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854Y1 -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854Y1
KR200375854Y1 KR20-2004-0033206U KR20040033206U KR200375854Y1 KR 200375854 Y1 KR200375854 Y1 KR 200375854Y1 KR 20040033206 U KR20040033206 U KR 20040033206U KR 200375854 Y1 KR200375854 Y1 KR 200375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connection
connecting line
holder
hol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순
Original Assignee
이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순 filed Critical 이복순
Priority to KR20-2004-0033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005Making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메달을 목에 걸기 위한 연결줄의 양단에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내측에 서로 다른 극성이 맞닿도록 자석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즉, 체인 또는 와이어 형태 등으로 된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의 양측단을 결속하기 위하여 연결줄의 양단에 홀더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홀더에는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 자석을 서로 맞닿게 삽입/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CONNECTION FOR NECK ACCESSARY CHAIN }
본 고안은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용 메달을 목에 걸기 위한 연결줄의 양단에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내측에 서로 다른 극성이 맞닿도록 자석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사람들의 신체 특정부위, 예를 들어서 귀, 목, 혹은 코 등의 부위에 금 혹은 가타 다른 금속 및 보석류를 부착하여서 사용자의 외관이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조 기구물이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장신구중 목, 손목 및 발목 등에 착용하는 장신구는 장신용 메달이 연결줄을 통해 신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줄의 양측 단부에는 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고리가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할 내용은 연결줄의 단부에 구비되어 연결줄을 연결하기 위한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장신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는 연결줄(10)의 일측단부에 링(30)이 연결되고, 그 타측단부에 상기 링(30)에 체결을 이루기 위한 연결고리(2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고리(20)의 일측단부에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회동하여 상기 연결고리(20)가 링(3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연결고리(20)의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한 힌지핀(40)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고리(2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손으로 연결고리(20)의 힌지핀(4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링(30)을 잡고 링(30)에 형성된 공에 상기 연결고리(20)를 연결하여 착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발목에서는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나, 손목에 연결고리를 착용할 경우 착용하기 위한 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만을 이용하여 링에 연결고리를 연결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없으며, 또한, 목에 장신구를 착용할 경우 양손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링과 연결고리를 눈으로 볼 수 없어 작은 크기의 링에 연결고리를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외부에서 보여짐으로써, 외관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장신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하면, 상기 연결줄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고리가 일정한 위치에 있지 않고 함께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대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식용 메달을 목에 걸기 위한 연결줄의 양단에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내측에 서로 다른 극성이 맞닿도록 자석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즉, 체인 또는 와이어 형태 등으로 된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의 양측단을 결속하기 위하여 연결줄의 양단에 홀더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홀더에는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 자석을 서로 맞닿게 삽입/설치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결줄(110); 상기 연결줄(110)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홀더(120a,120b) 및 상기 홀더(120a)에 연결되어 전면에 보석 및 장식물이 부착된 장식용 메달(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줄(110)은 체인 또는 와이어의 형태로 신체에 착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쌍의 홀더(120a,120b)는 상기 연결줄(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일측이 개구된 수용홈(121a,121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수용홈(121a,121b)에는 서로 상반되는 극성이 맞닿도록 자석(123a,123b)이 삽입/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120a,120b)는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석(123a,123b)은 수용홈(121a,121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억지끼워맞춤 형식으로 삽입/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홀더(120a,120b)중 일측 홀더(120a)의 하부에는 전면에 보석 및 장식물이 부착된 장식용 메달(130)을 링에 의해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G)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홀더(120a,120b)의 외주연에는 홀더(120a,120b) 자체가 장신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석 및 장식물이 결합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고안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의 A-A선 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먼저,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연결줄(110)을 목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감은 후, 상기 연결줄(110)의 양단에 형성된 한쌍의 홀더(120a,120b)를 서로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한쌍의 홀더(120a,120b)를 밀착시키면, 홀더(120a,120b)내에 삽입/설치된 자석(123a,123b)이 자력에 의해 부착력을 발생하여 한쌍의 홀더(120a,120b)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자력에 의해 장신구를 탈/부착함으로써, 장신구를 신체의 어떤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장신구를 신체의 어떤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장식용 메달과 연결줄 및 홀더의 구성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홀더(120a,120b)중 일측 홀더(120a)에는 자석(123a)이 매몰되어 홈부(125)가 형성되고, 타측 홀더(120b)에는 자석(123b)이 돌출되어 상기 타측 홀더(120b)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홀더(120a,120b)가 자력에 의해 부착할 경우 돌출된 자석(123b)이 상기 홈부(125)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홀더(120a,120b)가 암/수 연결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부착된 한쌍의 홀더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는 장식용 메달을 목에 걸기 위한 연결줄의 양단에 자석이 삽입/설치된 홀더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줄을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홀더가 자체적으로 장식물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장신구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석이 내장된 홀더가 그 자체 중량을 갖게 됨으로써, 장신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이동시에도 홀더가 이동하지 않고 항시 일정한 위치 즉, 목에 착용할 경우 가슴부위에 놓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연결줄 120a,120b : 홀더
121a,121b : 수용홈 123a,123b : 자석
125 : 홈부 130 : 장식용 메달

Claims (3)

  1. 체인 또는 와이어 형태 등으로 된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110)의 양측단을 결속하기 위하여 연결줄(10)의 양단에 홀더(120a,120b)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홀더(120a,120b)에는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 자석(123a,123b)을 서로 맞닿게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홀더(120a,120b)중 일측 홀더(120a)의 하부에는 전면에 보석 및 장식물이 부착된 장식용 메달(130)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홀더(120a,120b)중 일측 홀더(120a)에는 자석(123a)이 매몰되어 홈부(125)가 형성되고, 타측 홀더(120b)에는 상기 홈부(125)에 삽입/연결되도록 자석(123b)이 돌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KR20-2004-0033206U 2004-11-24 2004-11-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KR200375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206U KR200375854Y1 (ko) 2004-11-24 2004-11-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206U KR200375854Y1 (ko) 2004-11-24 2004-11-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854Y1 true KR200375854Y1 (ko) 2005-03-11

Family

ID=4367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206U KR200375854Y1 (ko) 2004-11-24 2004-11-24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8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9725A (en) Jewelry closure having a magnetic clasp with safety features
US5505061A (en) Jewelry article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1837024B1 (ko) 장신구용 착용줄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KR200375854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KR200384716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JP3228989U (ja) 装身具用チェーン連結具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KR20090039288A (ko) 체결용 보조텐션을 갖는 귀걸이
KR200409102Y1 (ko) 금속장신구용 마그네틱폴더
KR100916516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반지와 팔찌 커플링 장치
KR20050032633A (ko)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200210209Y1 (ko) 장신용 줄의 연결고리
KR200168567Y1 (ko) 장신구
CN215219334U (zh) 一种眼镜绳
KR200338251Y1 (ko)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100916514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KR200380111Y1 (ko) 악세사리가 구비된 안경
KR200325072Y1 (ko) 목걸이의 연결고리
KR200467928Y1 (ko) 장신구 모듈
KR200396512Y1 (ko) 귀걸이
KR200340218Y1 (ko) 클립형 장신구 시계
KR200380110Y1 (ko) 악세사리가 구비된 안경
KR200429720Y1 (ko) 귀걸이 장신구의 연결고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