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664B1 - 나사식 단추 - Google Patents

나사식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664B1
KR100837664B1 KR1020080017367A KR20080017367A KR100837664B1 KR 100837664 B1 KR100837664 B1 KR 100837664B1 KR 1020080017367 A KR1020080017367 A KR 1020080017367A KR 20080017367 A KR20080017367 A KR 20080017367A KR 100837664 B1 KR100837664 B1 KR 10083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form
fixing ring
insertion pi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기
Original Assignee
민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성기 filed Critical 민성기
Priority to KR102008001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0Screw-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나사식 단추는 군인 또는 경찰 제복의 개방된 부위를 닫기 위해 고정되는 단추에 있어서, 제복의 단추구멍에 삽입되는 단추머리 하부에 돌출되어 제복에 삽입되며 외주연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삽입핀과; 상기 삽입핀에 삽입되되 숫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외주연에 요철면이 형성된 제1고정링과; 상기 제1고정링 삽입 후 제복에 관통된 삽입핀 부위의 숫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링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나사식 단추는 삽입핀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의해 제복에 자연스럽게 관통되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의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어 하/동복의 두께가 변해도 제복을 그 사이에 고정할 수 있고, 나사구조로 인하여 제복에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볼트머리, 삽입핀, 고정링, 나사부, 밀착돌기

Description

나사식 단추 { A button having thread }
본 발명은 군인 또는 경찰 제복에 탈부착되는 나사식 단추에 관한 것으로서, 제복에 삽입되는 삽입핀에 각각 결합되는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 사이에 제복을 고정함으로써 단추가 고정되는 나사식 단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추는 실을 이용하여 의류에 고정되어 사용되나 사용자의 취향이 변화되고 의복의 형태가 다양화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형태의 단추가 개발되어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069호 )에 공개된 "의류용 단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단추(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단추본체(200)의 하단에 옷감을 뚫고 관통되는 가느다란 관통침(300)이 형성되고, 관통침(300)의 말단에는 걸림턱(400)이 형성되고, 상기 단추본체(200)의 관통침(300)이 관통되는 옷감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침(300)의 걸림턱(400)이 삽입고정되는 삽입공(501)과 걸림돌기(502)가 형성된 고정판(50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관통침이 고정판의 걸림돌기에 고정되기 위하여 그 끝단에 화살표 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착탈시 옷감이 크게 훼손되고, 이로 인하여 단추를 제복에 영구적으로 고정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복 두께에 따라서 관통침 길이에 여유가 발생되어 단추가 움직임으로써 사용자가 활동중에 단추가 풀리거나 고정판과 관통침이 신체에 자주 접촉되어 신체를 훼손 및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삽입핀이 제복에 원활하게 관통되도록 그 외주연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삽입핀은 제1고정링이 고정된 후 제복에 관통되고, 제복 내측면에 제2고정링이 삽입 후 제1고정링을 향하여 제복을 압입하며 고정됨으로써 제복에 고정되는 구조로 착탈이 용이한 나사식 단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군인 또는 경찰 제복의 개방된 부위를 닫기 위해 고정되는 단추에 있어서, 제복의 단추구멍에 삽입되는 단추머리 하부에 돌출되어 제복에 삽입되며 외주연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삽입핀과; 상기 삽입핀에 삽입되되 숫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외주연에 요철면이 형성된 제1고정링과; 상기 제1고정링 삽입 후 제복에 관통된 삽입핀 부위의 숫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링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고정링은 제복에 밀착되는 내측면에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링은 인체로 돌출되는 삽입핀이 감싸지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나사식 단추는 삽입핀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의해 제복에 자연스럽게 관통되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의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어 하/동복의 두께가 변해도 제복을 그 사이에 고정할 수 있고, 나사구조로 인하여 제복에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복이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삽입핀 관통부위의 약해진 의류조직이 외력에 의해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2고정링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돌기로 인하여 제복에 압입되어 제복에서 단추가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추의 분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나사식 단추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단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실시예로서,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단추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나사식 단추는 제복에 형성된 단추구멍에 삽입되는 단추머리(10)와, 상기 단추머리(10) 하부에 돌출되되 외주연에 숫나사부(21)가 형성된 삽입핀(20)과, 상기 삽입핀(20)에 삽입되는 제1결합공(31)이 중앙에 형성된 원판형태의 제1고정링(30)과, 상기 제1고정링(30) 삽입 후 제복에 관통된 삽입핀(20)에 삽입되는 제2결합공(41)이 중앙에 형성된 제2고정링(40)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핀(20)은 끝단이 제복에 삽입되되 제복의 손상을 최소화 하며 시계/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숫나사부(21)가 외주연에 형성된다.
또한 삽입핀(20)에 제1고정링(30)과 제2고정링(40)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그 사이에 제복이 고정되는 것으로 단추(1)가 제복에 견고히 고정될 뿐만 아니라 숫나사부(21)로 인하여 제1고정링(30)과 제2고정링(40)의 결합/분해가 용이한 것이다.
제1고정링(30)은 삽입핀(20)에 삽입되며 숫나사부(21)와 결합되는 암나사부(311)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31)과, 외주연에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자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면(32)이 형성된 것으로 도 2와 같이 넓은 지름의 원판형태로 구성되나 도 5와 같이 링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제2고정링(40)은 삽입핀(20)에 삽입되며 숫나사부(21)와 결합되는 암나사부(411)가 내측에 형성된 제2결합공(31)과, 제복과 밀착되는 반구형태의 외측 표면에 다수개의 밀착돌기(42)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기(42)는 제복을 압입하며 고정되며 이로 인하여 단추(1)가 제복 에 견고히 밀착되고 마찰력이 증대되어 단추(1)의 분실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밀착돌기(40)는 반구 형태로써 신체로 돌출된 삽입핀(20)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삽입핀(20)에 의해 신체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숫나사부(21)에 결합되는 암나사부(311,411)가 제1결합공(31)과 제2결합공(41) 내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링(30)과 제2고정링(40)의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어 제복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제1고정링(30)과 제2고정링(40)의 위치를 변경하여 단추(1)를 제복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숫나사부(21)가 형성된 삽입핀(20)에 숫나사부(21)와 결합되는 암나사부(311)가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31)이 중앙에 형성된 제1고정링(30)이 삽입된다.
이때 제1고정링(30)은 제복(A)의 두께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도 6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동복과 같은 경우는 제1고정링(30)의 위치를 볼트머리(10)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링(30)의 위치 고정 후 삽입핀(20)을 제복(A)의 단추구멍이 위치되는 부위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제복(A) 내측으로 돌출된 삽입핀(20)에 제2고정링(40)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링(40)은 제1고정링(30)과 마찬가지로 숫나사부(21)와 결합되는 암나사부(411)가 내측에 형성된 제2결합공(41)에 삽입핀(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복(A)과 밀착되는 제2고정링(40)의 내측면은 다수개의 밀착돌기(42)가 형성되어 제2고정링(40)과 제복(A)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제2고정링(40) 풀림으로 인하여 단추(1)가 분실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사식 단추는 삽입핀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의해 제복에 원활하게 착탈되어 여러의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복이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 사이에 압착됨으로써 삽입핀 관통부위의 약해진 의류조직이 외력에 의해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2고정링이 제복과 밀착되는 내측면에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단추가 풀리지 않도록 하여 분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류용 단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식 단추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단추머리 20 : 삽입핀
21 : 숫나사부 30 : 제1고정링
31 : 제1결합공 311 : 암나사부
32 : 요철면 40 : 제2고정링
41 : 제2결합공 411 : 암나사부
42 : 밀착돌기

Claims (3)

  1. 삭제
  2. 제복의 단추구멍에 삽입되는 단추머리(10) 하부에 돌출되어 제복에 삽입되며 외주연에 숫나사부(21)가 형성된 삽입핀(20)과, 상기 삽입핀(20)에 삽입되되 숫나사부(21)에 결합되는 암나사부(311)가 내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공(31)이 중앙에 형성되며 외주연에 요철면(32)이 형성된 제1고정링(30)과, 상기 제1고정링(30) 삽입 후 제복에 관통된 삽입핀(20) 부위의 숫나사부(21)에 결합되는 암나사부(411)가 내측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4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링(40)이 형성되어 군인 또는 경찰 제복의 개방된 부위를 닫기 위해 고정되는 단추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링(40)은 제복에 밀착되는 내측면에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다수개의 밀착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식 단추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링(40)은 인체로 돌출되는 삽입핀(20)이 감싸지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식 단추구조.
KR1020080017367A 2008-02-26 2008-02-26 나사식 단추 KR10083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67A KR100837664B1 (ko) 2008-02-26 2008-02-26 나사식 단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67A KR100837664B1 (ko) 2008-02-26 2008-02-26 나사식 단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664B1 true KR100837664B1 (ko) 2008-06-13

Family

ID=3977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367A KR100837664B1 (ko) 2008-02-26 2008-02-26 나사식 단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64B1 (ko) 2013-11-21 2014-08-29 강병주 임플란트 타입 양면단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943A (ko) * 1985-09-14 1987-04-14 서형우 고강도 합성수지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943A (ko) * 1985-09-14 1987-04-14 서형우 고강도 합성수지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264B1 (ko) 2013-11-21 2014-08-29 강병주 임플란트 타입 양면단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6437B2 (ja) 紐端止め具
KR100837664B1 (ko) 나사식 단추
TW585751B (en) Mechanism for locking pin for personal ornaments
US20080216372A1 (en) Identification Bracelet
US11464300B2 (en) Display attachment
US9516929B1 (en) Fastening structure of jewellery
KR102221140B1 (ko) 해제 방지 기능을 갖는 팔찌용 체결구
KR20100005103U (ko) 귀걸이 조립체
KR200427550Y1 (ko) 피어싱 장신구
KR20060093685A (ko) 피어싱 장신구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221232Y1 (ko) 귀걸이
KR200407534Y1 (ko) 고정구 일체형 귀걸이
KR100845208B1 (ko) 장신구 연결장치
KR200383236Y1 (ko) 벨트용 마찰식 버클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CN211984116U (zh) 一种扣带及磁铁对扣
TWI296508B (ko)
US11877632B1 (en) Earring with flexible post
KR102108991B1 (ko) 귀걸이 고정구
JP3169891B2 (ja) 装飾体
KR200386150Y1 (ko) 안전핀
KR20180132244A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0179871Y1 (ko) 장신용 체인의 록크
US20220022605A1 (en) Safety Pi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