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550Y1 - 피어싱 장신구 - Google Patents

피어싱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550Y1
KR200427550Y1 KR2020060019501U KR20060019501U KR200427550Y1 KR 200427550 Y1 KR200427550 Y1 KR 200427550Y1 KR 2020060019501 U KR2020060019501 U KR 2020060019501U KR 20060019501 U KR20060019501 U KR 20060019501U KR 200427550 Y1 KR200427550 Y1 KR 200427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hollow
internal member
internal
lock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동석
이찬호
Original Assignee
이찬호
육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호, 육동석 filed Critical 이찬호
Priority to KR2020060019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5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착용과 분리를 위한 체결구조가 간편하게 개선된 피어싱 장신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피어싱 장신구는, 피어싱 위치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익스터널부재와, 중공 속에 몸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인터널부재를 구비하며, 두 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으로서, 익스터널부재의 중공에 마련된 탄력로킹부와, 탄력로킹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착탈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인터널부재의 몸체에 마련된 돌기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피어싱 장신구는, 착용을 위한 인터널부재와 익스터널부재 간의 체결이 슬라이딩 결합으로 부드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과 분리 조작이 매우 쉽고 편리해진다.
피어싱, 장신구

Description

피어싱 장신구{Piercing accessory}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피어싱 장신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장신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장신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착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변형 가능한 모양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300...장신구 210,310...인터널부재
211,311...몸체 211a,311a,b...돌기부
220,320...익스터널부재 221,321...중공
본 고안은 신체 피부에 구멍을 내고 착용하는 피어싱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과 분리를 위한 구조가 간편하게 개선된 피어싱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신만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자기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피어싱(piercing)이 새로운 유행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피어싱은 귀나 코, 혹은 입술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에 피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장신구를 끼워서 착용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귓볼(10)에 피어싱으로 구멍을 내고 그곳에 장신구(100)를 착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착용되는 장신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21)이 형성된 익스터널(external)부재(120)와, 그 중공(121)에 몸체(111)가 들어가서 결합되는 인터널(internal)부재(11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익스터널부재(120)를 피어싱된 피부 구멍에 끼우고, 인터널부재(110)를 반대편에서 상기 중공(121)에 결합시키면, 장신구(100)의 신체 착용이 완료된다.
한편, 이와 같이 익스터널부재(120)와 인터널부재(110)를 결합시켜기 위한 체결구조가 종래에는 대부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결합구조로 되어 있었다. 즉, 인터널부재(110)의 몸체(111)에 수나사부(111a)를 만들고, 익스터널부재(120)의 중공(121) 내벽에는 암나사부(121a)를 만들어서, 이들이 서로 나사결합되며 두 부재(110)(120) 간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장신구(1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대부분 아주 조그마한 크기이기 때문에, 실제로 그 작은 물건을 나사결합되게 손으로 잡고 돌린다는 것은 여간 까다롭고 번거로운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이렇게 돌리는 식으로 결합을 시키다 보면 그 돌리는 부재(110)에 피부도 함께 쓸리면서 비틀려 버리는 피부손상의 위험마저 있다.
따라서, 장신구(100)의 착용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체결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신체 착용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널부재와 익스터널부재 간의 체결구조가 개선된 피어싱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피어싱 장신구는, 피어싱 위치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익스터널부재와, 상기 중공에 몸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인터널부재 및, 상기 두 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익스터널부재의 중공 입구에 마련된 탄력로킹부와, 상기 탄력로 킹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착탈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상기 인터널부재의 몸체에 마련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피어싱 장신구는, 피어싱 위치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익스터널부재와, 상기 중공에 몸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인터널부재 및, 상기 두 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익스터널부재의 중공 입구에 마련된 제1탄력로킹부 및 그 중공 내부에 마련된 제2탄력로킹부와, 상기 제1,2탄력로킹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착탈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상기 인터널부재의 몸체에 마련된 제1돌기부 및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익스터널부재와 인터널부재의 결합체는 직선형상이 될 수도 있고 곡선형상이 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a,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장신구(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장신구(200)도 중공(221)이 형성된 익스터널부재(220)와, 그 중공(221)에 몸체(211)가 삽입되는 인터널부재(21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귀볼(10)과 같은 착용 부위에 익스터널부재(220)를 끼우고, 그 중공(221)에 다시 상기 인터널부재(210)의 몸체(211)를 결합시키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때, 두 부재(210)(220)를 빠지지 않게 체결시키는 구조로는, 기존과 같은 나사결합구조 대신에 슬라이딩 결합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즉, 인터널부재(210)의 몸체(211)가 익스터널부재(220)의 중공(221) 속으로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그냥 슬라이딩 삽입만 되는 구조라면 쉽게 다시 빠져버리겠지만, 삽입 시 익스터널부재(220)의 중공(221) 입구에 형성된 탄력로킹부(221a)에 상기 인터널부재(210)의 몸체(211)에 형성된 돌기부(211a)가 탄력적으로 걸려서 로킹되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는 않게 된다. 그러니까, 도 4a와 같이 인터널부재(210)가 익스터널부재(220)의 중공(221)으로 들어갈 때에 몸체(211)의 돌기부(211a)로 탄력로킹부(221a)를 벌리면서 들어가게 되고, 돌기부(211a)가 통과되는 순간 도 4b와 같이 탄력로킹부(221a)가 제자리로 복원되면서 탄력적인 로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분리를 위해 반대로 인터널부재(210)를 잡아당기면 마찬가지로 탄력로킹부(221a)가 변형 및 복원되면서 중공(221)으로부터 인터널부재(210)가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결합과 분리작업을 할 때 익스터널부재(220)의 중공(221) 속으로 인 터널부재(210)를 밀어넣거나 반대로 당겨내기만 하면 부드럽게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착탈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며, 피부가 쓸리거나 할 위험도 사라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장신구(3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장신구(300)도 익스터널부재(320)를 귓볼(10) 등의 피어싱 부위에 끼우고 인터널부재(310)를 그 중공(321)에 밀어넣으면 착용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여기서는 두 부재(310)(320)간의 결합을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2중으로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6a 및 도 6b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공(321) 입구에 마련된 제1탄력로킹부(321a)와 인터널부재(310) 몸체(311)에 형성된 제1돌기부(311a)가 결합되는 구조에 더하여, 중공(321) 안쪽 내벽에 추가된 제2탄력로킹부(321b)와 몸체(311)에 추가된 제2돌기부(311b)가 결합되게 함으로써 2중의 로킹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두 개의 돌기부(311a)(311b)가 두 개의 탄력로킹부(321a)(321b)에 걸림으로써 더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착용 시의 결합은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체결 후엔 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피어싱 장신구(200)(300)는 위의 실시예들에서 예시한 대로 귓볼(10)에 착용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코(20)나 입술(30)에 착용할 수도 있다. 또한, 코(20)의 중앙에 착용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도 8과 같이 익스터널부재(220)(320)의 양쪽에서 인터널부재(210)(310)가 삽입되는 대칭형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그 모양도 전술한 예들처럼 직선형일 수도 있지만, 도 9와 같이 결합체(400)가 곡선형이 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어느 형태이든지, 슬라이딩 삽입 후 탄력적으로 로킹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구조를 채택하면, 착용과 분리조작을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피어싱 장신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신체 착용을 위한 인터널부재와 익스터널부재 간의 결합이 슬라이딩 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과 분리 조작이 매우 편리해진다.
둘째, 기존의 나사결합구조와 같이 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체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착용 과정에서 피부가 부재의 회전과 함께 비틀릴 위험도 사라진다.
셋째, 탄력적인 로킹구조가 적용되어 있어서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피어싱 위치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익스터널부재와, 상기 중공에 몸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인터널부재 및, 상기 두 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익스터널부재의 중공 입구에 마련된 탄력로킹부와, 상기 탄력로킹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착탈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상기 인터널부재의 몸체에 마련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신구.
  2. 피어싱 위치에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익스터널부재와, 상기 중공에 몸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인터널부재 및, 상기 두 부재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익스터널부재의 중공 입구에 마련된 제1탄력로킹부 및 그 중공 내부에 마련된 제2탄력로킹부와, 상기 제1,2탄력로킹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착탈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상기 인터널부재의 몸체에 마련된 제1돌기부 및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신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터널부재와 인터널부재의 결합체는 직선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신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터널부재와 인터널부재의 결합체는 곡선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신구.
KR2020060019501U 2006-07-20 2006-07-20 피어싱 장신구 KR200427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01U KR200427550Y1 (ko) 2006-07-20 2006-07-20 피어싱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01U KR200427550Y1 (ko) 2006-07-20 2006-07-20 피어싱 장신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707A Division KR20060093685A (ko) 2006-07-20 2006-07-20 피어싱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550Y1 true KR200427550Y1 (ko) 2006-09-28

Family

ID=4177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01U KR200427550Y1 (ko) 2006-07-20 2006-07-20 피어싱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5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400B1 (ko) * 2020-06-02 2020-09-23 김아선 피어싱 장신구
KR200492804Y1 (ko) * 2019-06-25 2020-12-14 오순록 피어싱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04Y1 (ko) * 2019-06-25 2020-12-14 오순록 피어싱 장신구
KR102159400B1 (ko) * 2020-06-02 2020-09-23 김아선 피어싱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02452S1 (en) Bangle accessory for a wearable fitness monitor
US10667584B2 (en)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US20080302382A1 (en) Hair hoop structure
JP7474567B2 (ja) リストバンドを腕時計ケースに固定する装置
WO2020020117A1 (zh) 用于穿戴设备的连接结构及穿戴设备
KR200427550Y1 (ko) 피어싱 장신구
KR20060093685A (ko) 피어싱 장신구
JP3083998B2 (ja) 装身具の留め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330153B1 (ko) 끈 형상의 액세서리 체결구
JP2014023565A (ja) 装身具用の止め具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102108991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257415Y1 (ko) 혁대용 버클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JP2005124770A (ja) 装身具用バンドの連結構造
JP3135957U (ja) 装身具
KR101507282B1 (ko) 장신구용 연결 잠금장치
KR200338512Y1 (ko) 장신구용 연결구
CN209403764U (zh) 一种首饰卡扣及手镯
KR200269731Y1 (ko) 장신구의 연결장치
KR100837664B1 (ko) 나사식 단추
KR200221232Y1 (ko) 귀걸이
CN220734619U (zh) 可拆卸的链和包括所述可拆卸的链的便携式物体
CN209931661U (zh) 一种便于佩戴的手镯
KR101886790B1 (ko)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