 (ko) 장신구의 보석 고정구조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0429707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고정구
KR100655835B1 (ko) 스프링 링 체결구
KR200304342Y1 (ko) 건강 장신구의 결속구조
KR0182392B1 (ko) 자석 및 세라믹을 부설한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KR200225759Y1 (ko) 목걸이의 체결고리 연결구조
KR200210886Y1 (ko) 액세서리
KR100700202B1 (ko) 클립형 체결장치
KR200486446Y1 (ko) 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