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790B1 -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 Google Patents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790B1
KR101886790B1 KR1020170113640A KR20170113640A KR101886790B1 KR 101886790 B1 KR101886790 B1 KR 101886790B1 KR 1020170113640 A KR1020170113640 A KR 1020170113640A KR 20170113640 A KR20170113640 A KR 20170113640A KR 101886790 B1 KR101886790 B1 KR 10188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buckle
screw
buckle
groove
wrist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근
Original Assignee
김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근 filed Critical 김일근
Priority to KR102017011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90B1/ko
Priority to PCT/KR2018/010109 priority patent/WO20190502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04Pad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이 시계 본체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1시계줄; 일단이 상기 시계 본체의 타 측에 연결되는 제2시계줄; 상기 제1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시계줄과 마주하는 면에 제1나사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버클; 상기 제2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시계줄과 마주하는 면에 제2나사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버클; 및 일 측에는 상기 제1나사홈과 대응되는 제1볼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홈에 결합되며, 타 측에는 상기 제2나사홈과 대응되는 제2볼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나사홈에 결합되는 턴버클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버클과 제2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결합버클의 사이에 턴버클이 구비됨으로써 제1시계줄과 제2시계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WATCH BAND WITH TURNBUCKLE}
본 발명은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시계줄 또는 제2시계줄 중 어느 하나의 분리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의 사이에 턴버클이 구비됨으로써 제1시계줄 또는 제2시계줄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시계의 시계줄은 고정끈과 조절끈이 납작한 형태로 가공된 한 쌍의 밴드로 이루어지며, 고정끈과 조절끈의 단부를 시계 무브먼트에 각각 고정하고, 고정끈과 조절끈의 타 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암수의 체결구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이다.
즉, 고정끈에는 고정핀이 형성되며 조절끝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손목 두께에 따라 고정끈의 고정핀을 조절끈의 구멍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계줄은 착용자가 시계줄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착용자의 손목 두께와 가장 근접한 부분에 위치한 구멍에 고정핀을 끼워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손목시계의 착용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1633420호에는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시계줄 체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시계줄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시계줄 체결구조를 설명하자면, 시계줄이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되면서 시계줄이 체결된 상태에서 조절끈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시계줄 체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시계모듈이 내장되는 무브먼트(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끈(2)과 조절끈(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끈(2)의 단부에는 체결구(4)가 장착되어 조절끈(3)의 체결위치를 고정하여 시계줄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손목시계줄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2)은 내피와 외피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그 양단이 봉합되어 조절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끈(2)의 단부에 장착되는 체결구(4)에는 고정끈(2)의 수용공간으로 조절끈(3)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진입유도부(5) 및 체결구(4)의 측면에 축 결합되어 힌지 방식으로 절첩 구동하면서 진입유도부(5)로 안내되어 삽입된 조절끈(3)의 삽입 상태를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락킹부재(6)를 장착함으로써 시계줄이 삽입되는 구조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계줄의 중첩되는 부분이 들뜨지 않고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그 체결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락킹부재(3)를 이용하여 조절끈(3)을 고정하는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메탈 시계줄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손목시계를 착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매일같이 시계를 사용하게 되는데, 락킹부재(3)에 의해 반복 및 지속적으로 조절끈(3)이 눌리게 되는 경우 조절끈(3)이 상하게 되어 시계줄을 장기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633420 호(2016.06.2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23452 호(2003.08.04.) 등록특허공보 제 10-1633423 호(2016.06.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시계줄 또는 제2시계줄 중 어느 하나의 분리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의 사이에 턴버클이 구비됨으로써 제1시계줄 또는 제2시계줄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은, 일단이 시계 본체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1시계줄; 일단이 상기 시계 본체의 타 측에 연결되는 제2시계줄; 상기 제1시계줄 또는 제2시계줄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분리한 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제1나사홈과 제2나사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 및 일 측에는 상기 제1나사홈과 대응되는 제1볼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홈에 결합되며, 타 측에는 상기 제2나사홈과 대응되는 제2볼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나사홈에 결합되는 턴버클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나사홈과 제2나사홈은 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버클에는 상기 제2결합버클과 마주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버클에는 상기 제1결합버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적어도 상기 턴버클나사의 제1볼트부로부터 제2볼트부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은 각각 상기 제1시계줄과 제2시계줄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측은 상기 제1시계줄의 타단 또는 제2시계줄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 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보호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보호판이 결합되지 않은 제1시계줄의 타단 또는 제2시계줄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이 회동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버클, 제2결합버클 및 턴버클나사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버클, 제2결합버클 및 턴버클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보호판이 결합되지 않은 제1시계줄의 타단 또는 제2시계줄의 타단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버클나사는,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제1볼트부; 및 상기 몸체에서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2볼트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볼트부 및 제2볼트부가 갖는 지름은 상기 몸체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버클나사에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볼트부 및 제2볼트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납작한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에 의하면, 제1시계줄 또는 제2시계줄 중 어느 하나의 분리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의 사이에 턴버클이 구비됨으로써 제1시계줄 또는 제2시계줄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에 각각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의 간격이 멀어지더라도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시계줄의 분리면 또는 제2시계줄의 분리면에 힌지 결합되는 보호판이 구성되어, 제1결합버클, 제2결합버클 및 턴버클나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턴버클나사의 몸체에서 제1볼트부 및 제2볼트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날개부가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턴버클나사가 회전되어 제1결합버클과 제2결합버클 간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시계줄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이 시계 본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의 턴버클나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의 날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d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의 보호판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1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버클과 제2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결합버클의 사이에 턴버클이 구비됨으로써 제1시계줄과 제2시계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이 시계 본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c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은, 일단이 시계 본체(10)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1시계줄(20), 일단이 상기 시계 본체(10)의 타 측에 연결되는 제2시계줄(30), 상기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분리한 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제1나사홈(41)과 제2나사홈(51)이 형성되는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 및 일 측에는 상기 제1나사홈(41)과 대응되는 제1볼트부(61)가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홈(41)에 결합되며, 타 측에는 상기 제2나사홈(51)과 대응되는 제2볼트부(62)가 형성되어 상기 제2나사홈(51)에 결합되는 턴버클나사(6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나사홈(41)과 제2나사홈(51)은 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는 일반적인 손목시계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오로지 손목시계의 길이 조절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은 각각 상기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분리한 면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손목시계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손목 굴곡에 따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이 제1시계줄(20)의 분리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은 제2시계줄(30)의 분리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버클(40)에는 상기 제2결합버클(50)과 마주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버클(50)에는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42)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5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42)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5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효율적으로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제1결합버클(40)의 제1나사홈(41)을 기준으로 양 측에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52)은 상기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되는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 돌기(42)가 상기 가이드 홈(5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목시계를 착용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손목 굴곡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상기 가이드 돌기(42) 및 가이드 홈(52)의 형상 및 재질은 얼마든지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적어도 상기 턴버클나사(60)의 제1볼트부(61)로부터 제2볼트부(62)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의 간격을 조절하다가 상기 가이드 돌기(42)가 상기 가이드 홈(52)으로부터 이탈되어 턴버클나사(60)의 조절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턴버클나사(60)의 조절이 미숙하여 턴버클나사(60)가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로부터 이탈되었을 경우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이 풀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의 턴버클나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의 날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턴버클나사(60)는, 몸체(63), 상기 몸체(63)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제1볼트부(61) 및 상기 몸체(63)에서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2볼트부(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63)에는 본 발명의 턴버클나사(6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6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버클나사(60)에는 상기 몸체(63)에서 상기 제1볼트부(61) 및 제2볼트부(6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납작한 형상의 날개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부(64)는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시계줄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과 마주하면서 사용자의 임의가 아닌 상태로 상기 턴버클나사(60)가 회전되어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간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날개부(64)는 상기 턴버클나사(60)의 제1볼트부(61) 및 제2볼트부(6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볼트부(61) 및 제2볼트부(6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목과 마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시계를 차고 있는 상태에서 턴버클나사(6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날개부(64)의 형상이 단순히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64)의 형상은 구름 형상, 물결 형상, 꽃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64)에는 결합돌기(64a)가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나사(60)의 제1볼트부(61) 및 제2볼트부(62)와 직교되는 방향에는 상기 결합홈(65)과 대응되는 결합홈(65)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64)가 턴버클나사(6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의 보호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a 내지 도 7d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에는, 일 측은 상기 제1결합버클(40)이 결합된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분리면에 힌지 결합되며, 타 측에는 삽입홈(71)이 형성되는 보호판(7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보호판(70)이 결합되지 않는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분리면에는 상기 삽입홈(71)에 대응되는 삽입돌기(7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판(70)은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호판(70)이 회동되어 상기 삽입돌기(72)가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70)은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턴버클나사(60)가 회전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호판(70)은 투명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의 형상 전체가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의 형상 일부가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심미적인 효과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보호판(70)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71)은 상기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길기 조절에 따라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판(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71)의 장홈 형상은 상기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길이가 제일 넓게 형성되었을 때의 삽입돌기(72)의 위치(A1)와 상기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길이가 제일 좁게 형성되었을 때의 삽입돌기(72)의 위치(A2)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72)는 상기 보호판(70)이 결합되지 않은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분리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돌기(7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73)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73)에 의해 상기 삽입홈(7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판(70)이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돌기(72)가 상기 삽입홈(7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보호판(70)이 외부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회동되려고 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돌기(72)가 상기 보호판(70)의 삽입홈(7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눌러지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판(70)이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를 노출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돌기(72)가 외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버클과 제2시계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결합버클의 사이에 턴버클이 구비됨으로써 제1시계줄과 제2시계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시계 본체
20 : 제1시계줄
30 : 제2시계줄
40 : 제1결합버클 41 : 제1나사홈
42 : 가이드 돌기
50 : 제2결합버클 51 : 제2나사홈
52 : 가이드 홈
60 : 턴버클나사 61 : 제1볼트부
62 : 제2볼트부 63 : 몸체
63a : 요홈 64 : 날개부
70 : 보호판 71 : 삽입홈
72 : 삽입돌기 73 : 탄성부재

Claims (10)

  1. 일단이 시계 본체(10)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1시계줄(20);
    일단이 상기 시계 본체(10)의 타 측에 연결되는 제2시계줄(30);
    상기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분리한 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제1나사홈(41)과 제2나사홈(51)이 형성되는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 및
    일 측에는 상기 제1나사홈(41)과 대응되는 제1볼트부(61)가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홈(41)에 결합되며, 타 측에는 상기 제2나사홈(51)과 대응되는 제2볼트부(62)가 형성되어 상기 제2나사홈(51)에 결합되는 턴버클나사(6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나사홈(41)과 제2나사홈(51)은,
    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 측은 상기 제1결합버클(40)이 결합된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분리면에 힌지 결합되며, 타 측에는 삽입홈(71)이 형성되는 보호판(70)이 더 포함되고,
    상기 보호판(70)이 결합되지 않는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분리면에는 상기 삽입홈(71)에 대응되는 삽입돌기(72)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판(70)은,
    상기 보호판(70)이 회동되어 상기 삽입돌기(72)가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버클(40), 제2결합버클(50) 및 턴버클나사(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버클(40)에는,
    상기 제2결합버클(50)과 마주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버클(50)에는,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42)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5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홈(52)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42)는,
    적어도 상기 턴버클나사(60)의 제1볼트부(61)로부터 제2볼트부(62)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버클(40)과 제2결합버클(50)은,
    각각 상기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분리한 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72)는,
    상기 삽입돌기(72)는 상기 보호판(70)이 결합되지 않은 제1시계줄(20) 또는 제2시계줄(30)의 분리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탄성부재(73)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73)에 의해 상기 삽입홈(7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나사(60)는,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63);
    상기 몸체(63)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제1볼트부(61); 및
    상기 몸체(63)에서 타 측으로 연장되는 제2볼트부(62);
    로 구성되되,
    상기 제1볼트부(61) 및 제2볼트부(62)가 갖는 지름은,
    상기 몸체(63)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나사(60)에는,
    상기 몸체(63)에서 상기 제1볼트부(61) 및 제2볼트부(6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납작한 형상의 날개부(6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KR1020170113640A 2017-09-06 2017-09-06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KR10188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40A KR101886790B1 (ko) 2017-09-06 2017-09-06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PCT/KR2018/010109 WO2019050217A1 (ko) 2017-09-06 2018-08-31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640A KR101886790B1 (ko) 2017-09-06 2017-09-06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790B1 true KR101886790B1 (ko) 2018-08-08

Family

ID=6322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640A KR101886790B1 (ko) 2017-09-06 2017-09-06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6790B1 (ko)
WO (1) WO201905021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522A (ja) * 2001-08-29 2003-04-08 Montres Rado Sa 時計のブレスレット用リンク
KR200323452Y1 (ko) 2003-05-30 2003-08-19 주식회사 대한볼트 텐션 턴버클
KR100715909B1 (ko) * 2007-03-14 2007-05-08 김상구 혁대용 기능성 버클
KR20150028318A (ko) * 2013-01-24 2015-03-13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조정 가능한 링크
KR101506697B1 (ko) * 2013-08-30 2015-03-27 추승준 코받침대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경테
KR101633423B1 (ko) 2015-02-27 2016-06-27 이석문 시계줄의 길이가 미세하게 조절되고 조절끈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KR101633420B1 (ko) 2016-02-05 2016-06-27 이석문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5614B1 (fr) * 1991-12-31 1994-03-04 Rado Sa Montres Bracelet a maillons notamment pour mont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522A (ja) * 2001-08-29 2003-04-08 Montres Rado Sa 時計のブレスレット用リンク
KR200323452Y1 (ko) 2003-05-30 2003-08-19 주식회사 대한볼트 텐션 턴버클
KR100715909B1 (ko) * 2007-03-14 2007-05-08 김상구 혁대용 기능성 버클
KR20150028318A (ko) * 2013-01-24 2015-03-13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조정 가능한 링크
KR101506697B1 (ko) * 2013-08-30 2015-03-27 추승준 코받침대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경테
KR101633423B1 (ko) 2015-02-27 2016-06-27 이석문 시계줄의 길이가 미세하게 조절되고 조절끈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KR101633420B1 (ko) 2016-02-05 2016-06-27 이석문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217A1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3440B1 (en) Wearable device
GB2297999A (en) Fastening for watch strap
CN105901849B (zh) 具有扩展表带的手表
KR100523657B1 (ko) 손목시계 케이스에 손목 시계 끈을 고정시키는 방법
CN111202318B (zh) 一种可穿戴设备及其表带
EP3157372B1 (en) Adjustable watch strap
US9668551B2 (en) Clasp system
CN110403306A (zh) 用于将腕带固定至表壳的装置
CN114040686A (zh) 面部遮盖装置用线绳固定系统
KR101886790B1 (ko) 턴버클이 구비되는 시계줄
CN215124967U (zh) 快拆机构和腕戴设备
KR101633423B1 (ko) 시계줄의 길이가 미세하게 조절되고 조절끈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CN103222711B (zh) 表带调节装置及手表
CN211559009U (zh) 表扣及手表
KR101633420B1 (ko) 시계줄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고 간편하게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CN110893039A (zh) 一种可穿戴设备及其表带
JP6864270B2 (ja) 携帯機器用腕装着具
CN210299805U (zh) 一种可随意调节长短的表带扣
KR101421029B1 (ko) 시계 체결 및 잠금장치
CN213428722U (zh) 一种可快速拆装的表带及包括该表带的手表
KR200427550Y1 (ko) 피어싱 장신구
KR20100005103U (ko) 귀걸이 조립체
KR20060093685A (ko) 피어싱 장신구
KR101633418B1 (ko) 간편하게 이중 구조로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TWI829413B (zh) 調整式扣具及調整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