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91Y1 - 장신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991Y1
KR200468991Y1 KR2020130003835U KR20130003835U KR200468991Y1 KR 200468991 Y1 KR200468991 Y1 KR 200468991Y1 KR 2020130003835 U KR2020130003835 U KR 2020130003835U KR 20130003835 U KR20130003835 U KR 20130003835U KR 200468991 Y1 KR200468991 Y1 KR 200468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hain
fixture
rotating body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은
Original Assignee
임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은 filed Critical 임지은
Priority to KR2020130003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09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of the ring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84Accessori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기둥의 형상을 이루며 양 끝단에 원기둥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형성하는 링이 형상을 갖고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체인 줄이 매달리는 제 1 고리부가 형성된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제 2 고리부가 형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과 결속되는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체가 회전하여 장식물이 정면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장식물을 가지런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고정체에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을 결속시키는 것에 따라 목걸이 또는 반지로 혼용될 수 있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 사용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커넥터{connector for accessory}
본 고안은 장신구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이 결속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회전체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목이나 손가락에 착용하게 될 때 장식물이 정면을 향하게 되어 사용이 간편하며 목걸이 또는 반지로 혼용되어 사용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신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ring)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결혼과 같은 기념일에 그 뜻을 기리기 위한 징표로 전래적으로 애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장신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반지는 그 형태가 구조적으로 변형될 수 없는 링 타입이고, 금, 은, 백금과 같은 귀금속 재료에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사파이어와 같은 보석류를 부가시킴으로써 외관 및 디자인이 날로 고급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반지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의 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에 무늬를 형성하거나 몸체로부터 돌출되게 장식을 형성하는 장식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반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10)를 목걸이의 펜던트(pendant)로 사용하거나 또는 몸체(12)가 다수의 체인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체인 반지로 사용될 경우 목걸이 줄(또는 체인)(20)과 반지(10)에 꼬임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손에 반지(10)를 끼거나 목걸이 줄(20)에 반지(10)를 매달 경우 반지(10)와 목걸이 줄(체인)(20)의 꼬임을 풀어 장식물이 정면을 향하게 정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반지(10)를 목걸이 줄(20)에 연결하는 펜던트로 사용할 경우 반지(10)의 몸체(12)에 목걸이 줄(2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고리(14)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반지 특유의 링과 같은 미려한 형태를 잃어 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몸체로부터 장식물이 회전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장식물이 정면을 향하도록 정렬시킬 필요가 없는 장신구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반지와 목걸이에 혼용되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신구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원기둥의 형상을 이루며 양 끝단에 원기둥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형성하는 링이 형상을 갖고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체인 줄이 매달리는 제 1 고리부가 형성된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제 2 고리부가 형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선단 및 기단에 형성되며 끼움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이루며 원판의 형상을 갖는 폐쇄부 및 상기 폐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이 매달리는 제 1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체의 중앙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어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형성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제 2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 고리부는 결속부로부터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고정체로부터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일방향 회전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일방향 회전모듈은 상기 고정체의 외면과 마주하는 면에서 회전체의 내부를 향해 함몰된 수납 홈과, 상기 수납 홈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수납 홈의 입구 사이에 설치되며, 수납 홈에서 고정체를 향해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래칫에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에 의하면,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체인 줄이 결속되는 고정체를 중심으로 장식물을 매단 회전체가 회전되기 때문에 장식물이 정면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장식물을 가지런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는 고정체에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을 결속시키는 것에 따라 목걸이 또는 반지로 혼용될 수 있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 사용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지 목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의 사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 중 회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 중 일방향 회전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방향 회전모듈에 의한 회전체의 회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는 원기둥의 형상을 이루며 양 끝단에 원기둥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형성하는 링이 형상을 갖고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체인 줄이 매달리는 제 1 고리부(130)가 형성된 고정체(100) 및 상기 고정체(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고정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제 2 고리부(220)가 형성된 회전체(2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고정체(100)는 원통의 형상을 갖되 고정체(100)의 선단과 기단에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이 걸리는 제 1 고리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체(100)는 끼움부(110), 폐쇄부(120), 제 1 고리부(1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끼움부(11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끼움부(1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전체(200)의 결속부(210)와 조립되어 상기 끼움부(110)를 중심으로 회전체(20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폐쇄부(120)는 끼움부(110)의 선단 및 기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폐쇄부(120)는 원판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폐쇄부(120)는 끼움부(11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끼움부(110)에 회전체(200)의 결속부(210)가 조립되었을 때 결속부(210)가 끼움부(110)의 선단 또는 기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리부(130)는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제 1 고리부(130)의 선단은 폐쇄부(120)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기단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제 1 고리부(130)는 타단이 폐쇄부(120)의 외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폐쇄부(120)와 제 1 고리부(130)의 타단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 1 고리부(130)의 타단과 폐쇄부(120)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개구를 통해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에 형성된 고리가 끼워져 제 1 고리부(130)에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이 매달리게 된다.
즉, 상기 제 1 고리부(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목걸이 줄의 선단 및 기단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의 선단 및 기단이 각각 끼움부(110)의 선단 및 기단에 형성된 제 1 고리부(130)에 결속되어 사용자의 목 내지 사용자의 손가락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고리부(130)는 금, 은을 포함하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연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고리부(130)에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과 결속될 때 제 1 고리부(13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목걸이 줄 또는 체인 줄이 제 1 고리부(130)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 개방된 제 1 고리부(130)의 일측이 폐쇄되도록 외력을 가해 제 1 고리부(130)의 일측을 폐쇄시켜 목걸이 줄 또는 체인 줄이 제 1 고리부(13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결속시키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고리부(130)의 타단이 폐쇄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의 선단 및 기단에 후크의 형상을 갖되 후크의 개구가 필요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클램프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가 제 1 고리부(130)와 결속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정체(100)에는 고정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회전체(200)가 조립된다. 즉, 상기 회전체(200)는 고정체(100)의 중앙(끼움부)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어 고정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결속부(210) 및 결속부(210)에 형성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제 2 고리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부(210)는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고정체(100)의 끼움부(110) 둘레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갖게 되며, 결속부(210) 중 일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끼움부(110)가 결속부(2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결속부(210)는 앞서 설명한 제 1 고리부(130)와 마찬가지로 연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끼움부(110)가 결속부(2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 후에는 결속부(210)가 폐쇄되도록 외력을 가해 결속부(210)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고리부(220)는 링의 형상을 갖는 결속부(210)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둥글게 말린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고리부(220)는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제 2 고리부(220)의 선단은 결속부(210)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기단이 둥글게 말린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제 2 고리부(220)의 기단은 결속부(210)의 외면과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결속부(210)의 외면과 제 2 고리부(220)의 기단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 2 고리부(220)의 기단과 결속부(210)의 외면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개구를 통해 장식물을 매달은 연결 줄 또는 장식물 자체에 형성된 고리를 제 2 고리부(220)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 제 2 고리부(220)에 외력을 가해 개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 2 고리부(220)는 제 1 고리부(130) 또는 결속부(210)와 마찬가지로 금, 은을 포함하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연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의 사용을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의 사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체(100)의 끼움부(110)에 회전체(200)의 결속부(210)가 결속되면, 상기 회전체(200)가 끼움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200)는 끼움부(110)의 양측에 형성된 폐쇄부(120)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한 쌍의 폐쇄부(120) 내에서 끼움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체(100)의 제 1 고리부(130) 양쪽에 목걸이 줄(20)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30)이 결속된다. 도 4에서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30)이 결속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30)은 다수의 체인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사슬의 형태를 갖게 되며, 이러한 체인 줄(30)의 선단 및 기단이 고정체(100)의 양쪽에 형성된 제 1 고리부(130)와 각각 결속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인 줄(30)이 끼워져 반지를 형성하게 되며 체인 줄(30)을 대신하여 제 1 고리부(130)에 목걸이 줄(20)을 결속시키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회전체(200)의 제 2 고리부(220)에는 장식물(300)을 매달은 연결 줄 또는 장식물 자체에 형성된 고리를 결속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체(200)의 결속부(210)는 고정체(100)의 끼움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제 1 고리부(130)에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30)을 걸고 사용자가 목 또는 손가락에 착용하게 되는 경우 제 2 고리부(220)에 매달린 장식물(300)의 무게에 의해 장식물(300)이 하부를 향해 늘어지면서 정면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장식물(300)을 가지런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고리부(130)에 목걸이 줄(20)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 줄(30)을 결속시키는 것에 따라 목걸이 또는 반지로 혼용될 수 있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 사용자의 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회전체(200)의 제 2 고리부(220)가 결속부(210)로부터 회전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회전체(200)가 고정체(100)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 중 회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2 고리부(220)가 결속부(210)로로부터 회전되도록 제 2 고리부(220)와 결속부(210)는 이원화된다.
부연하자면, 결속부(210)는 고정체(100)의 끼움부(110) 둘레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링의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 2 고리부(220)는 결속부(210)와 별개로 형성된 링의 형태를 갖되 제 2 고리부(220)의 외면에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연장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2)의 끝단에는 연장부(22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걸림부(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속부(210)의 외면에는 앞서 설명한 제 2 고리부(220)의 연장부(222) 및 걸림부(224)의 외형에 부합하는 홈(212)이 형성되어 연장부(222) 및 걸림부(224)가 결속부(210)에 형성된 홈(2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결속부(210)의 외면에 형성된 홈(212)에 제 2 고리부(220)의 연장부(222) 및 걸림부(224)가 삽입되면, 제 2 고리부(220)가 연장부(22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어 제 2 고리부(220)의 회전만으로 장식물(300)이 정면을 향하도록 정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커넥터 중 일방향 회전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방향 회전모듈에 의한 회전체의 회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체(100)로부터 회전체(200)가 한쪽 방향만으로 회전되도록 회전체(200)에는 일방향 회전모듈(2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일방향 회전모듈(230)은 결속부(210)에 형성되는 수납 홈(231), 탄성부재(232), 스토퍼(233) 및 고정체(100)의 끼움부(110)에 형성되는 래칫(14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수납 홈(231)은 회전체(200)의 결속부(210)에 형성되는 것으로 결속부(210)의 내면에서 결속부(21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된 형태를 갖고, 수납 홈(231)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32)가 장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32)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수납 홈(231)의 내부로 인입 또는 수납 홈(231)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233)가 수납 홈(23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수납 홈(231)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233)는 고정체(100)의 끼움부(110) 둘레에 형성된 래칫(140)과 맞물리게 된다.
이때, 래칫(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10)의 외면 중 일측 방향으로 점진적인 경사를 이루어 스토퍼(233)가 타고 넘을 수 있는 제 1 경사면(142)이 형성되고, 제 1 경사면(142)이 끝나는 지점에서 수직을 이루어 스토퍼(233)가 걸림되는 제 2 경사면(1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체(100)의 끼움부(110)에 래칫(140)이 형성되고, 회전체(200)의 결속부(210)에 일방향 회전모듈(230)이 구비되면, 회전체(2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스토퍼(233)가 제 1 경사면(142)에 안내되면서 수납 홈(231)의 내부로 인입되고, 이때 탄성부재(232)는 압축되어 회전체(200)가 일측 방향으로 무리없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회전체(20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스토퍼(233)가 제 2 경사면(144)에 걸림됨으로써, 회전체(200)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결국 회전체(200)는 고정체(100)의 끼움부(110)를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타측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장식물(300)을 매단 회전체(200)가 고정체(100)의 끼움부(110)에서 임의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회전체(200)가 끼움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사용자는 회전체(200)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장식물(300)이 정면을 향하도록 정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10 : 반지 12 : 몸체
14 : 고리 20 : 목걸이 줄
30 : 체인 줄 100 : 고정체
110 : 끼움부 120 : 폐쇄부
130 : 제 1 고리부 140 : 래칫
142 : 제 1 경사면 144 : 제 2 경사면
200 : 회전체 210 : 결속부
212 : 홈 220 : 제 2 고리부
222 : 연장부 224 : 걸림부
230 : 일방향 회전모듈 231 : 수납 홈
232 : 탄성부재 233 : 스토퍼
300 : 장식물

Claims (6)

  1. 원기둥의 형상을 이루며 양 끝단에 원기둥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형성하는 링의 형상을 갖고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체인이 매달리는 제 1 고리부가 형성된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제 2 고리부가 형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선단 및 기단에 형성되며 끼움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이루며 원판의 형상을 갖는 폐쇄부; 및
    상기 폐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목걸이 줄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체인이 매달리는 제 1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체의 중앙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조립되어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형성되며 장식물이 매달리는 제 2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리부는 결속부로부터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고정체로부터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일방향 회전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모듈은,
    상기 고정체의 외면과 마주하는 면에서 회전체의 내부를 향해 함몰된 수납 홈;
    상기 수납 홈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수납 홈의 입구 사이에 설치되며, 수납 홈에서 고정체를 향해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래칫;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커넥터.
KR2020130003835U 2013-05-15 2013-05-15 장신구용 커넥터 KR200468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35U KR200468991Y1 (ko) 2013-05-15 2013-05-15 장신구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35U KR200468991Y1 (ko) 2013-05-15 2013-05-15 장신구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991Y1 true KR200468991Y1 (ko) 2013-09-10

Family

ID=5139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35U KR200468991Y1 (ko) 2013-05-15 2013-05-15 장신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03B1 (ko) * 2015-08-17 2016-01-26 박현진 목걸이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89U (ko) * 1989-03-20 1991-02-25
KR20020064148A (ko) * 2002-01-08 2002-08-07 정덕수 장신구용 잠금장치
KR200384716Y1 (ko) 2005-02-24 2005-05-17 이복순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89U (ko) * 1989-03-20 1991-02-25
KR20020064148A (ko) * 2002-01-08 2002-08-07 정덕수 장신구용 잠금장치
KR200384716Y1 (ko) 2005-02-24 2005-05-17 이복순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03B1 (ko) * 2015-08-17 2016-01-26 박현진 목걸이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50496A1 (en) Multi-Use Jewelry Device
US3983716A (en) Jewelry lock with at least one hitch for suspending pieces of jewelry
NZ544823A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to allow ornamental members to be seperated from each other and not "bunch up"
US20180360174A1 (en) Jewelry device and assembly
US20140182332A1 (en) Piece Of Jewelry
US20160066671A1 (en) Ponytail Styling Tool and Hair Strand Attachment
US20150101364A1 (en) Jewel Shall Clasp Protector
US11278086B2 (en) Necklace shortener
KR200468991Y1 (ko) 장신구용 커넥터
US20160302537A1 (en) Necklace and bracelet with multiple detachable necklace and bracelet strand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497636A (en) Necklace shortening and faste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30421944A1 (en) Ear-fitting headphon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US10258133B2 (en) Decorativ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ons
US20140311520A1 (en) Hair accessory
US7188493B2 (en) Jewelry for receiving rings
US20060037358A1 (en) Charm holder
KR101173074B1 (ko) 장신구
KR200473269Y1 (ko) 진주머리띠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CN209915190U (zh) 一种饰品卡扣结构
JP5819720B2 (ja) 装身具
CN209376889U (zh) 一种新型双向首饰扣
US20150198282A1 (en) Portable Adjustable Storage Apparatus
KR200468837Y1 (ko) 목걸이 겸용 팔찌
CN206596740U (zh) 一种首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