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833B1 - 피어싱 장신구 - Google Patents

피어싱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833B1
KR100774833B1 KR1020070013072A KR20070013072A KR100774833B1 KR 100774833 B1 KR100774833 B1 KR 100774833B1 KR 1020070013072 A KR1020070013072 A KR 1020070013072A KR 20070013072 A KR20070013072 A KR 20070013072A KR 100774833 B1 KR100774833 B1 KR 10077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shaped
pin
unit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용
Original Assignee
서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용 filed Critical 서성용
Priority to KR102007001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피어싱 장신구는, 봉 형태의 장착구의 일측에 다단으로 압입되는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구를 적용함으로써 착용의 편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 형태의 장착구(200)가 구비되고, 그 장착구(20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는 이탈방지구(100)를 장착하기 위한 끼움공(210)이 형성되며, 이탈방지구(100)는 장착구(200)의 몸체의 두께보다 큰 머리부(110)가 형성된 핀 형태의 몸체를 갖는 핀부(120)를 가지며, 상기 핀부(120)의 길이 방향으로는 그 둘레를 따라 고리 형태로 된 복수개의 돌출부(130,140,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피어싱 장신구

Description

피어싱 장신구{omitted}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어싱 장신구의 이탈방지구를 보인 도.
도2는 이탈방지구가 장착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
도3의 도2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인도.
도5는 도4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이탈방지구 110 : 머리부
120 : 핀부 130,140,150 : 돌출부
200 : 장착구 210 : 끼움공
본 발명은 피어싱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어싱을 행한 다음 장신구를 신체에 착용할 때 장신구를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어싱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피어싱은 신체에 구멍을 뚫어 장신구를 착용하는 것으로서, 종교 의식이나 미적 표현을 위해 주로 하게 된다.
피어싱의 형태나 종류로는 가장 일반적인 비드링(bead ring), 장착하기가 편한 써큘라 바벨(circular barbells), 링을 착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바벨 스튜드(barbell studs), 턱이나 입술에 많이 하는 라블렛 스튜드 등 그 형태가 다양하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장치는 먼저 신체의 피어싱을 위한 위치, 즉, 배꼽이나 입술, 귀 등의 신체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은 다음, 그 구멍에 위에서 언급한 피어싱 장치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통상의 피어싱 장치는 몸체와 장식부로 나뉘어져서 장식부를 몸체에 나사 방식 등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서 착용이나 장식부의 교환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봉 형태의 장착구의 일측에 다단으로 압입되는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구를 적용함으로써 착용의 편리성을 갖는 피어싱 장신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 형태의 장착구(200)가 구비되고, 그 장착구(20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는 이탈방지구(100)를 장착하기 위한 끼움공(210)이 형성되며, 이탈방지구(100)는 장착구(200)의 몸체의 두께보다 큰 머리부(110)가 형성된 핀 형태의 몸체를 갖는 핀부(120)를 가지며, 상기 핀부(120)의 길이 방향으로는 그 둘레를 따라 고리 형태로 된 복수개의 돌출부(130,140,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어싱 장신구의 이탈방지구(100)를 보인 도로서, 이탈방지구(100)는 핀 형태의 몸체를 갖는 핀부(120)의 머리부(110)가 이후에 설명될 장착 대상물인 장착구(20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착용시에 장신구가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머리부(310)에는 문양이나 장식물이 장착될 수 있다.
핀부(120)의 몸체 둘레에는 장착구(200)의 끼움공(210)에 압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도록 하는 여러개의 돌출부(130,140,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130,140,150)는 핀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둘레를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130,140,150)는 신축력을 가지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단면이 흡사 산 형태로 되고, 아울러 돌출부(130)가 가장 큰 지름을 가지며, 돌출부(140,150)는 돌출부(130)에 비하여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지름을 갖는다.
이는 곧 장착구(200)의 끼움공(210)의 지름이 서로 다르더라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착구(200)는 봉 형태의 몸체를 갖는 것으로서, 직선형이나 곡선형 등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생산의 효율성을 위하여 압출 성형되는 파이프 형태로 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장착구(200)의 양측에는 이탈방지구(100)를 장착하기 위한 끼움공 (210)이 형성되며, 또 다른 변형의 형태로는 장착구(200)의 일측이 장착구(200)의 지름보다 크고 일체로 형성된 이탈방지구를 갖는다면 타측에만 끼움공(21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구(100)가 장착구(200)의 양측 또는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도3의 경우에는 돌출부(130,140,150)들이 신축력을 가지면서 끼움공(210)의 내부에서 밀착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작용 상태를 보여주며, 돌출부(130,140,150)는 가급적 장착구(200)의 끼움공(210)에 끼우는 방향으로 순방향의 산의 형태를 이룸으로써 장착시에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4는 장착구(200)가 직선이 아닌 곡선의 형태를 가진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이고, 도5는 이러한 장착구(200)에 이탈방지구(100)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장신구는, 봉 형태의 장착구의 일측에 다단으로 압입되는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구를 적용함으로써 착용의 편리성을 갖는다.

Claims (2)

  1. 봉 형태의 장착구(200)가 구비되고, 그 장착구(20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는 이탈방지구(100)를 장착하기 위한 끼움공(210)이 형성되며, 이탈방지구(100)는 장착구(200)의 몸체의 두께보다 큰 머리부(110)가 형성된 핀 형태의 몸체를 갖는 핀부(120)를 가지며, 상기 핀부(120)의 길이 방향으로는 그 둘레를 따라 고리 형태로 된 복수개의 돌출부(130,140,1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130,140,150)는 산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돌출부의 지름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신구.
KR1020070013072A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신구 KR10077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72A KR100774833B1 (ko)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72A KR100774833B1 (ko)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833B1 true KR100774833B1 (ko) 2007-11-07

Family

ID=3906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072A KR100774833B1 (ko)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806B1 (ko) 2015-12-15 2017-02-01 주식회사 하얀보석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685A (ko) * 2006-07-20 2006-08-25 이찬호 피어싱 장신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685A (ko) * 2006-07-20 2006-08-25 이찬호 피어싱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806B1 (ko) 2015-12-15 2017-02-01 주식회사 하얀보석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9046S1 (en) Jewelry cluster design
USD510290S1 (en) Necklace
KR101618139B1 (ko) 360도 회전 가능한 장신구
USD557165S1 (en) Jewelry chain
CA121780S (en) Ear clip for a headset
CA131667S (en) Female anastomosis ring
USD550585S1 (en) Jewelry setting
KR100774833B1 (ko) 피어싱 장신구
USD569758S1 (en) Diamond setting
USD544810S1 (en) Jewelry setting
KR101005684B1 (ko) 장신구 연결핀
TW200504295A (en) Fastener structure
KR101330153B1 (ko) 끈 형상의 액세서리 체결구
KR100774834B1 (ko) 피어싱 장치 구조
KR200477499Y1 (ko) 내부에 충진제가 구비된 귀걸이용 고정구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20150098550A (ko) 장신구
JP2008000209A (ja) 装身具
CN209185830U (zh) 一种可更换造型的卡夹式耳部饰品
CN202800391U (zh) 一种扣子
KR20160142010A (ko) 회전 장신구
KR101618149B1 (ko) 360도 회전 가능한 장신구
JP3237279U (ja) 装身具用連結具
JP2020141871A (ja) 装身具用連結具
KR200436514Y1 (ko)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