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716Y1 -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716Y1
KR200384716Y1 KR20-2005-0004903U KR20050004903U KR200384716Y1 KR 200384716 Y1 KR200384716 Y1 KR 200384716Y1 KR 20050004903 U KR20050004903 U KR 20050004903U KR 200384716 Y1 KR200384716 Y1 KR 200384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nnection
holders
connecting line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순
Original Assignee
이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순 filed Critical 이복순
Priority to KR20-2005-0004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에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면과 단부가 서로 맞닿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내면에 자석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홀더에 외력이 발생할 경우 홀더가 비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즉, 체인 또는 와이어 형태로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의 양단에는 홀더가 각각 결속되고,
상기 각 홀더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내면과 단부가 서로 맞닿는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구의 내면에 서로 상반된 극성을 갖는 자석이 수용되도록 삽입홈과, 상기 각 연결구가 암/수 연결관계를 갖도록 돌기 및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CONNECTION FOR NECK ACCESSARY CHAIN}
본 고안은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에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면과 단부가 서로 맞닿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그 내면에 자석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홀더에 외력이 발생할 경우 홀더가 비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사람들의 신체 특정부위, 예를 들어서 귀, 목, 혹은 코 등의 부위에 금 또는 기타 다른 금속 및 보석류를 부착하여서 사용자의 외관이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조 기구물이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장신구중 목, 손목 및 발목 등에 착용하는 장신구는 장신용 메달이 연결줄을 통해 신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줄의 양측 단부에는 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고리와 링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줄의 연결고리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발목에서는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나, 손목에 연결고리를 착용할 경우 착용하기 위한 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만을 이용하여 링에 연결고리를 연결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없으며, 또한, 목에 장신구를 착용할 경우 양손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링과 연결고리를 눈으로 볼 수 없어 작은 크기의 링에 연결고리를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제 20-2004-0033206호는 자력을 이용하여 연결줄의 양단을 결속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체인 또는 와이어 형태 등으로 된 장신구(P)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11)의 양측단을 결속하기 위하여 연결줄(11)의 양단에 홀더(10a,10b)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홀더(10a,10b)에는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 자석(13a,13b)을 서로 맞닿게 삽입/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줄(11)의 양단을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장신구의 착탈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홀더에 외력(비틀림)이 가해질 경우 장신구의 미적 아름다움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홀더에 작은 힘만 가해져도 결속된 한 쌍의 홀더가 비틀어져 그 형상이 변형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대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에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면과 단부가 서로 맞닿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그 내면에 자석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홀더에 외력이 발생할 경우 홀더가 비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 연결구의 내면에 암/수 연결관계를 갖는 돌기 및 연결홈을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결속되는 홀더가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즉, 체인 또는 와이어 형태로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의 양단에는 홀더가 각각 결속되고, 상기 각 홀더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내면이 서로 맞닿는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구의 내면에는 서로 상반된 극성을 갖는 자석이 수용되도록 삽입홈과, 상기 각 연결구가 암/수 연결관계를 갖도록 돌기와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는 연결줄(110) 및 홀더(120a,1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줄(110)은 그 양단부에 홀더(120a,120b)가 각각 결속된다. 이때, 상기 연결줄(110)은 체인 또는 와이어의 형태로 신체에 착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홀더(120a,120b)는 그 양측에 각각 고리(G)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G)에 연결줄(110)의 양단부가 결속된다.
여기서, 일측 홀더(120a)는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연결구(121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21a)의 내면에는 소정의 자력을 갖는 자석(125a)이 수용되는 삽입홈(12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3a)의 인접한 일측에는 돌기(127a)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돌기(127a)의 외형과 동일한 내부구조를 갖는 연결홈(129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홀더(120a)의 하부에는 고리(G)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G)에는 장신구(P)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타측 홀더(120b)는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연결구(121b)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21b)의 내면에는 상기 일측 홀더(120a)의 자석(125a)과 상반되는 자력을 갖는 자석(125b)이 수용되는 삽입홈(123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3b)의 인접한 일측에는 연결홈(129b)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돌기(127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연결구(121a,121b)의 내면과 단부를 자력에 의해 서로 맞닿도록 부착할 경우 한 쌍의 홀더(120a,120b)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연결구(121a,121b)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원통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기 일측 홀더(120a)의 돌기(127a)는 타측 홀더(120b)의 연결홈(129b)에 삽입되고, 타측 홀더(120b)의 돌기(127b)는 일측 홀더(120a)의 연결홈(129a)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본 고안의 각 연결구는 자력에 의해 부착될 경우 원통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삼각, 사각 등과 같이 어떠한 형상으로도 그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고안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장신구(P)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연결줄(110)을 목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감은 후, 상기 연결줄(110)의 양단에 결속된 한 쌍의 홀더(120a,120b) 각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연결구(121a,121b)의 내면을 접촉시켜 연결구(121a,121b)가 원통형상이 되도록 하면, 상기 연결구(121a,121b)의 삽입홈(123a,123b)에 수용된 서로 상반된 극성을 갖는 자석(125a,125b)이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한다. 이때, 상기 일측 홀더(120a)의 돌기(127a)는 타측 홀더(120b)의 연결홈(129b)에 삽입되고, 타측 홀더(120b)의 돌기(127b)는 일측 홀더(120a)의 연결홈(129a)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120a,120b)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자력에 의해 결속된 홀더(120a,120b)가 틀어지지 않으며 또한, 상기 홀더(120a,120b)가 돌기(127a,127b) 및 연결홈(129a,129b)을 이용한 암/수 연결구조를 이루어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연결줄을 결속하는 한 쌍의 홀더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틀어지지 않으며,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장신구와 연결줄 및 홀더의 구성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와 그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연결구조 및 그 구성에 있어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홀더(120a)는 그 내측에 수용홈(124)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24)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124)과 연통을 이루는 삽입홈(1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23a)에는 소정의 자력을 갖는 자석(125a)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일측 홀더(120a)의 전면 일측에는 수용홈(124)과 연결되는 절개홈(126)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타측 홀더(120b)는 그 내측에 삽입홈(123b)이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는 연결바(128)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3b)에는 소정의 자력을 갖는 자석(125b)이 삽입/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125b)은 일측 홀더(120a)의 자석(125a)과 서로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상기 타측 홀더(120b)에 일측 홀더(120a)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바(128)를 형성하여 일측 홀더(120a)와 타측 홀더(120b)를 탈 착시 연결바(128)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한 쌍의 홀더에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면이 서로 맞닿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자석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홀더에 외력이 발생할 경우 홀더가 비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연결구의 내면에 암/수 연결관계를 갖는 돌기 및 연결홈을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결속되는 홀더가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연결줄 120a,120b : 홀더
121a,121b : 연결구 123a,123b : 삽입홈
125a,125b : 자석 127a,127b : 돌기
128 : 연결바 129a, 129b : 연결홈
P : 장신구 G : 고리

Claims (1)

  1. 체인 또는 와이어 형태로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110)의 양단에는 홀더(120a,120b)가 각각 결속되고,
    상기 각 홀더(120a,120b)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내면과 단부가 서로 맞닿는 연결구(121a,121b)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구(121a,121b)의 내면에 서로 상반된 극성을 갖는 자석(125a,125b)이 수용되도록 삽입홈(123a,123b)과, 상기 각 연결구(121a,121b)가 암/수 연결관계를 갖도록 돌기(127a,127b) 및 연결홈(129a,129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KR20-2005-0004903U 2005-02-24 2005-02-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KR200384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03U KR200384716Y1 (ko) 2005-02-24 2005-02-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03U KR200384716Y1 (ko) 2005-02-24 2005-02-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716Y1 true KR200384716Y1 (ko) 2005-05-17

Family

ID=4368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903U KR200384716Y1 (ko) 2005-02-24 2005-02-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7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4938A1 (en) * 2007-01-29 2008-08-07 Barbara Zucker-Pinchoff Magnetic clasp
KR200468991Y1 (ko) 2013-05-15 2013-09-10 임지은 장신구용 커넥터
KR101535640B1 (ko) * 2015-04-16 2015-07-13 (주)렉스다이아몬드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869202B1 (ko) * 2017-09-13 2018-07-19 서민영 악세서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4938A1 (en) * 2007-01-29 2008-08-07 Barbara Zucker-Pinchoff Magnetic clasp
KR200468991Y1 (ko) 2013-05-15 2013-09-10 임지은 장신구용 커넥터
KR101535640B1 (ko) * 2015-04-16 2015-07-13 (주)렉스다이아몬드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869202B1 (ko) * 2017-09-13 2018-07-19 서민영 악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0452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KR200384716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KR101330153B1 (ko) 끈 형상의 액세서리 체결구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CN102300483B (zh) 装饰品用卡扣
JP3228989U (ja) 装身具用チェーン連結具
JP2008000209A (ja) 装身具
KR200269731Y1 (ko) 장신구의 연결장치
EP2227976A1 (en) Accessory Coupling Having Chain
KR200304316Y1 (ko) 목걸이
US20060123845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KR200409102Y1 (ko) 금속장신구용 마그네틱폴더
KR200427099Y1 (ko) 악세사리 줄 체결구
KR200375854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KR200338512Y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294186Y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0174881Y1 (ko) 목걸이
KR200210233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KR200266375Y1 (ko) 다용도 장신구
KR101466040B1 (ko) 장신구용 체인의 연결구조
KR200219955Y1 (ko) 장식줄의 연결구
KR200465690Y1 (ko) 장신구 모듈
KR100781752B1 (ko) 형상 변형이 가능한 악세사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