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731Y1 - 장신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31Y1
KR200269731Y1 KR20010033977U KR20010033977U KR200269731Y1 KR 200269731 Y1 KR200269731 Y1 KR 200269731Y1 KR 20010033977 U KR20010033977 U KR 20010033977U KR 20010033977 U KR20010033977 U KR 20010033977U KR 200269731 Y1 KR200269731 Y1 KR 200269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onnecting portion
connection
jewelry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33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선
Original Assignee
여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운선 filed Critical 여운선
Priority to KR20010033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착용시 용이하게 결착이 가능한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목걸이 장착 시 체인의 상태가 꺾어지거나 꼬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목걸이 또는 팔찌로 사용되는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체인의 한쪽 끝이 연결되는 제1의 연결부, 제1의 연결부에 상기 체인을 삽입하기 위한 조작편, 조작편에 의해 체인이 제1의 연결부에 연결된 후,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과 체인의 다른 쪽 끝에 결합된 제2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제1의 연결부와 제2의 연결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1의 연결부 또는 제2의 연결부의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체인의 꼬임이나 꺾어짐을 풀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장신구의 연결장치{Connection structure for ornaments}
본 고안은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착용 시 용이하게 결착이 가능한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거나 미를 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신구로서 목걸이, 팔찌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장신구에 있어서는 디자인이나 장신구에 사용되는 보석의 종류도 중요하지만 이 장신구를 체결하는 수단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전체적인 장신구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목걸이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목걸이의 양단에 마련된 연결장치를 양손으로 잡고, 양손을 뒤쪽으로 하여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감각에 의해 연결시켜야 하므로, 목걸이의 연결에 다소 시간이 소요되고, 목걸이의 연결이 불안전한 경우 분실의 우려도 있었다.
또한, 장신구로서 팔찌를 연결하는 경우, 한쪽 손으로만 연결해야 하므로, 그 연결에 더욱 세심해야 했다.
종래의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내부구조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신구의 연결장치의 조작상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목걸이 줄의 한쪽 끝이 결합되도록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이고, (2)는 목걸이 줄의 다른 쪽 끝에 결합되도록 연결부재(2)의 상부에 마련된 관통 구멍이다.
(3)은 연결부재(1)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결부재(1)의 단부에 당접하여 목걸이 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고, (4)는 이탈방지편(3)과 일체로 마련된 조작편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편(3)과 조작편(4)은 일체로 마련되어 탄성부재(5)를 형성하고, 이 탄성부재(5)의 중앙부 양면에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3)의 내부의 양면에 마련된 2개의 홈(10)에 끼워 맞춰지는 돌기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9)는 연결부재(1)내에 탄성부재(5)가 삽입되는 통과부이다.
또, 탄성부재(5)의 내부의 한쪽 면에는 돌기부(6)에 장착되어 탄성부재(5)의 탄성을 유지시키는 스프링(7)을 내장하는 홈(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장신구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편(4)을 사용자의 손톱으로 들어올려 이탈방지편(3)을 U자형 연결부재(1)의 안쪽으로 끌어당기고, 이로 인해 발생한 공간 S내로 목걸이 줄의 다른 한쪽을 삽입하고, 사용자가 조작편(4)을 놓는 것에 의해 도 1의 상태로 되어 목걸이 줄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연결부재(1)내에 관통 구멍(2)이 마련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목걸이 줄 또는 팔찌 줄(이하, "체인"이라 한다)이 견고한 경우, 이 체인이 꼬여 꺾여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사용자가 대단히 세심하게 연결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장신구의 사용자가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도 4에 도시한 형태로 하기 전에 미리 체인의 상태가 꺾어지거나 꼬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해야 하고, 또한 한번의 작업으로 장신구를 연결시켜야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영구자석을 이용한 장신구의 연결장치가 제시되기도 하지만, 영구자석의 경우 그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영구자석의 자력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걸이 또는 팔찌의 연결시, 체인의 꺾임이나 꼬임의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1의 연결부와 제2의 연결부 사이의 목부에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것이 감기지 않는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의 관통 구멍에 체인의 결합이 용이한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처를 입지 않는 안전한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의 연결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내부구조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내부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신구의 연결장치의 조작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장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신구 연결장치의 제2의 연결부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장신구 연결장치의 제1의 연결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제1의 연결부 42 : 목부
43 : 제2의 연결부 44 : 관통 구멍
45 : 머리부 46 : 이탈 방지편
47 : 조작편 48 : 삽입부
41, 51 : 고리 53, 63 : 몸체
55, 65 : 구형부 57, 67 : 평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는 목걸이 또는 팔찌로 사용되는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한쪽 끝이 연결되는 제1의 연결부, 상기 제1의 연결부에 상기 체인을 삽입하기 위한 조작편, 상기 조작편에 의해 상기 체인이 상기 제1의 연결부에 연결된 후, 상기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과 상기 체인의 다른 쪽 끝에 결합된 제2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연결부와 상기 제2의 연결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결부는 상기 제2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목부와 상기 제2의 연결부가 상기 제1의 연결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연결부는 상기 체인의 다른 쪽 끝이 결합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제1의 연결부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결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결부의 상부와 제2의 연결부의 하부에 각각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몸체는 몸체가 회전할 때 서로 마찰하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된 각각의 평면부를 갖고, 평면부의 주위는 구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폭보다 길이가 긴 구멍이나, 타원의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각 부위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장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신구 연결장치의 제2의 연결부의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40)은 도시하지 않은 목걸이 또는 팔찌로 사용되는 체인의 한쪽 끝이 연결되는 제1의 연결부이고, (43)은 체인의 다른 쪽 끝에 결합되는 제2의 연결부이다. 즉, 이 제2의 연결부(43)에 결합되는 체인의 다른 쪽 끝은 제2의 연결부(43)와 분리 가능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41)은 제1의 연결부(40)에 형성된 고리이고, (42)는 제2의 연결부(43)가 삽입되어 360°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목부[목부(42)의 구조는 도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이며, (44)는 체인의 다른 쪽 끝을 제2의 연결부(43)에 결합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이며, (45)는 제2의 연결부(43)가 제1의 연결부(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이다. 이 제1의 연결부(40)와 목부(42)와 머리부(45)는 금형으로 제작된 주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46)은 제1의 연결부(40)에 체인이 연결된 후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이고, (47)은 체인을 제1의 연결부(40)에 연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조작편이다. 이 이탈 방지편(46)과 조작편(47)이 제1의 연결부(40)에 장착되는 구조 및 그 조작 방법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6에 따라 도 5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의 (a)는 도 5의 제2의 연결부(43)를 설명하기 위해 분리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b), (c) 및 (d)는 제2의 연결부(43)의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의 (a)에 있어서, 제2의 연결부(43)는 관통 구멍(44)을 갖는 고리(51)가 몸체(53)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44)의 형상은 원호일 수도 있으나, 제1의 연결부(40)와 제2의 연결부(43)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관통 구멍(44)에 체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타원의 원호 형상이나, 관통 구멍의 폭보다 길이를 길게 한 구멍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연결부(43)의 몸체(53)에는 제1의 연결부(40)의 머리부(45)와 목부(42)가 관통하는 삽입부(48)가 마련되고, 몸체(53)의 제1의 연결부(40)와 접하는 방향의 표면은 대략 반구형의 형태를 갖는 구형부(55)와 이하에서 설명될 제1의 연결부(40)의 몸체(63)와 접하는 면을 평면으로 만든 평면부(57)로 이루어진다.
삽입부(48)의 내경은 목부(4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머리부(45)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제1의 연결부(40)와 제2의 연결부(43)가 각각 독립적으로 360°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도 7은 제1의 연결부(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연결장치에서 제2의 연결부(43)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제1의 연결부(40)는 몸체(63)와 목부(42)를 통하여 이어지는 머리부(45)가 금형으로 제작된 주물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다.
몸체(63)는 제2의 연결부(43)의 몸체(53)가 갖는 표면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몸체(63)의 표면은 대략 반구형의 형태를 갖는 구형부(65)와 제2의 연결부(43)의 몸체(53)와 접하는 면을 평면으로 만든 평면부(67)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제1의 연결부(40)의 몸체(63)와 제2의 연결부(43)의 몸체(53)가 서로 접하는 면을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의 연결부(40)와 제2의 연결부(43)가 각각 독립적으로 360° 회전하여도 양쪽의 몸체가 맞닿는 부분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양 연결부(40)(43)가 접하는 쪽의 부분을 각각 구형으로 함으로써, 평면부(57)와 평면부(67)가 접하는 면적을 줄여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것이 목부(42)에 감겨져도 쉽게 풀려나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점선의 원호로 도시된 A, A', B, B', C, C'의 부분은 모서리가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 부분을 예리한 모서리가 되지 않도록 둥글게 형성하고 있다.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모서리부에 의해 목걸이나 팔찌 등 장신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상처를 입지 않게 되는 것이다.
삽입부(48)에 머리부(45)를 삽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먼저, 제1의 연결부(40)의 목부(42)와 머리부(45)를 금형으로 제작된 주물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때, 머리부(45)의 외경을 삽입구(48)의 내경에 거의 근접하도록 형성한다.
다음에, 제1의 연결부(40)와 제2의 연결부(43)의 결합 과정시, 삽입부(48)의 내경에 근접한 외경을 갖는 머리부(45)를 삽입부(48)에 삽입한 후, 프레스 등을 이용한 타격 작업으로 단번에 결합되게 한다.
이 타격 작업에 의해, 머리부(45)의 외경이 삽입부(48)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조립 후, 제1의 연결부(40)와 제2의 연결부(43)는 360° 회전 가능하게 되지만,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안출된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삽입부(48)의 내경에 근접한 외경을 갖는 머리부(45)를 삽입부(48)에 삽입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삽입부(48)의 내경보다 다소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45)를 마련하여 순간 타격 작업으로 삽입시켜 제1의 연결부(40)와 제2의 연결부(43)를 결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1의 연결부(40)와 제2의 연결부(43)가 360° 회전 가능하지만,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목걸이 또는 팔찌의 장착시 체인의 상태가 꺾어지거나 꼬여진 경우, 제1의 연결부(40) 또는 제2의 연결부(43)의 어느 하나를 360° 회전시켜 체인의 꼬임이나 꺾어짐을 풀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의 연결부의 몸체와 제2의 연결부의 몸체 사이의 목부에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것이 감기지 않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장신구의 연결장치의 관통 구멍에 체인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를 둥글게 하여 사용자가 장신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 진다.

Claims (6)

  1. 목걸이 또는 팔찌로 사용되는 체인의 양쪽 끝을 연결하는 장신구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한쪽 끝이 연결되는 제1의 연결부,
    상기 제1의 연결부에 상기 체인을 삽입하기 위한 조작편,
    상기 조작편에 의해 상기 체인이 상기 제1의 연결부에 연결된 후, 상기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편과
    상기 체인의 다른 쪽 끝에 결합된 제2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연결부와 상기 제2의 연결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결부는 상기 제2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목부와 상기 제2의 연결부가 상기 제1의 연결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의 연결부는 상기 체인의 다른 쪽 끝이 결합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제1의 연결부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결부, 상기 목부와 상기 머리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결부의 상부와 상기 제2의 연결부의 하부에 각각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몸체가 회전할 때 서로 마찰하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된 각각의 평면부를 갖고, 상기 평면부의 주위는 구형으로 형성된 구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폭보다 길이가 긴 구멍이거나, 타원의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결부와 상기 제2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각 부위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연결장치.
KR20010033977U 2001-11-06 2001-11-06 장신구의 연결장치 KR200269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3977U KR200269731Y1 (ko) 2001-11-06 2001-11-06 장신구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3977U KR200269731Y1 (ko) 2001-11-06 2001-11-06 장신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731Y1 true KR200269731Y1 (ko) 2002-03-25

Family

ID=4113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3977U KR200269731Y1 (ko) 2001-11-06 2001-11-06 장신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7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956A1 (en) * 2007-11-27 2009-06-04 Sung-Wan Park Accessories for indication
WO2011049934A2 (en) * 2009-10-20 2011-04-28 Urban David 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KR101762409B1 (ko) * 2015-07-24 2017-08-04 이지윤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956A1 (en) * 2007-11-27 2009-06-04 Sung-Wan Park Accessories for indication
WO2011049934A2 (en) * 2009-10-20 2011-04-28 Urban David 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WO2011049934A3 (en) * 2009-10-20 2011-09-29 Urban David 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KR101762409B1 (ko) * 2015-07-24 2017-08-04 이지윤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10057A1 (en) Necklace mount
JP3519395B2 (ja) 装身具用連結金具
KR200269731Y1 (ko) 장신구의 연결장치
CN106174925A (zh) 易于连结的饰品用结合装置
KR101837024B1 (ko) 장신구용 착용줄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KR200384716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JP2018038470A (ja) 装身具
CN102300483B (zh) 装饰品用卡扣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CN210184726U (zh) 手镯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CN202800391U (zh) 一种扣子
KR200327865Y1 (ko) 귀고리
JP3236038U (ja) ピアス
KR200233862Y1 (ko) 장신구
CN215381912U (zh) 一种硅胶内环锁链扣的手链
JP3246997U (ja) 装身具用留め具および装身具
KR200266375Y1 (ko) 다용도 장신구
CN210492926U (zh) 戒指
JP3118666U (ja) ペンダントトップを有するネックレス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200362214Y1 (ko) 팔찌
KR100655835B1 (ko) 스프링 링 체결구
KR200260669Y1 (ko) 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