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271Y1 - 다용도 연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271Y1
KR200410271Y1 KR2020050027452U KR20050027452U KR200410271Y1 KR 200410271 Y1 KR200410271 Y1 KR 200410271Y1 KR 2020050027452 U KR2020050027452 U KR 2020050027452U KR 20050027452 U KR20050027452 U KR 20050027452U KR 200410271 Y1 KR200410271 Y1 KR 200410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esent
coupled
st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관재
Original Assignee
원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관재 filed Critical 원관재
Priority to KR2020050027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A44B15/002Separable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연결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장신구,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어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이 일탈·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용도 연결구를 개시한다.
연결구, 일탈

Description

다용도 연결구{Connector Having Multi-Us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장신구 연결구와 그 장신구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와 그 다용도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장신구와 휴대폰에 있어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
11: 연결부위
12: 연결고리
본 고안은 다용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신구, 휴대폰의 액 세서리 등에 사용되어 그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의 일탈·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나 휴대폰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통상 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가 그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 1에는 종래에 사용되던 상기 고리 형태의 연결구의 일례가 그것이 귀걸이에 사용된 상태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 1a은 연결구 자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연결구(1)가 열린 상태에서 귀걸이 팬던트(4)가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c는 연결구(1)가 귀걸이(2)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서 보여지듯이, 연결구(1)는 고리 형태로서 그 연결구(1)의 양 끝단부은 서로 약간의 틈(A)를 형성하며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그 연결구(1)를 통하여 예컨대 도 1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귀걸이 팬던트(4)를 귀걸이 본체(3)에 연결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닫힌 상태의 연결구(1)를 도 1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열린 상태로 전환된 연결구(1)에 상기 귀걸이 팬던트(4)를 그 팬던트(4)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리(5)를 통하여 연결시킨 후에 상기 열린 상태의 연결구(1)를 다시 도 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도 1c는 연결구(1)가 닫힌 상태로 귀걸이(2)에 사용된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상기 귀걸이(2)를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함으로써 상기 연결구(1)의 틈(A)에 귀걸이 팬던트(4)가 접촉하는 경우 그 귀걸이 팬던트(4)의 하중이 그 틈(A)에 작용하거나 기타 외부 환경의 예측하지 못한 횡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는, 닫힌 상태의 연결구(1)의 틈이 벌어지면서 그 연결구가 열린 상태로 서서히 전환됨에 따라 그 연결구(1)를 통하여 연결된 귀걸이 팬던트(4)가 일탈·분리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연결구가 가지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귀걸이 등의 장신구나 휴대폰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어, 그 장신구의 팬던트나 휴대폰의 액세서리 등의 일탈·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고안은 다용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는 틈을 갖는 고리 형태의 연결구에 있어서, 그 틈을 형성하는 상기 연결구의 일 끝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 끝단부에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구의 양 끝단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의 양 끝단부에 각각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그 양 끝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면, 연결구가 닫힌 상태에 있더라도 연결구의 양 끝단부가 형성하는 틈이 벌어짐에 따른 전술한 바의 문제점을 극복할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의 닫힌 상태는 상기 연결구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돌기와 홈은 서로 결합한 상태인데, 이 경우 돌기와 홈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 부위는 연결구의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외관상 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금형 등의 제작이 수월하고 외부 환경의 예측하지 못하는 힘이 결합 부위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있어서, 그 양 끝단부는 횡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양 끝단부가 횡 방향으로 결합한다는 것"은 양 끝단부가 서로 겹쳐져 있다가 결합한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의 양 끝단부가 횡 방향으로 결합할 경우에, 종 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 다용도 연결구는 본래의 모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양 끝단부가 종 방향으로 결합한다는 것"은 양 끝단부가 겹쳐지지 않고 벌어져 있다가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있어서, 그 일 끝단부에는 거기에 결합하는 타 끝단부를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의 일 끝단부에 한쌍의 날개부가 형성될 경우에, 그 날개부는 타 끝단부을 감싸게 됨으로써,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의 양 끝단부가 형성하는 연결 부위가 장신구 등의 팬던트에 가해지는 하중 등 종 방향의 힘에 의하여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것은 결국 장신구 등의 팬던트의 일탈·분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돌기가 형성된 끝단부에 형성되든지 또는 홈이 형성된 끝단부에 형성되든지 무방한데, 홈이 형성된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날개부가 홈이 형성된 끝단부에 형성되는 경우가 돌기가 형성된 끝단부에 형성되는 경우보다 금형 등의 제작이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 쌍의 날개부가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의 일 끝단부에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양 끝단부를 결합시킬 때는 양 끝단부를 돌기와 홈 구조를 통하여 결합시키고 나서 일 끝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가 타 끝단부을 감싸도록 눌러주면 된다.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의 일 끝단부에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양 끝단부가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양 끝단부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 부위는 연결구의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는 그 양 끝단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한데, 통상적으로는 원형, 반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는 그 단면이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것 이지만, 반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다용도"의 의미는 전술한 바의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연결구가 적용 가능한 모든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장신구에 있어서 팬던트를 장신구 본체에 연결시키는 용도, 휴대폰에 그 액세서리를 연결시키는 용도 등으로 주로 사용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대해서는 모든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에 대한 전술한 바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에서 "물품"이란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전술한 바의 구성 및 기능상 적용 가능한 물품으로서, 그러한 물품으로서는 이미 전술한 바 있는 장신구라든지 휴대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연결구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귀걸이, 목걸이 등의 장신구와 휴대폰의 액세서리에 사용된 상태를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는 연결고리(11)와 이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가 형성하는 결합 부위(1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는 각각 돌기와 홈 구조를 취함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님으로써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는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번갈아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도 2a ~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닫힌 상태(도 2a)와 열린 상태(도 2b)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도 2c ~ 도 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닫힌 상태(도 2c)와 열린 상태(도 2d)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도 2e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사용될 수 있는 물품으로서 귀걸이(2)를 예로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도시된 도 2a ~ 도 2b를 참조하여 보면,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는 전형적인 돌기와 홈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돌기와 홈 구조를 통하여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는 서로 겹쳐져 열린 상태의 결합 부위(12)를 형성하는데, 닫힌 상태의 결합 부위(12)는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에 횡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형성되게 된다.
도 2a에서 확인할 있는 바와 같이,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가 결합한 상태인 경우 그 양 끝단부(111;112)가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 부위(12)는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지닌다. 물론 결합 부위(12)가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갖 지 않더라도 무방하지만, 동일한 두께를 가질 경우 외관상의 미감적 효과 이외에 금형 등의 제작이 용이하고 기타 그 결합 부위(12)의 외주면에 외부 환경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 부위(12)는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c ~ 도 2d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c ~ 도 2d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는 도 2a ~ 도 2b와 동일한 방식의 돌기와 홈의 탈착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그 연결고리(11)의 일 끝단부(111)에는 한 쌍의 날개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날개부(113)는 그 날개부(113)가 형성된 끝단부(111)에 결합한 타 끝단부(112)를 감싸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를 사용할 때 연결고리(11)의 타 끝단부(112)를 상기 날개부(113)가 형성된 끝단부(111)에 돌기와 홈 구조를 통하여 결합시키고 나서, 상기 한쌍의 날개부(113)가 그 날개부(113)가 형성된 끝단부에 결합한 타 끝단부(112)를 감싸도록 손으로 눌러주게 될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3)는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가 형성하는 결합 부위(12)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결국 장신구 팬던트 등이 일탈·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높일 것이다.
도 2c ~ 도 2d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연결구(10)에 있어서도,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는 도 2a ~ 도 2b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에 있어서처럼 서로 겹쳐져 있다가 횡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닫힌 상태의 결합 부위(12)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2c ~ 도 2d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연결구(10)에 있어서도, 도 2a ~ 도 2b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가 형성하는 결합 부위(12)는 연결고리(12)의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하에서, 도 2e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사용 방법을 간단히 언급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 팬던트(4)는 그 일체형 고리(5)를 통하여 도 2b 및 도 2d에 도시된 열린 상태의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연결고리(11)에 끼워져 결합한다.
귀걸이 팬던트(4)가 결합하면 열린 상태의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를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닫힌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처럼 닫힌 상태로 전환된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는 그 연결고리(11)의 양 끝단부(111;112)가 돌기와 홈 구조를 통하여 결합하고 또한 연결고리(11)의 일 끝단부(111)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113)가 그 일단부(111)에 결합하는 타 끝단부(112)를 감싸게 됨으로써, 그 연결구(10)에 결합된 귀걸이 팬던트(4)는 사용자가 장시간 귀걸이를 착용하거나 외부의 예측불허의 힘이 그 연결구(10)에 가해졌을 때에도 일탈·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그 단면이 원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양 끝단부(111;112)가 탈착 구조를 갖는 한 그 단면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또 기타의 다른 단면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 다.
또한, 도 2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형상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장신구와 휴대폰의 액세서리에 사용된 상태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귀걸이에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목걸이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가 팔치에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d에는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가 휴대폰 악세서리에 사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3c의 경우처럼,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고리(10)는 귀걸이 본체(3), 목걸이 팬던트(20) 및 팔찌의 잠금쇠(3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결합된 상태로 사용되어 각각 귀걸이 팬던트(4), 목걸이 고리(21) 및 보조 팔찌(31)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도 3d에서처럼 고정·결합되지 않고 특정 연결고리(41)를 매개로 결합되어 휴대폰 액세서리(4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10)의 재질은 외관상 심미감을 고려하여 그것의 사용되는 물품의 재질과의 관계에서 결정될 것이지만, 통상은 합성수지, 철, 동, 금 또는 은이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용도 연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다용도 연결구를 포함하는 물품, 예컨대, 장신구, 휴대폰 등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용도 연결구는 그것에 결합하는 예컨대, 장신구의 팬던트, 휴대폰의 액세서리를 일탈·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8)

  1. 틈을 갖는 고리 형태의 연결구에 있어서,
    그 틈을 형성하는 상기 연결구의 일 끝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 끝단부에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구의 양 끝단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 끝단부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그 결합 부위는 상기 연결구의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 끝단부는 횡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횡 방향으로 결합한다는 것은 양 끝단부가 서로 겹쳐져 있다가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일 끝단부에는 거기에 결합하는 타 끝단부를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 끝단부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그 결합 부위는 상기 연결구의 타 부위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 끝단부는 횡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횡 방향으로 결합한다는 것은 양 끝단부가 서로 겹쳐져 있다가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결구.
  7. 삭제
  8. 삭제
KR2020050027452U 2005-09-23 2005-09-23 다용도 연결구 KR200410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52U KR200410271Y1 (ko) 2005-09-23 2005-09-23 다용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52U KR200410271Y1 (ko) 2005-09-23 2005-09-23 다용도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825 Division 2005-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271Y1 true KR200410271Y1 (ko) 2006-03-07

Family

ID=4176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452U KR200410271Y1 (ko) 2005-09-23 2005-09-23 다용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2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D531078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 pin
US20090255122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WO2006105786A8 (en) Locking system for jewellery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10271Y1 (ko) 다용도 연결구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KR200401537Y1 (ko) 다용도 연결구
IT201900007536A1 (it) Chiusura per gioielli, particolarmente per bracciali, orecchini e collane
CN104082922B (zh) 可拆卸戒指
KR200485628Y1 (ko) 조립형 목걸이 세트
CN102300483B (zh) 装饰品用卡扣
WO2007112530A1 (en) Clasp system
USD521895S1 (en) Jewelry clasp member for bracelets, necklaces, waist jewelry, watchbands and ankle bracelets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0420503Y1 (ko) 액세서리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170037340A (ko) 조립형 목걸이 세트
CN202653322U (zh) 方便佩带的手镯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CN2882329Y (zh) 多功能首饰
KR200328329Y1 (ko) 팔찌의 결합구조
KR20110004227A (ko) 목조팔찌의 결합구조
CN212590711U (zh) 一种手镯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