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162B1 -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 Google Patents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162B1
KR100248162B1 KR1019920019979A KR920019979A KR100248162B1 KR 100248162 B1 KR100248162 B1 KR 100248162B1 KR 1019920019979 A KR1019920019979 A KR 1019920019979A KR 920019979 A KR920019979 A KR 920019979A KR 100248162 B1 KR100248162 B1 KR 10024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watch case
watch
case
b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654A (ko
Inventor
라포 잰-루이스
기간데트 배마드
에라이 죠셉
캇틴 로돌프
Original Assignee
월터 본 카넬
꼼빠니데스몬트래스론진 프란시론쏘시에떼아노님
이브스 모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터 본 카넬, 꼼빠니데스몬트래스론진 프란시론쏘시에떼아노님, 이브스 모렐 filed Critical 월터 본 카넬
Publication of KR93001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8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 G04B37/11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the back cover of pocket or wrist wa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Adornm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뒷덮개(6)와 브레이스릿을 고정하는 두개의 부착부(8, 9)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부착부(8, 9)는 배이스(30)와, 뒷덮개(6)에 배이스(30)를 연결하는 브리지(36)과, 배이스(30)의 두개의 단부중 하나에 각기 위치하는 돌기(34b,34a)를 포함하고, 이 후자는 시계 케이스의 평면(38)에 따라 분리각도(α)가 형성되는 평면(40,41)에 위치하고 각각의 돌기는 부착되는 배이스의 평면(40,41)의 수직인 방향축(44,45)에 위치하도록된 시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케이스의 평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II-II와 III-III을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케이스의 브레이스릿을 고정하는 부착부와 뒷덮개를 형성하는 피스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시계 케이스의 6시-12시의 축방향에 따른 측면에서 본 시계 케이스의 부품분해 배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계 케이스 2 : 케이스밴드-베젤
4 : 피스(piece) 6 : 뒷덮개(back cover)
8,9 : 부착부(attachment) 10 : 크리스탈
11 : 패킹(packing) 12 : 다이알
14 : 무브먼트 16 : 고리(casing ring)
18 : 내부표면 20 : 패킹
21 : 중앙지역 26 : 구멍(hole)
28 : 고정나사(screw) 30 : 배이스(base)
34a,34b,34c,34d : 돌기(horns) 36 : 브리지(bridge)
44,45 : 축(axis)
본 발명은 케이스밴드(caseband)로부터 분리되는 뒷덮개(back cover)를 가진 시계 케이스(watch cas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두개의 브레이스릿 부착부(bracelet attachment)와 함께 동일한 피스(piece)를 형성하는 뒷덮개를 갖춘 시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케이스밴드로부터 분리되는 뒷덮개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는 스위스국 특허 제 662 698 호로부터 알려져 있으나 여기에서는 뒷덮개는 그 양 끝에 브레이스릿(bracelet)을 고정시키는 바(bar)가 부착된 두개의 돌기(horns)를 포함하고 있는 배이스(base)가 있으며 이 배이스는 브리지(bridge)에 의해 뒷덮개에 연결된다. 또한 이 브리지는 시계 케이스의 뒷덮개의 외부표면과 같은 평면에 위치하는 외부표면을 가지며 배이스의 횡단단면은 원추형의 외면각(truncated external angle)을 갖는 삼각형의 형태를 보여준다.
각각의 돌기(horns)는 부착부의 배이스의 양 끝에 위치하여 각기 평행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배이스의 단면적은 정상부가 잘려진 삼각형의 형태의 것이며 각 돌기는 시계 케이스의 뒷덮개의 외부표면의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그런 방향각도를 갖는다.
전술한 특허에 기술된 부착되는 다음과 같은 제작공정상의 어려움을 갖는다.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형태를 갖는 두개의 돌기와 배이스의 상단부가 잘려진 삼각형 횡단면을 갖는 배이스는 최소한 한번의 기계 가공단계를 포함하여 여려 단계의 공정을 제조시 필요로 한다. 그리하여 이 특허는 간단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부착물을 갖는 시계 케이스를 기술하고 있으나 실제로 제작에는 비교적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브레이스릿을 고정하는 두개의 부착부와 함께 동일한 피스를 형성하여 케이스밴드로부터 분리되는 뒷덮개를 갖는 시계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각 부착부는 두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이들 돌기는 비교적 싼 제조가격을 위해 시계 케이스의 3시-9시의 중간평면에서 분리 가능한 각도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스릿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라인드구멍(blind hole)이 형성된 돌기를 가진 시계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목적으로서 케이스밴드와, 뒷덮개와, 브레이스릿을 고정시키기 위한 두개의 부착부를 갖는 시계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두개의 부착부와 동일한 피스에 형성된 두개의 부착부를 가진 그런 뒷덮개는 일반적으로“T”의 형태를 가지며, 피스의 양끝에는 부착부에 연결되는 브리지(bridge)를 형성하며 시계 케이스의 3시-9시의 중간평면에서 연장되는 배이스는 두 단부에 위치하는 두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두개의 돌기는 각각의 대칭 평면에 형성된 부착부에 위치하며, 시계 케이스는 각 부착부의 배이스가 뻗어 가는 두 돌기의 대칭평면에 노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뒷덮개를 형성하는 피스와 브레이스릿을 연결하는 양쪽 부착부는 굽힘(bending)과 스웨징(swaging)처리공정을 통해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피스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산업적 생산을 할 수가 있다는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스웨징 처리공정을 통해 금속피스의 여러부품에 대한 업셋팅(upsetting) 또는 엠보싱(embossing) 처리공정도 행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에서 뒷덮개에 배이스를 연결하는 브리지(bridge)는 뒷덮개의 외부표면의 측면(the side)에서 내부로 만곡되며 시계 케이스의 6시-12시이 중간평면내이 배이스(base)와 브리지와 뒷덮개의 외부 표면으로 형성된 측면(profile)은 부드러운 선을 이룬다.
이 선호된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따라 돌기는 뒷덮개의 둘레지역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고 그러한 돌기는 시계 케이스에 브레이스릿을 고정하는 수단을 수용하고 돌기 내부표면에는 하나의 개구부(opening)를 갖는 블라인드 구멍(blind hole)을 갖는다.
그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변형에 있어서는 돌기는 타원체의 반쪽형태를 갖는다.
이 선호된 실시예로부터 뒷덮개의 둘레지역에서 두께는 돌기의 두께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시계 케이스를 얻을 수도 있다.
첫째로 돌기(horn)는 브레이스릿 연결수단(securing means)의 단부(the end)를 수용할 블라인드 구멍(blind hole)을 가지며 또한 내부 표면에 개구(opening)를 갖는 돌기의 두께는 별로 상관이 없으며 뒷덮개의 외주면 지역(peripheral region)의 두께는 바(the bar)의 단부(the end)가 돌기를 관통할 수 있는 그런 최소한의 두께를 갖는 시계 케이스면 좋다.
특히 시계 케이스가 방수인 경우 뒷덮개의 외부지역은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가지며 이렇게 함으로써 케이스밴드로부터 분리되는 뒷덮개는 시간을 셋팅하는 스템(time setting stem)용 구멍(hole)의 레벨(level)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로 돌기의 두께는 뒷덮개의 둘레지역의 두께와 무관하며 고리는 시계 케이스의 심리적 특성을 강조하는 조화된 형태를 갖도록 충분히 큰 두께를 가지며 예를 들어 반타원의 계란(egg) 반쪽형이나 다른 심미적 형태를 갖는 돌기로 작업자의 작업에 따른다.
본 발명에 의한 특성과 장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케이스의 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술한다. 시계 케이스(1)는 케이스밴드-베젤(caseband-bezel)(2)과 브레이스릿을 고정시키는 두개의 부착부(8과 9)를 갖는 뒷덮개(6)를 형성하는 피스(4)를 포함한다. 또한 시계 케이스는 시계의 다이알(12)과 크리스탈(10) 사이의 플랜지(flange) 역할을 하는 패킹(packing)(11)이 포함되어 있다.
시계의 무브먼트(movement)(14)는 케이싱고리(casing ring)(16)에 의하여 뒷덮개(6)의 내부표면(18)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장된다. 패킹(20)은 케이스밴드-베젤(2)과, 뒷덮개(6)와 케이싱고리(16)로 형성된 하우징(housing)의 내부에 갖춰진다.
브레이스릿을 고정하는 두개의 부착부를 가진 뒷덮개를 형성하는 피스(4)는 다른 두께를 갖는 4개의 지역(region)을 갖는다. 두께(22)의 가장 얇은 지역은 뒷덮개(6)의 중앙지역(21)에 형성된다. 중앙지역(21)은 시계의 무브먼트(14)가 위치하는 지역이다. 뒷덮개의 둘레지역(the peripheral region)(23)은 특정한 두께(24)를 갖는 제2 지역을 형성하고 뒷덮개의 외부변부(the outer edge)는 둥글게 형성한다. 둘레지역(23)의 내부표면은 시계 케이스의 케이스밴드-베젤(2)와 함께 접촉표면을 구성한다. 구멍(hole)(26)은 둘레지역(23)에 위치하여 그러한 구멍(26)으로 브레이스릿을 고정하는 두개의 부착부와 뒷덮개를 형성하는 피스는(4)와 케이스밴드-베젤(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28)가 통과하도록 한다.
두개의 부착부(8과 9)의 각각의 배이스(30)는 특정한 두께 즉 피스(4)의 둘레지역(23)의 두께(24)보다 약간 큰 두께(31)를 갖는 피스(4)의 제3지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피스(4)는 4개의 돌기(34a에서 34d까지)를 포함하여 돌기 각각은 부착부(8이나 9)의 배이스(30)의 두께(31)와 같거나 또는 크고 뒷덮개(6)의 둘레지역(23)의 두께(24) 보다 큰 폭(a width)(35)를 갖는다. 그러한 배이스 두께(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변형예에서는 둘레지역(23)의 두께(24)보다 작거나 같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배이스(30)와 돌기(34a와 34d) 외에도 두개의 부착부(8과 9) 각각은 부착부(8과 9)의 배이스(30)를 가진 뒷덮개(6)의 둘레지역(23)을 연결하는 브리지(36)를 갖는다. 그러한 브리지(36)는 부착부(8과 9) 각각의 배이스(30)의 두께(31)와 둘레지역(23)의 두께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두께를 갖는다. 그러한 브리지(36)는 부착부(8과 9)의 배이스(30)과 뒷덮개(6) 사이에 넥(neck)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배이스(30)는 시계 케이스의 피스(4)의 두개의 브리지(36)에 의한 방향이 가로로 방향잡힌 바(bar)를 갖는다. 제4도의 평면도에서 각 부착부는“T”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시계 케이스(1)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시계의 크리스탈(10)의 측부(the side)에 위치한 지역을“상부”또는“윗부분”또는“시계의 상단부”라 부르고 시계 케이스의 뒷덮개(6)의 지역을“바닥”또는“밑부분”또는“시계 케이스의 하단부”라고 부르게 된다. 시계 케이스의 뒷덮개(6)의 중앙지역(21)은 일반적 평면(general plane)(38)이라고 한다. 이 일반적 평면(38)은 시계 케이스의 평면에 평행 한다. 부착부(8과 9)의 배이스(30)는 각기 일반적 평면(40, 41)이라고 한다. 그러한 일반적 평면(40, 41) 각각은 시계 케이스의 뒷덮개이 일반적 평면(38)과 분리각(angular separation)이 α만큼의 그런 각으로 분리된다. 피스의 일반적 평면에 의해 피스가 실질적으로 평면위에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제2도의 괄호에 있는 참조번호는 제1도의 시계 케이스의 참조평면을 180도 회전하였을 때 나타나는 부분을 말한다.
두개의 부착부(8과 9)의 각각의 배이스(30)의 양쪽 단부(the ends)로 부터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34a와 34b)와 돌기(34c와 34d)는 브레이스릿 부착부(8과 9)의 배이스(30)의 일반적 평면(40, 41)의 수직인 일반적 방향축을 따라 시계상부를 향해 위치한다. 그리하여 두개의 브레이스릿 부착부(8과 9)의 돌기는 시계 케이스(1)의 3시-9시의 중간평면과는각(an angle)이 α 만큼의 분리된 위치에 놓인다. 돌기(34a)의 분리각(α)은 시계를 착용하는 사람의 팔목형태에 적절한 방향을 주도록 케이스밴드-베젤(2)의 변부(the edge)와 돌기의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더욱이 부착부의 배이스와 두개의 돌기는 공통의 대칭평면을 가지며 그러한 대칭평면에는 부착부의 두개의 돌기는 양쪽 방향축(44, 45)을 각기 갖게 된다.
상술한 특징으로부터 그리고 두개의 부착부(8과 9)를 가진 뒷덮개(6)을 형성하는 피스(4)의 구조는 스웨징(swaging)과 굽힘(bending)과정을 통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를 스웨징(swaging)함으로써 배이스의 연장부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굽힘(bending)과정을 돌기는 배이스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성형된다.
브레이스릿 부착부(8과 9)의 배이스(30)에 뒷덮개(6)의 둘레지역(23)을 연결하는 브리지(36)는 시계 케이스 밑으로부터 즉 뒷덮개(6)의 외부표면(48)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방향으로 만곡된다. 6시-12시의 중간평면(median plane)내의 배이스(30)와, 브리지(36)와 뒷덮개(6)의 외부표면(48, 58과 50)으로 형성된 측면(profile)은 항시 부드러운 선을 형성한다. 부드럽다는 것은 선이 각을 갖지도 끊이지도 않는 것을 뜻한다. 시계 케이스(1)가 뒷덮개(6)에 놓일 때 두개의 브레이스릿 부착부(8과 9)와 함께 뒷덮개(6)를 형성하는 피스(4)는 부착부(8과 9)의 지역에 볼록한 측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두개의 부착부의 각각의 배이스의 단부(the end)에 놓인 양쪽 돌기는 시계 케이스의 바닥(bottom)을 향해 위치하며 브레이스릿 부착부의 배이스에 뒷덮개의 둘레지역을 연결하는 브리지는 시계 케이스의 상부(the top)의 방향으로 즉 시계 크리스탈의 측면에서 내부로 만곡된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브레이스릿 부착부의 배이스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은 제1도부터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반대의 것이다.
두개의 부착부(8과 9) 각각의 배이스(30)는 시계 케이스(1)의 상부에 상응하는 측면에 위치한 내부표면(52)과 외부표면(50)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돌기(34a에서 34d) 각각은 외부표면(54)과 내부표면(56)을 갖는다. 부착부(8, 9)의 브리지(36)도 케이스밴드-베젤(2)의 측부에 위치한 외부표면(58)과 내부표면(60)을 갖는다. 돌기(34a와 34b) 및 돌기(34c와 34d)의 배이스(30과 56)의 내부표면(52)은 브레이스릿(도시되지 않음)을 고정하도록 바(bar)가 놓이는 공간을 가지며 브레이스릿 단부는 돌기(34a에서 34d) 각각에 갖춰진 공동(cavity)(64)안에 삽입된다. 그러한 공동(64)은 동기의 내부표면(56)에 위치한 하나의 개구부(opening)를 갖는다, 그것들은 블라인드 구멍(blind hole)을 형성하고 부착부 내부를 향해 열린다.
시계케이스의 뒷덮개(6)의 중앙지역(21)은 뒷덮개(6)를 구성하는 피스(4) 내에 요홈(recess)을 형성하고 요홈의 변부는 뒷덮개(6)의 둘레지역(23)에 위치한다. 한편 뒷덮개(6)는 케이스밴드-베젤(2) 바닥에 갖춰진 요홈(68)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그러한 요홈(68)은 시간설정 스템(stem)을 위해 갖춰진 구멍(69)의 최하부에 놓이며 따라서 구멍(69)과 뒷덮개의 둘레지역(23) 사이에서 케이스밴드-베젤(2)에 속하는 물질 두께(material thickness)를 남긴다. 제3도에서 시간 설정 스템과 크라운(crown)은 도시되지 않았음을 볼 수가 있다.
시계의 특성을 강조하는 플레어 컵(flare cup) 형태를 케이스밴드에 주고 있으나 시계 케이스와 하나로 된 쉘(shell) 모양을 주기 위하여서는 뒷덮개(6)의 직경은 시계 케이스의 크리스탈(10) 직경보다 작게 한다.
배이스(30)의 외부표면(50)과 뒷덮개(6)의 외부표면(48)을 연결할 뿐 아니라 연속적으로 배이스(30)의 내부표면(52)과 뒷덮개(6)의 둘레지역(23)의 내부표면을 브리지(36)에 연결한다면 노치(notch)(72)는 요홈(68)을 케이스밴드-베젤(2)의 하부변부에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노치(notch)(72)는 케이스밴드-베젤(2)의 바닥에 형성된 요홈(68)의 깊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시계 케이스에 조화된 형태와 우아한 모양을 주기 위해 뒷덮개(6)와 브리지(36)과 배이스(30)의 둘레지역의 외부표면을 부분적으로 둥글게 한다. 돌기(34a에서 34d)는 반타원체 형태를 갖고 평면표면은 내부표면(56)을 볼록한 표면의 고리의 외부표면(54)과 같게 한다.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의 한 다른 형태로 계란(egg)반쪽의 형태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 각각의 바(bar)를 고정하는 브레이스릿 단부를 수용하는 공동(64)의 지역에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계 케이스는 케이스밴드를 형성하는 부분과 다른 부분으로 형성된 베젤(bezel)을 가질 수도 있다.

Claims (11)

  1. 케이스밴드(caseband)와, 전반적으로 평면인 중앙지역과 두개의 단부(two ends)를 가진 배이스(base)로 구성된 부착부가 브레이스릿을 시계에 연결고정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중앙지역과 일체로 형성된 두개의 부착부(two attachments)를 가지고 있는 뒷덮개(back cover)와, 시계 케이스의 3시-9시 방향의 선(line)을 갖는 제1 중앙평면에 대하여 분리각도를 가지며 제1 방향에 있는 배이스의 두개의 단부로부터 뒷덮개의 중앙지역에 수직으로 돌출된 두개의 돌기(two horns)와, 배이스의 두개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에 수직이고 그 폭은 배이스의 길이보다 짧으며 배이스로부터 두개의 돌기가 제1 방향에 수직으로 위치하며 뒷덮개와 배이스를 연결하는 브리지(bridge)를 포함하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뒷덮개에 배이스를 연결하는 브리지가 뒷덮개의 외부표면의 측면으로 내부방향으로 만곡되고 시계 케이스의 6시-12시의 선을 포함하고 시계 케이스의 3시-9시 선에 수직을 이루는 배이스와 브리지 및 뒷덮개의 외부표면으로 형성되는 형태가 부드러운 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돌기는 뒷덮개의 둘레의 두께보다 큰두께를 가지며 각 돌기는 블라인드 구멍(blind hole)을 가지며 그 단일 개구부는 시계 케이스의 브레이스릿을 고정하는 수단(means)의 한 단부를 수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돌기의 내부표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돌기는 각각이 근본적으로 달걀(egg)반쪽의 타원형태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두 부착부와 함께 뒷덮개를 형성하는 피스가 스웨징(swaging)과 굽힘(bending)과정으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부착부를 가진 뒷덮개를 형성하는 피스내에 있는 뒷덮개의 중앙지역에 제1 요홈(first recess)을 포함하며 이 제1 요홈내에 시계의 무브먼트가 부분적으로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두 부착부와 함께 뒷덮개를 형성하는 피스가 뒷덮개의 둘레에 구멍(hole)을 가지며 전술한 시계 케이스의 케이스 밴드에서 피스를 고정시키는 나사(screw)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시계 케이스의 케이스밴드 바닥에 제2 요홈을 형성하고 뒷덮개가 제2 요홈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시간설정 스템(time setting stem)을 위한 케이스밴드내에 구멍(hole)을 가지며 전술한 뒷덮개의 둘레 상단이 전술한 구멍의 최하위 부분 보다 낮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케이스밴드의 하단부의 단부(edge)에는 두개의 놋츠(notches)를 포함하며 이들 놋츠는 두개의 부착부 각각에 브리지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요홈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뒷덮개의 직경이 시계 케이스의 크리스탈의 직경보다 작고 시계 케이스의 케이스밴드가 플레어 컵(flared cup)의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케이스.
KR1019920019979A 1991-11-04 1992-10-29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KR100248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212/91A CH684236B5 (fr) 1991-11-04 1991-11-04 Boîte de montre avec un fond séparable.
CH3212910 1991-11-04
CH03212/91-0 1991-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54A KR930010654A (ko) 1993-06-23
KR100248162B1 true KR100248162B1 (ko) 2000-04-01

Family

ID=425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979A KR100248162B1 (ko) 1991-11-04 1992-10-29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73484A (ko)
EP (1) EP0541001B1 (ko)
JP (1) JP3281425B2 (ko)
KR (1) KR100248162B1 (ko)
AT (1) ATE151541T1 (ko)
CH (1) CH684236B5 (ko)
DE (1) DE69218882T2 (ko)
ES (1) ES2102441T3 (ko)
HK (1) HK1007008A1 (ko)
MY (1) MY108360A (ko)
SG (1) SG67291A1 (ko)
TW (1) TW2231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4728B5 (fr) * 1992-12-15 1995-06-15 Mauboussin Sa Dispositif de fixation rapide d'un bracelet.
TW455749B (en) * 1999-09-29 2001-09-21 Swatch Group Man Serv Ag Multi-function push-button contact clamp
CN100389368C (zh) * 2000-05-31 2008-05-21 西铁城控股株式会社 热发电钟表
US7628530B2 (en) 2007-03-14 2009-12-08 Nike, Inc. Watch casing construction incorporating watch band lugs
USD756239S1 (en) * 2013-07-23 2016-05-17 La Montre Hermes S.A. Watch case
RU2582885C1 (ru) * 2014-09-30 2016-04-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Часовой Завод Ника" Часы с декоративным корпусом и сменным декоративным обрамлением на ремешке, корпус для часов со сменным декоративным обрамлением, задняя крышка для часов со сменным декоративным обрамлением и сменное декоративное обрамление для часов с декоративным корпусом
USD769737S1 (en) * 2015-02-18 2016-10-25 Longines Watch Co., Francillon Ltd. Watchcase
JP6890773B2 (ja) * 2019-02-27 2021-06-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ケースおよび時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221A (en) * 1912-09-30 1913-01-14 Henry W Matalene Bracelet-watch.
CH201996A (fr) * 1938-02-28 1938-12-31 Erismann Gerard Boîte de montre.
CH355094A (fr) * 1959-06-02 1961-06-15 Morf Ernest Boîte de montre-bracelet
CH659169GA3 (ko) * 1985-10-07 1987-01-15
CH662698GA3 (en) * 1986-03-17 1987-10-30 Watch case including a removable glass
CH666784GA3 (ko) * 1986-10-28 1988-08-31
CH665745GA3 (ko) * 1986-11-04 1988-06-15
CH675339GA3 (en) * 1988-03-25 1990-09-28 Non-metallic wrist watch casing - includes outer ring and inner box linked by elastic ring fitted between them
CH675517B5 (ko) * 1989-01-13 1991-04-15 Ebauchesfabrik Eta 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1001B1 (fr) 1997-04-09
HK1007008A1 (en) 1999-03-26
CH684236B5 (fr) 1995-02-15
KR930010654A (ko) 1993-06-23
SG67291A1 (en) 1999-09-21
MY108360A (en) 1996-09-30
DE69218882D1 (de) 1997-05-15
JP3281425B2 (ja) 2002-05-13
DE69218882T2 (de) 1997-11-06
TW223155B (ko) 1994-05-01
ATE151541T1 (de) 1997-04-15
US5373484A (en) 1994-12-13
EP0541001A1 (fr) 1993-05-12
JPH05223957A (ja) 1993-09-03
CH684236GA3 (fr) 1994-08-15
ES2102441T3 (es) 199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2809A (en) Wrist watch movement and wristband combination
US4462697A (en) Integral plastic strap and bezel for a wristwatch
US4327429A (en) Watchcase
US4903253A (en) Means for attaching a band to a watch case
US4480447A (en) Finger ring and insert therefor
US6502981B2 (en) Watch that can serve as either a wristwatch or a clock
US3307346A (en) Watchcase with crystal retaining means
JPH0843553A (ja) 時計バンド等の部品を交換できる時計
US4740935A (en) Watchcase having mechanism for securing crystal to case
KR100248162B1 (ko)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US4198811A (en) Watertight watchcase having a removable polygonal hard glass
US5748571A (en) Plastic top shell
USD379327S (en) Wristwatch strap
KR100918148B1 (ko) 베젤 또는 백 커버를 통해 조립된 케이스에 장착된무브먼트를 위한 케이싱 링을 포함하는 시계
JPS644156B2 (ko)
JPH0435036B2 (ko)
JP7415832B2 (ja) 時計
JPS63167292A (ja) 腕時計
US4506992A (en) Watch case provided with integral bracelet
GB2129280A (en) Watchband attachment structure
US5493544A (en) Noble metal watch case
JPH0636040B2 (ja) 時計の側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2189084A (ja) 腕時計
KR970001847B1 (ko) 캡(cap)이 있는 시계케이스
JP4561174B2 (ja) 装身具、装身具への装飾体取付方法、時計及び時計への装飾体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