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251Y1 -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 Google Patents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251Y1
KR200338251Y1 KR20-2003-0031048U KR20030031048U KR200338251Y1 KR 200338251 Y1 KR200338251 Y1 KR 200338251Y1 KR 20030031048 U KR20030031048 U KR 20030031048U KR 200338251 Y1 KR200338251 Y1 KR 200338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gnet
bracelet
conca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순정
Original Assignee
신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순정 filed Critical 신순정
Priority to KR20-2003-0031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에 관한 것으로, 자석을 이용하여 팔찌를 1차 체결하고 체결돌기와 체결홈 및 스프링을 이용해 2차 체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자석을 이용하여 팔찌를 쉽고 용이하게 체결하는 효과가 있으며, 체결홈과 체결돌기의 이중체결장치 및 스프링을 체결부와 장식부에 설치함으로써 더욱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팔찌의 양단을 결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Bracelet which it hac duplex contracting eqipment}
본 고안은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팔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팔찌의 체결구에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자석 체결시 용이하게 결착하면서 또한 체결돌기와 체결홈을 더 장착하여 2중의 체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이 편리하고 견고한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팔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에는 단순히 끈이나 얇은 줄형태의 소형이고 저렴한 악세서리 팔찌와 팔찌에 다양하고 화려한 문양을 넣는 대형이고 고급인 팔찌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본 고안은 팔찌에 다양하고 화려한 문양을 넣는 대형이고 화려하며고급스러운 장식용 팔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팔찌는 양끝을 분리하여 손목에 차고 서로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자신의 개성을 나타나기 위해서 사용하는 팔찌에는 금이나 은으로 제작되는 고급 팔찌로 갈수록 더욱 고급화되고 있으며 장신구를 체결하는 수단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전체적인 목걸이와 조화를 이루어 미관상에도 아름다워야 한다.
대체적으로 팔찌의 연결고리수단들은 그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구체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제조원가는 많이 투입되면서도 또한 연결이 쉽게 분리되는 등제품의 질은 저하되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았다.
종래의 기술들을 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찌(100)의 양끝단부에 체인(110)이 각각 고정 설치되는데, 타단부의 체인(110)에는 핀(120)이 설치되고, 일단부의 체인(110)에는 크램핑부(130)와 결합시켜준 힌지핀(도면 미도시)이 회동중심을 이루며 설치된다.
상기 크램핑부(130)는 상기 핀(120)과 연결되며 선단부에 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된 연결편(140)과 상기 연결편(140)에 힌지핀(도면 미도시)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개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자(1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운동자(150)의 후단부에는 결합시 상기 연결편(140)의 홈에 착탈 결합될 돌기(16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목에 팔찌(100)를 착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팔찌(100)의 양끝단부인 체인(110)을 사용하여 손목에 위치시키고, 운동자(150)가 상기 핀(120)을 감싸면서 연결편(140)에 포개지도록 한 후, 상기 연결편(140)의 홈에 상기 운동자(150)의 돌기(160)를 착탈 결합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손목에 연결고리제품을 위치시켜 나머지 한손으로 연결시키게 될 경우,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연결장치를 연결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팔찌를 체결하면서 안정되고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악세사리의 양단을 쉽게 결착시키는 체결구도 개발되고 있다. 즉 일측에 극성이 다른 봉형의 영구자석을 장식줄이 연결하는 체결구에 원통형의 끼움부를 형성하여 체결구의 끼움부에 봉형의 자석을 압입하여 암수체결부재를 만들어 분할되어 악세사리 체결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봉형의 자석을 원통형의 끼움부가 형성된 체결구에 압입 고정하므로 장신구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석이 체결구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장신구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제 1목적은 자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팔찌를 체결하고 체결부를 요철형상으로 하여 자석이 체결구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며, 또한 체결돌기와 체결홈을 이용한 2중의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더욱 더 견고하게 팔찌가 체결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제2목적은 자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팔찌를 체결하고 또한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애 소정각도 이상 내부로 회전하지 않게 하여 자석이 체결구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팔찌체결수단.
도 2는 본 고안인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이중체결수단을 갖는 장식용 팔찌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부와 연결부의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본체부와 연결부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팔찌 10. 본체부
12, 22. (요철부) 13. 덮개
16. 스프링 20. 연결부
23. 고정핀 30. 체결부
33. 수체결부 36. 암체결부
31, 34. 자석 32. 체결돌기
33. 체결홈
상기의 제 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팔목에 체결되어 장식기능을 하는 장식용 팔찌(1)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일정길이 돌출된 함체형상이고, 양끝단에는 관통구(11)가 형성되는 오목한 요철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에 일측은 개폐가능하게 힌지축(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한쌍으로 결합고정된 걸림턱(17)을 형성하는 뚜겅(13)을 구비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와 고정핀(23)에 의해 힌지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핀(23)이 관통하는 관통구(21)가 형성되는 볼록한 요철부(22)를 구비하는 연결부(20)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석(31)을 구비하며 양측면에는 체결돌기(32)를 구비한 수체결부(33)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체결부(33)의 자석(31)에 대응하는 자석(34)을 구비하고 양측면에는 상기 수체결부(33)의 체결돌기(32)와 대응하는 체결홈(35)을 구비한 암체결부(36)를 포함하는 체결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팔목에 체결되어 장식기능을 하는 장식용 팔찌(1)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일정길이 돌출된 함체형상이고 양끝단에는 관통구(11)가 형성되는 오목한 요철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은 개폐가능하게 힌지축(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한쌍으로 결합고정된 걸림턱(17)을 포함하는 뚜겅(13)을 구비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와 고정핀(23)에 의해 힌지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핀(23)이 관통하는 관통구(21)가 형성되는 볼록한 요철부(22)를 구비하는 연결부(20)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에 돌출된 자석(31)을 구비한 수캡(37)을 포함하는 수체결부(33)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에 상기 수체결부의 돌출된 자석에 대응하는 오목한 자석(34)을 구비한 암캡(38)을 포함하는 암체결부(36)를 포함하는 체결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20)가 내부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식부(10)의 내부에 고정 나사(14)에 고정되고, 고정홀더(15)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2는 본 고안인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인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본체체부와 연결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장식용 팔찌는 크게 일면에 다양한 장식을 새겨넣을 수 있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에 연결되고 팔찌를 손목에 결속하고 체결하는 수단인 체결부(30)로 구분되어 진다.
본체부(10)는 가장자리가 일정길이 돌출된 함체형상을 가지며, 양끝단은 중앙부위가 오목한 요철부(12)가 구비된다. 일면 즉 팔지(1)를 착용했을 때 외부로 보이는 면(도면부호 미도시)은 다양한 무늬를 새겨넣을 수 있으며, 타면 즉 팔찌를 착용했을때 손목에 접하는 면은 덮개(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요철부(12)에는 관통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3)는 일측은 개폐가능하게 힌지축(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한쌍으로 결합고정된 걸림턱(17)이 형성된다.
연결부(20)는 상기 본체부(10)와 고정핀(23)에 의해 연결된다. 즉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10)의 오목한 요철부(12)와 대응되는 볼록한 요철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22) 내부에는 상기 고정핀(23)이 관통하는 관통구(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23)은 상기 본체부(10)와 연결부(20)에 형성된 관통구(11, 21)를 관통하며 본체부와 연결부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장식부의 앞면(도면부호 미도시) 즉, 팔찌를 착용했을때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에는 다양한 문양을 새겨넣음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의 주문에 맞는 모양을 새겨넣을 수 있다.
체결부(30)는 상기 연결부(20)의 타측에 연결되어 팔찌(1)를 손목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수체결부와 암체결부로 구성된다.
수체결부(33)의 일단은 연결부(20)와 고리연결되며, 타단은 일정 형상의 돌출된 요철형상이며, 중앙에는 자석(31)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체결부(33)의 양측면에는 체결돌기(32)를 구비하고 있다.
암체결부(36)의 일단은 연결부(20)와 고리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체결부(33)의 타단이 일정 형상으로 돌출된 요철형상과 대응되게 오목한 요철형상이며, 중앙에는 상기 수체결부의 자석(31)에 대응하는 자석(34)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면에는 상기 수체결부의 체결돌(32)기와 대응하는 체결홈(35)을 구비한다.
따라서 팔찌의 수체결부(33)와 암체결부(36)의 요철부위를 서로 맞게 끼우면 상기 수체결부와 암체결부의 자석(31, 34)의 자력에 의해 손쉽게 팔찌는 체결된다. 또한 팔찌는 상기 체결돌기(32)와 체결홈(35)에 의해 2중으로 체결되므로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결부(30)의 외양 또한 팔찌(1)에 일체되므로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장식용 팔찌의 미관을 갖게 된다.
도4내지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본체부와 연결부의 부분확대도이다.
장식용 팔찌는 그 본연의 기능이 장식적인 미감을 갖는 것이므로 본체부와 연결부는 다양하고 화려한 장식과 미관을 갖으며, 체결부 또한 그 디자인과 장식이 다양한데 도4 내지 도6은 본 고안인 장식용 팔찌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제 2실시예의 팔찌는 크게 본체부와 연결부 및 체결부 3부분으로 나뉘어 진거는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와 가장 큰 차이점은 체결돌기 및 체결홈을 이용한 2중체결장치 대신에 본체부에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연결부가 일정각도 내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2중체결장치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본체부(10)는 가장자리가 일정길이 돌출된 함체형상을 가지며, 양끝단은 중앙부위가 오목한 요철부(12)가 구비된다. 일면 즉 팔지(1)를 착용했을 때 외부로보이는 면(도면부호 미도시)은 다양한 무늬를 새겨넣을 수 있으며, 타면 즉 팔찌를 착용했을때 손목에 접하는 면은 덮개(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철부(12)에는 관통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3)는 일측은 개폐가능하게 힌지축(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한쌍으로 결합고정된 걸림턱(17)이 형성된다.
본체부(10)의 뒷면 즉 상기 덮개(13) 내부에는 양단에 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상기 스프링(16)은 헤드부분이 고정나사(14)에 의해 고정되고, 꼬리부분이 고정홀더(15)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부(20)는 상기 본체부(10)와 고정핀(23)에 의해 연결된다. 즉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10)의 오목한 요철부(12)와 대응되는 볼록한 요철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22) 내부에는 상기 고정핀(23)이 관통하는 관통구(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23)은 상기 본체부(10)와 연결부(20)에 형성된 관통구(11, 21)를 관통하며 장식부와 연결부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의 앞면(도면 미도시)과 뒷면을 덮는 덮개(13)에는 다양한 문양을 새겨넣음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소비자의 주문에 맞는 모양을 새겨넣을 수 있다.
체결부(30)는 상기 연결부(20)의 타측에 연결되어 팔찌(1)를 손목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수체결부와 암체결부로 구성된다.
수체결부(33)의 일단은 연결부(20)와 고리연결되며, 타단은 캡(37)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돌출한 자석(31)이 삽입되어 있다.
암체결부(36)의 일단은 연결부(20)와 고리연결되며, 타단은 캡(38)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상기 수체결부의 돌출된 자석(31)에 대응하는 오목한 자석(34)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2중장치가 없는 대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6)의 꼬리부분(도면부호 미도시)은 장식부(10)를 지나 연결부(20)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16)의 역할은 상기 연결부(20)가 팔찌 안쪽 즉 연결부(10) 쪽으로 일정각도 이상 더 굽혀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팔지(1) 바깥쪽 방향으로 굽혀진다 해도 체결부(30)는 상기 돌출된 수체결부(33)의 자석과 오목한 암체결부(36)의 자석의 결합에 의해 풀려지지 않지만, 연결부(20)가 팔지 안쪽으로 일정각도 이상 굽혀지게 되면 팔찌(1)의 체결부(30)는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6)의 꼬리부분(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상기 연결부(20)는 일정각도 이상 안으로 굽혀지지 않게 되고, 팔찌(1)의 체결은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6)은 2중체결장치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인 2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특정의 실시예 및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고안의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2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는 자석을 이용하여 팔찌를 쉽고 용이하게 체결하는 효과가 있으며, 체결홈과 체결돌기의 이중체결장치 및 스프링을 체결부와 장식부에 설치함으로써 더욱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팔찌의 양단을 결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팔목에 체결되어 장식기능을 하는 장식용 팔찌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일정길이 돌출된 함체형상이고 양끝단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오목한 요철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에 일측은 개폐가능하게 힌지축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한쌍으로 결합고정된 걸림턱을 형성하는 뚜겅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고정핀에 의해 힌지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볼록한 요철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석을 구비하며 양측면에는 체결돌기를 구비한 수체결부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체결부의 자석에 대응하는 자석을 구비하고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하는 체결홈을 구비한 암체결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2. 팔목에 체결되어 장식기능을 하는 장식용 팔찌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일정길이 돌출된 함체형상이고 양끝단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오목한 요철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에 일측은 개폐가능하게 힌지축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한쌍으로 결합고정된 걸림턱을 형성하는 뚜겅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고정핀에 의해 힌지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볼록한 요철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에 돌출된 자석을 구비한 수캡을 포함하는 수체결부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에 상기 수체결부의 돌출된 자석에 대응하는 오목한 자석을 구비한 암캡을 포함하는 암체결부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가 내부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뒷면 양단에 고정 나사에 고정되고, 고정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20-2003-0031048U 2003-10-02 2003-10-02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200338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048U KR200338251Y1 (ko) 2003-10-02 2003-10-02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048U KR200338251Y1 (ko) 2003-10-02 2003-10-02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23A Division KR20050032633A (ko) 2003-10-02 2003-10-02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251Y1 true KR200338251Y1 (ko) 2004-01-13

Family

ID=4942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048U KR200338251Y1 (ko) 2003-10-02 2003-10-02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2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249B1 (ko) * 2019-04-08 2019-11-27 사염찬 복수의 잠금장치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분실 방지용 팔찌 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249B1 (ko) * 2019-04-08 2019-11-27 사염찬 복수의 잠금장치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분실 방지용 팔찌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234A (en) Hanging ornaments for eyeglasses
USD522906S1 (en) Jewelry clasp
KR200338251Y1 (ko)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20050032633A (ko)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JP3043338B1 (ja) 首飾りの装飾物固定環
KR200437705Y1 (ko) 펜던트
KR200271413Y1 (ko) 회전형 장신구
KR200407580Y1 (ko) 장신구 체결구조
JPH09224724A (ja) 指 輪
WO2005077221A1 (ja) 変形自在の装身具
CN213487325U (zh) 一种可更换装饰件的首饰
KR102637447B1 (ko) 스냅단추 구조를 이용해 장식을 탈착할 수 있는 펜던트
US6588075B2 (en) Fish-hook clasp with a double activation mechanism
KR200280888Y1 (ko) 사진함이 구비된 반지
JP3046973U (ja) ブレスレット兼用腕時計
JP2002542851A (ja) 開放可能な指輪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200375097Y1 (ko) 진자운동을 하는 장신구
CN218303726U (zh) 一种半封闭型装饰手镯
USD503901S1 (en) Watch bracelet
KR102040699B1 (ko)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장신구용 힌지구조
CN212590711U (zh) 一种手镯
USD447961S1 (en) Watch and bracelet
JP3093126U (ja) ブレスレット乃至リストバンド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