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236Y1 - 벨트용 마찰식 버클 - Google Patents

벨트용 마찰식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236Y1
KR200383236Y1 KR20-2005-0003759U KR20050003759U KR200383236Y1 KR 200383236 Y1 KR200383236 Y1 KR 200383236Y1 KR 20050003759 U KR20050003759 U KR 20050003759U KR 200383236 Y1 KR200383236 Y1 KR 200383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riction
buckle
rotating member
fri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석봉
Original Assignee
안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석봉 filed Critical 안석봉
Priority to KR20-2005-0003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벨트에 일체의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체결될 수 있는 구조의 벨트용 마찰식 버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마찰부재 내에 강성 보강재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마찰식 버클의 구조를 개시하며, 이에 따라 벨트의 타단이 안내판 사이로 끼워진 이후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강성 보강재의 톱니 형상 단면이 벨트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성 보강재를 포함하는 마찰부재가 벨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이 사용되는 횟수가 증가되어 마찰부재의 표면이 닳아 마찰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마찰부재 내에 삽입되어 있는 톱니 형상의 단면의 강성 보강재를 통하여 벨트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용 마찰식 버클 {Friction buckle for belt}
본 고안은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벨트에 일체의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체결될 수 있는 구조의 벨트용 마찰식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벨트는 착용하는 바지, 치마 등의 의복 착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면서, 동시에 장신구 역할을 하여 액세서리 종류의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벨트는 인조가죽, 천연가죽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벨트의 일단에는 벨트의 타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버클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클은 벨트와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재봉 타입, 리벳 타입, 물림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물림 타입으로 벨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버클은 용이하게 다른 버클로 교체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벨트의 타단은 예컨대, 허리를 한 바퀴 감은 상태에서 벨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버클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벨트의 체결은 버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체결핀을 구비한 버클인 경우에 벨트의 타단에 다수의 체결공을 뚫은 후 버클의 체결핀을 다수의 체결공 중 하나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벨트가 체결되고, 체결핀이 없는 버클인 경우에 벨트의 타단이 버클의 안내홈에 관통된 상태에서 눌려지는 방식으로 벨트가 체결될 수 있다.
벨트의 타단을 누르는 방식의 버클은 고무 재질의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무 재질의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버클의 예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19352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벨트용 마찰식 버클(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193525호 참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버클(10)은 벨트(80)가 안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안내판(22)이 일체로 형성된 버클 몸체(20)와, 버클 몸체(20)에 평행하게 안내판(2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축(24)과, 고정축(24)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30)와, 회전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고하게 접착되는 부채꼴 단면의 마찰부재(40)와, 마찰부재(40)가 버클 몸체(20)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축(24)과 회전부재(30) 사이에 연결되는 스프링(50) 및 회전부재(3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버클을 이용하여 벨트가 체결된다면, 벨트의 타단이 버클 몸체와 고정축 사이로 안내되어 끼워진 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마찰부재 - 실제로는 회전부재 - 가 버클 몸체를 향해 지지됨으로써 벨트의 타단이 마찰부재와 버클 몸체 사이에 끼워져 눌려짐으로써 벨트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벨트의 일단'이라 함은 버클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이고, '벨트의 타단'이라 함은 벨트의 일단과 반대 단부이고, 버클의 안내판 사이로 끼워진 후 체결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에 도시된 벨트(80)는 실질적으로 벨트의 타단, 즉 버클에 체결되고자 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이처럼, 벨트의 타단이 버클 몸체와 고정축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부채꼴 단면의 마찰부재가 버클 몸체를 향하여 벨트의 타단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벨트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종래의 버클은 고무 재질의 마찰부재만을 이용하여 벨트의 타단을 버클 몸체 측으로 눌러 고정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벨트를 사용함에 따라 마찰부재의 표면이 닳게 되어 그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고,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벨트를 안정적으로 체결하는 데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무 재질의 마찰부재가 닳게 되는 경우에도 벨트를 누르는 힘이 감소하지 않는 구조의 벨트용 마찰식 버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벨트를 누르는 힘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벨트용 마찰식 버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부에 안내판이 형성된 버클 몸체와; 버클 몸체와 평행하고, 안내판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고하게 접합된 마찰부재와; 마찰부재가 버클 몸체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축과 회전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스프링; 및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스프링에 의한 마찰부재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이때 마찰부재의 내측에 강성 보강재가 삽입됨으로써 마찰부재와 버클 몸체 사이의 마찰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마찰식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강성 보강재는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강성 보강재의 표면은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마찰부재는 고무 재질의 탄성부재이고, 강성 보강재는 회전부재와 동일한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마찰식 버클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벨트용 마찰식 버클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110)은 벨트가 안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양 측면에 안내판(122)이 일체로 형성된 버클 몸체(120)와, 버클 몸체(120)에 평행하게 안내판(12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축(124)과, 고정축(124)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130)와, 회전부재(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고하게 접착되는 마찰부재(140)와, 마찰부재(140)가 버클 몸체(120)를 향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축(124)과 회전부재(130) 사이에 연결되는 스프링(150) 및 회전부재(13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132)를 포함하고, 이에 덧붙여 마찰부재(140)의 내측에 강성 보강재(16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찰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강성 보강재(160)는 회전부재(1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톱니 모양의 단면(162)을 갖도록 그 표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톱니 형상의 단면(162)에 의해 벨트를 버클 몸체(120)를 향해 보다 강하게 눌러 줌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벨트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강성 보강재(160)는 회전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마찰부재(140)가 접착되는 부분의 회전부재(130)가 돌출되어 연장됨으로써 강성 보강재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강성 보강재(160)는 회전부재(1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강성 보강재(160)가 고무 재질의 마찰부재(14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벨트용 마찰식 버클을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버클 몸체(120)는 주물로 제작되는 평판형 몸체이고, 안내판(122)이 형성된 방향으로 약간 휘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클 몸체(120) 중 볼록하게 형성되는 면에는 선택적으로 장식물이 부착되거나 또는 문양을 새겨 넣음으로써 액세서리와 같은 역할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안내판(122)은 버클 몸체(120)의 양 측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고정축(124)이 안내판(122)의 대응하는 두 지점을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고정축이 형성되지 않은 안내판의 대응하는 다른 두 지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연결판(126)이 더 형성됨으로써 벨트의 타단이 안내되는 입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연결판(126)은 벨트가 체결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축(124) 이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축(124)의 외주를 따라 회전부재(130)가 형성되며, 회전부재(130)에 마찰부재(140)가 견고하게 접착되고, 마찰부재(140)의 내측으로 회전부재(130)의 일부가 돌출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강성 보강재(160)로 구성될 수 있다.
강성 보강재의 표면은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톱니 형상의 단면이 고무 재질의 마찰부재를 개재하여 대응하는 벨트의 표면을 강하게 눌러주어 벨트의 체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마찰부재(140)가 접착되지 않은 회전부재(130)의 다른 면에는 결합부재(170)가 형성되며, 결합부재(170)에 벨트의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벨트의 일단에 본 고안의 버클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재(170)는 재봉타입으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이에 관계없이 물림타입의 결합부재가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벨트의 타단을 체결하기 위하여 마찰부재를 사용하고 마찰부재의 내측에 강성 보강재가 삽입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특징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도 4a 및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버클에 벨트가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벨트의 타단이 본 고안의 버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4b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찰부재를 뒤로 물려 벨트의 타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의 타단은 강성 보강재가 삽입되어 형성된 마찰부재와 버클 몸체 사이에 끼워진 후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받아 벨트를 누르는 마찰부재의 힘에 의해 체결되며, 톱니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강성 보강재가 마찰부재 내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강하게 벨트를 체결할 수 있다. 즉, 벨트의 타단이 안내판 사이로 끼워진 이후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강성 보강재의 톱니 형상 단면이 벨트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성 보강재를 포함하는 마찰부재가 벨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이 사용되는 횟수가 증가되어 마찰부재의 표면이 닳아 마찰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마찰부재 내에 삽입되어 있는 톱니 형상의 단면의 강성 보강재를 통하여 벨트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마찰식 버클은 마찰부재 내에 강성 보강재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벨트의 타단이 안내판 사이로 끼워진 이후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강성 보강재의 톱니 형상 단면이 벨트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성 보강재를 포함하는 마찰부재가 벨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이 사용되는 횟수가 증가되어 마찰부재의 표면이 닳아 마찰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마찰부재 내에 삽입되어 있는 톱니 형상의 단면의 강성 보강재를 통하여 벨트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클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버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도 4a 및 4b는 도 2의 버클을 이용하여 벨트가 체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버클 20, 120 : 버클 몸체
22, 122 : 안내판 24, 124 : 고정축
30, 130 : 회전부재 32, 132 : 손잡이
40, 140 : 마찰부재 50, 150 : 스프링
80, 180 : 벨트 126 : 연결판
160 : 강성 보강재 162 : 톱니 형상의 단면
170 : 결합부재

Claims (4)

  1. 양측부에 안내판이 형성된 버클 몸체;
    상기 버클 몸체와 평행하고, 상기 안내판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고하게 접합된 마찰부재;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버클 몸체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스프링;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한 상기 마찰부재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의 내측에 강성 보강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버클 몸체 사이의 마찰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마찰식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마찰식 버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재의 표면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마찰식 버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 재질의 탄성부재이고, 상기 강성 보강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마찰식 버클.
KR20-2005-0003759U 2005-02-11 2005-02-11 벨트용 마찰식 버클 KR200383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59U KR200383236Y1 (ko) 2005-02-11 2005-02-11 벨트용 마찰식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59U KR200383236Y1 (ko) 2005-02-11 2005-02-11 벨트용 마찰식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236Y1 true KR200383236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759U KR200383236Y1 (ko) 2005-02-11 2005-02-11 벨트용 마찰식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2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868B1 (ko) * 2015-02-28 2015-06-03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868B1 (ko) * 2015-02-28 2015-06-03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1560U (ja) ヘッドホン用装飾具
KR200320870Y1 (ko) 끈 고정구
JP2012139360A (ja) 顔面装着具
JP2010522576A (ja) バックル
KR200383236Y1 (ko) 벨트용 마찰식 버클
KR100833620B1 (ko) 핸드폰 고리 클립
JP2009513229A (ja)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US20080120814A1 (en) Belt buckle
KR200444116Y1 (ko) 가압부재가 형성된 벨트용 버클
US11219278B1 (en) Double-sided belt buckle improvement
CN214047811U (zh) 表带及穿戴设备
KR101321283B1 (ko) 벨트용 버클 연결구
KR200421952Y1 (ko) 삽입 및 결착 양용 명찰 부착구
KR200378675Y1 (ko) 버클이 구비된 벨트
JP2020180403A (ja) 衣服用ベルト
JPH0730727U (ja) 腕時計バンド用三つ折れ式留め具
KR200193525Y1 (ko) 벨트용 마찰식 버클
KR200286070Y1 (ko) 셔츠고정용 클립을 갖는 넥타이
KR100837664B1 (ko) 나사식 단추
US20210145134A1 (en) Bungee Bead Apparatus
KR200482081Y1 (ko) 구둣주걱 및 이를 구비하는 허리벨트
WO2007058511A1 (en) Buckle for belt
KR200190617Y1 (ko) 벨트용 버클
KR20110001628U (ko) 회전이 되고 신축성을 가진 버클
KR200193495Y1 (ko) 자석이 부착된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