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233Y1 -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233Y1
KR200210233Y1 KR2020000019918U KR20000019918U KR200210233Y1 KR 200210233 Y1 KR200210233 Y1 KR 200210233Y1 KR 2020000019918 U KR2020000019918 U KR 2020000019918U KR 20000019918 U KR20000019918 U KR 20000019918U KR 200210233 Y1 KR200210233 Y1 KR 200210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ring
semi
ear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덕
Original Assignee
조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덕 filed Critical 조병덕
Priority to KR2020000019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233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세서리(예: 팔찌와 귀고리 등)의 고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액세서리의 경우 이를 귀에 착용할때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삽입핀이 귀를 찌르면서 귀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와함께 제 1 및 제 2 반원링을 연결하는 스프링은 액세서리의 장시간 착용에 따라 그 탄성력이 현저하게 낮아지면서 액세서리의 착용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더불어, 상기 삽입핀을 제 1 반원링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으로 삽입시켜야 하는데, 이때 그 삽입작업은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수 없는 바, 액세서리의 착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액세서리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반원링의 일측부위에는 텐션을 갖는 연결체와 연결홈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그 반원링의 둘레면에는 각각 압축력을 갖는 일측 개방형의 보조링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조링의 압축력으로 액세서리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압축력을 갖는 보조링에 별도의 작은 링이나 또는 다수의 장식부품들을 걸어 액세서리의 이중 장식효과를 창출하는 액세서리의 고리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Ring structure for accessary}
본 고안은 액세서리(예: 팔찌와 귀고리 등)의 고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세서리의 일측부위에는 텐션을 갖는 연결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액세서리의 양측 둘레면에는 압축력을 갖는 보조링을 결합하여 별도의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액세서리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압축력을 갖는 보조링을 통해 액세서리의 이중 장식효과를 창출할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의 고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와 귀고리 등의 액세서리는 은으로 만들거나 또는 주철을 도금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액세서리는 다음의 구조를 통해 그 착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귀고리를 예를들어 설명하기로 함), 액세서리 (1)는 일측부위에 개구부(2)를 통해 그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반원링(3) (4)이 결합된 형태로서,
상기 개구부(2)의 반대면에는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을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5)이 결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반원링(3)의 일측단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삽입구멍 (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반원링(4)에는 상기 삽입홈(3a)으로 소정깊이 삽입이 이루어지는 삽입핀(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세서리(1)를 귀에 착용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 (3)(4)을 벌리면, 그 벌림동작은 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2 반원링(4)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핀(4a)을 귀의 구멍으로 삽입한 후 상기 벌림동작이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을 놓으면, 상기 제 1 반원링(3)에 형성된 삽입홈(3a)으로 삽입핀(4a)이 소정깊이 삽입되면서 귀고리의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액세서리(1)의 경우, 이를 귀에 착용할때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삽입핀(4a)이 귀를 찌르면서 귀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와함께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을 연결하는 스프링(5)은 액세서리(1)의 장시간 착용에 따라 그 탄성력이 현저하게 낮아지면서 액세서리(1)의 착용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더불어, 상기 삽입핀(4a)을 제 1 반원링(3)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3a)으로 삽입시켜야 하는데, 이때 그 삽입작업은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수 없는 바,이로인하여 액세서리(1)의 착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세서리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반원링의 일측부위에는 텐션을 갖는 연결체와 연결홈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그 반원링의 둘레면에는 각각 압축력을 갖는 일측 개방형의 보조링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조링의 압축력으로 액세서리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압축력을 갖는 보조링에 별도의 작은 링이나 또는 다수의 장식부품들을 걸어 액세서리의 이중 장식효과를 창출할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의 고리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액세서리 2 ; 개구부
3 ; 제 1 반원링 4 ; 제 2 반원링
10; 연결체 10a; 돌기
20; 연결홈 20a; 돌기홈
30a,40a; 링삽입홈 50; 보조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액세서리의 고리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체부위(예; 귀)로의 착용으로 이루어지도록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결합으로 개구부(2)를 형성하는 액세서리(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타측부위가 바로 신체부위인 귀로의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벌어짐과 좁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반원링(3)의 일측부위에는 돌기(10a)를 갖는 연결체(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원링(4)의 일측부위에는 돌기(10a)가 형성된 연결체(10)가 삽입되도록 돌기홈(20a)을 갖는 연결홈(20)을 일체로 형성하여 텐션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둘레면에는 각각 링삽입홈(30a)(40a)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을 압축하여 액세서리(1)의 착용감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상기 링삽입홈(30a)(40a)에 양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일측 개방형의 보조링(50)을 결합시킨 구조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보조링(50)에는 다수의 장식부품(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액세서리(1)의 이중 장식효과를 창출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반원링(3)의 일측부위에는 돌기(10a)를 갖는 연결체(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 2 반원링(4)의 일측부위에는 돌기(10a)가 형성된 연결체(10)가 삽입되도록 돌기홈(20a)을 갖는 연결홈(20)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 1 반원링(3)에 형성된 연결체(10)를 제 2 반원링(4)에 형성된 연결홈(20)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체(10)의 돌기(10a)가 연결홈(20)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홈 (20a)으로 체결되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은 연결체(10)와 연결홈 (20)의 결합으로 부터 발생되는 텐션으로 인해 그 벌어짐과 좁힘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타측부위에는 개구부(2)가 형성되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개구부(2)를 통해 신체부위인 귀로의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둘레면에는 각각 링삽입홈(30a) (40a)을 형성한 후, 상기 링삽입홈(30a)(40a)에 각각 일측 개방형의 보조링(50) 양끝단을 삽입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보조링(50)은 액세서리(1)의 이중 장식효과를 제공하면서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을 압축하게 되므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개구부(2)가 위치하는 각 타측부위는 사람의 귀에서 이탈되지 않고 액세서리(1)의 착용감을 보다 안정되게 제공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귀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개구부 (2) 주위에 종래에서와 같은 연결핀 등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의 각 타측부위가 접촉되도록 하므로서, 그 착용감을 좋게 할뿐만 아니라 종래의 연결핀으로 인해 발생하던 신체부위의 손상을 예방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보조링(50)을 통해 제 1 및 제 2 반원링(3)(4)을 압축하는 한편, 그 압축이 이루어지는 보조링(50)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링이나 장식부품들을 걸수 있게 되는 바, 이로인하여 액세서리(1)의 이중 장식효과를 창출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액세서리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반원링의 일측부위에는 텐션을 갖는 연결체와 연결홈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그 반원링의 둘레면에는 각각 압축력을 갖는 일측 개방형의 보조링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조링의 압축력으로 액세서리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압축력을 갖는 보조링에 별도의 작은 링이나 또는 다수의 장식부품들을 걸어 액세서리의 이중 장식효과를 창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신체부위로의 착용으로 이루어지도록 제 1 및 제 2 반원링 결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반원링의 타측부위가 바로 신체부위인 귀로의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의 벌어짐과 좁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반원링의 일측부위에는 돌기를 갖는 연결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반원링의 일측부위에는 돌기가 형성된 연결체가 삽입되도록 돌기홈을 갖는 연결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텐션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반원링의 둘레면에는 각각 링삽입홈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반원링을 압축하여 액세서리의 착용감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상기 링삽입홈에 양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일측 개방형의 보조링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에 다수의 장식부품을 결합시켜 액세서리의 이중 장식효과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KR2020000019918U 2000-07-12 2000-07-12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KR200210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18U KR200210233Y1 (ko) 2000-07-12 2000-07-12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18U KR200210233Y1 (ko) 2000-07-12 2000-07-12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233Y1 true KR200210233Y1 (ko) 2001-01-15

Family

ID=7308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918U KR200210233Y1 (ko) 2000-07-12 2000-07-12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2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89B1 (ko) 귀걸이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10016028B2 (en) Substantially annular-shaped accessory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KR200210233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KR200384716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EP2227976A1 (en) Accessory Coupling Having Chain
KR200205501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고정 구조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401537Y1 (ko) 다용도 연결구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269731Y1 (ko) 장신구의 연결장치
JP3224771U (ja) 身飾品
KR200289772Y1 (ko) 장신구
KR200320524Y1 (ko) 귀고리
KR200217479Y1 (ko) 팔찌의 신축장치
KR200320392Y1 (ko) 귀걸이 장신구
KR200260669Y1 (ko) 귀고리
KR200356650Y1 (ko) 링식 귀거리 2단 안전장치
KR200186228Y1 (ko) 팔찌
ITRM980035A1 (it) Accessorio per orecchie in particolare orecchino
KR200328329Y1 (ko) 팔찌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