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537Y1 - 다용도 연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537Y1
KR200401537Y1 KR20-2005-0025541U KR20050025541U KR200401537Y1 KR 200401537 Y1 KR200401537 Y1 KR 200401537Y1 KR 20050025541 U KR20050025541 U KR 20050025541U KR 200401537 Y1 KR200401537 Y1 KR 200401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ng ring
hole
presen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관재
Original Assignee
원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관재 filed Critical 원관재
Priority to KR20-2005-0025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4Hooks with sli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연결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장신구,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어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이 일탈·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용도 연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연결구{Connector Having Multi-Use}
본 고안은 다용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신구,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어 그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의 일탈·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나 휴대폰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통상 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가 그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 1에는 종래에 사용되던 상기 고리 형태의 연결구의 일례가 그것이 귀걸이에 사용된 상태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 1a은 연결구 자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연결구(1)가 열린 상태에서 귀걸이 팬던트(4)가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c는 연결구(1)가 귀걸이(2)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서 보여지듯이, 연결구(1)는 고리 형태로서 그 연결구(1)의 양 끝단은 서로 약간의 틈(A)를 형성하며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그 연결구(1)를 통하여 예컨대 도 1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귀걸이 팬던트(4)를 귀걸이 본체(3)에 연결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닫힌 상태의 연결구(1)를 도 1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열린 상태로 전환된 연결구(1)에 상기 귀걸이 팬던트(4)를 그 팬던트(4)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리(5)를 통하여 연결시킨 후에 상기 열린 상태의 연결구(1)를 다시 도 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도 1c는 연결구(1)가 닫힌 상태로 귀걸이(2)에 사용된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상기 귀걸이(2)를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함으로써 상기 연결구(1)의 틈(A)에 귀걸이 팬던트(4)가 접촉하는 경우 그 귀걸이 팬던트(4)의 하중이 그 틈(A)에 작용하거나 기타 외부 환경의 예측하지 못한 횡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는, 닫힌 상태의 연결구(1)의 틈이 벌어지면서 그 연결구가 열린 상태로 서서히 전환됨에 따라 그 연결구(1)를 통하여 연결된 귀걸이 팬던트(4)가 일탈·분리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연결구가 가지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귀걸이 등의 장신구나 휴대폰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어, 그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의 일탈·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고안은 다용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는 (a) 양 단부가 개방되고 관통공을 갖는 고정쇠와 (b) 상기 고정쇠의 양 단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양 끝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쇠와 결합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쇠의 관통공에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가 삽입되어 연결고리가 고정쇠에 결합하면, 연결고리가 형성하는 틈이 고정쇠에 의하여 가려지고 또한 감싸지게 됨에 따라 그 틈이 벌어짐에 따른 전술한 바의 문제점을 극복할 있다.
상기에서, 연결고리는 그 양 끝단부가 고정쇠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한데, 통상적으로는 원형, 반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쇠는 바람직하게는 연결고리의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되게 되는데, 예컨대 연결고리가 원형인 경우에는 호형으로 형성될 것이고, 연결고리가 반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 있어서는 일자형으로 형성될 것이다.
장신구 등의 팬던트의 일탈·분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결고리가 반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쇠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연결고리에 형성되는 틈이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연결되는 장신구의 팬던트 등의 하중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기타 종방향의 외부 환경의 힘에 의하여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정쇠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가 또한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한, 연결고리가 반드시 반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임의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통상적으로는 반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 중 일 끝단부는 고정쇠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결합하거나 일체형으로 고정·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장신구의 팬던트 등을 연결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고정쇠와 연결고리는 그 단면이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것이지만,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에서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의 두께(지름)는 고정쇠의 관통공의 두께(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와 고정쇠의 관통통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그럼으로써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연결되는 상기 장신구의 팬던트 등의 일탈·분리 방지 효과가 더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에서 고정쇠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가 또한 일자형으로 형성될 경우에 있어, 상기 일자형인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와 연결고리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는 각진 부분은 외부 환경의 어떠한 힘에 의해서도 그 각진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장신구의 팬던트 등의 일탈·분리 방지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결합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고정쇠의 관통공에는 그 돌기에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연결고리는 합성 수지 재질의 결합재를 매개로 고정쇠에 삽입·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다용도"의 의미는 전술한 바의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연결구가 적용 가능한 모든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장신구에 있어서 팬던트를 장신구 본체에 연결시키는 용도, 휴대폰에 그 액세서리를 연결시키는 용도 등으로 주로 사용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대해서는 모든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대한 전술한 바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에서 "물품"이란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전술한 바의 구성 및 기능상 적용 가능한 물품으로서, 그러한 물품으로서는 이미 전술한 바 있는 장신구라든지 휴대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연결구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귀걸이, 목걸이 등의 장신구와 휴대폰의 액세서리에 사용된 상태를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는 고정쇠(11)와 이 고정쇠(11)의 양 단부(111;112)에 양 끝단부(121;122)를 통하여 결합하는 반원형의 연결고리(12)로 구성된다.
고정쇠(11)는 일 단부(111)가 개방되어 있고 타 단부(112)는 연결고리(12)의 일 끝단부(122)와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하여 고정·결합되어 형성됨으로써 폐쇄되어 있는 관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고리(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 끝단부(122)가 고정쇠(11)의 일 단부(112)와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한편, 그 타 끝단부(121)는 고정쇠(11)의 관통공(113)으로 삽입됨으로써 고정쇠(11)의 타 단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고정쇠(11)와 연결고리(12)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는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도 2a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c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사용될 수 있는 물품으로서 귀걸이(2)를 예로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 팬던트(4)는 그 일체형 고리(5)를 통하여 도 2b에 도시된 열린 상태의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연결고리(12)에 끼워져 결합한다.
귀걸이 팬던트(4)가 결합하면 열린 상태의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를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처럼 닫힌 상태로 전환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는 그 연결고리(12)의 일 끝단부(121)가 고정쇠(11)의 일 단부(111)를 통하여 고정쇠(11)의 관통공(113)에 일정 길이가 삽입됨으로써, 그 연결구(10)에 결합된 귀걸이 팬던트(4)는 사용자가 장시간 귀걸이를 착용하거나 외부의 예측불허의 힘이 그 연결구에 가해졌을 때에도 일탈·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쇠(11)의 일 단부(111)를 통하여 고정쇠(11)의 관통공(113)에 삽입됨으로써 고정쇠(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고리(12)의 일 끝단부(121)는 그 두께(즉 지름)가 고정쇠(11)의 관통공의 두께(즉 내경)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연결고리(12)의 일 끝단부(121)가 고정쇠(11)에 그 일 단부(111)를 통하여 끼움·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에 연결되는 상기 목걸이 팬던트(4) 등의 일탈·분리 방지 효과가 더 뛰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일탈·분리 방지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연결고리(12)의 일 끝단부(121)에는 돌기(1211)가 형성되고 고정쇠(11)의 관통공(113)에는 그 돌기(1211)에 맞물리는 홈(11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고정쇠(11)와 연결고리(12)가 그 단면이 원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고정쇠(11)가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연결고리(12)의 일 끝단부(121)가 그 고정쇠(11)의 관통공(113)에 삽입될 수 있다면, 고정쇠(11) 및 연결고리(12)는 그 단면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또 기타의 다른 단면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2에는 연결고리(12)가 반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2에는 연결고리(12)의 일 끝단부(122)가 고정쇠(11)의 일 단부(112)와 고정·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고정·결합하지 않고, 연결고리(12)의 타 끝단부(121)와 고정쇠(11)의 타 단부(11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처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장신구와 휴대폰의 액세서리에 사용된 상태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귀걸이에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목걸이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팔치에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d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휴대폰 악세서리에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3c의 경우처럼,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고리(10)는 귀걸이 본체(3), 목걸이 팬던트(20) 및 팔찌의 잠금쇠(3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결합된 상태로 사용되어 각각 귀걸이 팬던트(4), 목걸이 고리(21) 및 보조 팔찌(31)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도 3d에서처럼 고정·결합되지 않고 특정 연결고리(41)를 매개로 결합되어 휴대폰 액세서리(4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고리(10)의 재질은 외관상 심미감을 고려하여 그것의 사용되는 물품의 재질과의 관계에서 결정될 것이지만, 통상은 합성수지, 철, 동, 금 또는 은이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용도 연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다용도 연결구를 포함하는 물품, 예컨대, 장신구, 휴대폰 등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는 그것에 결합하는 예컨대, 장신구의 팬던트, 휴대폰의 액세서리를 일탈·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장신구 연결구와 그 장신구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와 그 다용도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장신구와 휴대폰에 있어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
11: 고정쇠
12: 연결고리

Claims (9)

  1. (a) 양 단부가 개방되고 관통공을 갖는 고정쇠; 및
    (b) 상기 고정쇠의 양 단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양 끝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쇠와 결합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원형, 반원형,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고정쇠는 연결고리의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가 상기 고정쇠와 대응되게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 중 일 끝단부는 고정쇠의 일 단부에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의 두께는 고정쇠의 관통공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와 고정쇠의 관통통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인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와 연결고리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는 각진 부분은 단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의 관통공에 삽입·결합되는 연결고리의 양 끝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고정쇠의 관통공에는 그 돌기에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8. 제1항 내지 제7항의 다용도 연결구를 포함하는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장신구,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20-2005-0025541U 2005-09-05 2005-09-05 다용도 연결구 KR200401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41U KR200401537Y1 (ko) 2005-09-05 2005-09-05 다용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41U KR200401537Y1 (ko) 2005-09-05 2005-09-05 다용도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125 Division 2005-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537Y1 true KR200401537Y1 (ko) 2005-11-21

Family

ID=4370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541U KR200401537Y1 (ko) 2005-09-05 2005-09-05 다용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5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84Y1 (ko) * 2009-04-27 2009-12-03 김정진 벨트 연결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84Y1 (ko) * 2009-04-27 2009-12-03 김정진 벨트 연결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05786A8 (en) Locking system for jewellery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0761985B1 (ko) 착탈식장신구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KR200401537Y1 (ko) 다용도 연결구
USD522906S1 (en) Jewelry clasp
IT201900007536A1 (it) Chiusura per gioielli, particolarmente per bracciali, orecchini e collane
KR200410271Y1 (ko) 다용도 연결구
JP4740846B2 (ja) 安全装置付き磁気式装身具用留め具および装身具用留め具の結合を完全にする方法
WO2007112530A1 (en) Clasp system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92495Y1 (ko) 기능성 고무제 장신구
KR200420503Y1 (ko) 액세서리
CN2882329Y (zh) 多功能首饰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KR200210233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KR200429707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고정구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JP3112368U (ja) 引輪金具
KR200205501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고정 구조
JP3197869U (ja) 身飾品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