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868B1 - 의복벨트용 버클 - Google Patents

의복벨트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868B1
KR101524868B1 KR1020150028734A KR20150028734A KR101524868B1 KR 101524868 B1 KR101524868 B1 KR 101524868B1 KR 1020150028734 A KR1020150028734 A KR 1020150028734A KR 20150028734 A KR20150028734 A KR 20150028734A KR 101524868 B1 KR101524868 B1 KR 10152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hole
piece
protrus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670A (ko
Inventor
송광수
송지나
송나라
Original Assignee
송광수
송지나
송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수, 송지나, 송나라 filed Critical 송광수
Priority to KR102015002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8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벨트 구멍에 삽입되는 버클의 돌기부를 손잡이부와 별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은 힘만으로도 벨트의 해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버클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의복벨트용 버클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은 다수의 구멍(H)이 형성된 허리띠(A)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의복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하측에 축공(50)이 형성되고 버클몸체(B) 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100); 및 상기 플랜지(100)에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움직이는 레버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부(200)는 일측의 상하에는 체결공(350)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하에는 조립핀(360)이 통과하는 통공(370)이 형성되고, 타측의 중심부에는 뚫림부위(38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공간부(390)가 형성된 제1 편(300); 상기 제1 편(300)의 뚫림부위(380)에 안착되어, 상기 제1편(300)과 조립핀(36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움직이며, 돌기머리(410)와 통공(430)이 형성된 돌기몸체(450)를 갖는 회동 돌기부(400); 및 상기 플랜지(100)의 축공(50)과 결합하는 체결공(550)이 상하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부(57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스프링(S)을 수용하는 공간부(580)를 형성하고, 스프링 고정봉(590)을 통하여 상기 제1편(300)의 체결공(350)과 결합하여 상기 제1 편(300)을 내삽결합하는 제2 편(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복벨트용 버클{Buckle for garments}
본 발명은 의복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띠에 형성된 구멍에 후크 결합을 하는 후크형 버클이면서도 작은 움직임의 누름 동작만으로 간단히 후크 결합과 후크 해체가 가능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즉, 후크형 버클의 장점인 허리띠와의 단단한 결속력을 유지하면서도, 후크형 버클의 단점인 길게 형성된 후크를 허리띠의 구멍에 넣었다 빼었다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자동형 버클의 장점인 누름 동작만으로도 허리띠와의 착탈이 편리함 점을 유지하면서도, 자동형 버클의 단점인 허리띠 내측의 돌기부 형성과정을 제거함으로써, 종래 다양한 의복벨트용 버클들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그러한 버클들이 지닌 단점을 소거시킨 의복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벨트용 버클은 벨트를 허리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게 후크형과 자동형으로 분별된다. 등록실용신안 20-473562에서 볼 수 있듯이 도 1과 같은 후크형 버클은 허리띠(A)에 형성된 구멍(H)에 후크(Q)를 넣어서 체결하는 방식으로서 허리에로의 고정력이 단단하며, 오랜 사용으로 인한 불량률 발생이 낮은 편이어서 내구성 측면에서의 장점은 있으나, 허리띠의 조임과 해체시에 매번 후크를 넣었다 빼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해야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반면, 실용신안실 1997-0005447에서 볼 수 있는 도 2와 같은 자동형 버클은 간단한 누름 동작만으로 허리띠의 조임과 해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은 있으나, 벨트 허리띠의 내측에 돌기와 같은 특수한 구조를 채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품 제작의 공정을 증가시키고, 제품사용에 따른 마찰에 의한 돌기부위의 마모현상으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약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종래 자동형 버클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자동형 버클 본체(1)에 플랜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는 횡간(3)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횡간에는 고리(4)가 고정된 벨트 고정부재(5)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 고정부재(5)에는 내측면으로 복수개의 랙(6)을 갖는 벨트(7)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2)에는 버클 본체(1)와 이격되도록 회전축(8)이 끼워져 상기 회전축의 양단이 버클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버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에는 레버(9)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버클 본체(1)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축(8)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벨트(7)의 내측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랙(6)중 어느 하나의 랙에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걸림상태에서 해제되는 걸림편(10)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축(8)에는 판스프링(11)이 걸려 있어 걸림편(10)이 랙(6)에 걸릴 때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클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 제조에 따른 비용을 증대시키고, 벨트 허리띠의 내측에 돌기와 같은 랙을 형성해야하므로 벨트 허리띠의 양면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랙(6)과 걸림편(10)의 마찰로 인하여 사용시간이 증대함에 따라 랙(6)의 마모도가 증가하여 벨트의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후크형 버클의 장점인 강한 결속력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후크형 버클의 단점인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자동형 버클의 장점인 사용상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자동형 버클의 단점인 벨트 내부에 돌기와 같은 랙을 형성해야하는 필요성을 소거하고, 요구되는 제품 부속품이 많아서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동형 버클의 착탈시 요구되는 힘보다 더욱 작은 힘만으로도 벨트의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 버클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시아권에서는 자동형 버클을 선호하는 반면에 유럽 및 미주권역에서는 후크형 버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동형 버클의 장점과 후크형 버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양 버클형태의 단점을 소거시킴으로써 혁대용 버클의 세계화에 부흥하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은 다수의 구멍(H)이 형성된 허리띠(A)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의복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하측에 축공(50)이 형성되고 버클몸체(B) 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100); 및 상기 플랜지(100)에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움직이는 레버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부(200)는 일측의 상하에는 체결공(350)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하에는 조립핀(360)이 통과하는 통공(370)이 형성되고, 타측의 중심부에는 뚫림부위(38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공간부(390)가 형성된 제1 편(300); 상기 제1 편(300)의 뚫림부위(380)에 안착되어, 상기 제1편(300)과 조립핀(36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움직이며, 돌기머리(410)와 통공(430)이 형성된 돌기몸체(450)를 갖는 회동 돌기부(400); 및 상기 플랜지(100)의 축공(50)과 결합하는 체결공(550)이 상하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부(57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스프링(S)을 수용하는 공간부(580)를 형성하고, 스프링 고정봉(590)을 통하여 상기 제1편(300)의 체결공(350)과 결합하여 상기 제1 편(300)을 내삽결합하는 제2 편(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의 상기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머리(410)는 머리 말단이 라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의 상기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몸체(450) 저면에는 걸림턱(470)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은 종래의 후크형 버클의 장점인 강한 결속력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후크형 버클의 단점인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자동형 버클의 장점인 사용상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자동형 버클의 단점인 벨트 내부에 랙을 형성해야하는 필요성을 소거하고, 요구되는 제품 부속품이 많아서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동형 버클의 착탈시 요구되는 힘보다 더욱 작은 힘만으로도 벨트의 착탈이 용이해지는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벨트 구멍에 삽입되는 버클의 돌기부를 손잡이부에 가해지는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은 힘만으로도 벨트의 해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버클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하고, 제품 불량률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트의 내측면에 고정역할을 하는 랙을 형성해야만 했던 종래 자동형 버클의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서 벨트 제품의 불량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벨트의 내측면에 랙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벨트 줄의 양면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벨트 제품의 활용도를 다양하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크형 버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형 버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버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버클에 고정된 허리띠를 해체할 경우, 각 단계별로 레버부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단계에서의 회동 돌기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의 (c)단계에서의 회동 돌기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d)단계가 나타내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은 크게 플랜지(100)와 레버부(200)로 분별되며, 레버부(200)는 제1 편(300), 회동 돌기부(400) 및 제2 편(500)으로 구성되어 의복벨트용 버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성요소별로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플랜지(100)는 버클몸체(B) 이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플랜지의 상하측에는 축공(50)이 형성되어 후술할 레버부(200)의 제2 편(500)에 형성된 체결공(550)과 결합한다. 상기 버클몸체(B)의 전면은 도 3과 같이 판 형상일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개구된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레버부(200)는 상기 플랜지(100)에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움직이며, 회동 돌기부(400)와 결합하는 제1 편(300), 상기 제1 편(300)을 내삽결합하는 제2 편(500)으로 구성된다. 제1 편(300)의 일측 상하에는 체결공(350)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하에는 조립핀(360)이 통과하는 통공(370)이 형성되고, 타측의 중심부에는 뚫림부위(380)가 형성된다. 상기 뚫림부위(380)에는 후술할 회동 돌기부(40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조립핀(360)을 통하여 회동 돌기부(400)와 상기 제1 편(300)이결합하게 되고, 제1 편(300)의 내측에는 공간부(390)가 형성된다. 회동 돌기부(400)는 상기 제1 편(300)의 뚫림부위(380)에 안착되어, 상기 제1편(300)과 조립핀(36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움직이며, 회동 돌기부(400)는 돌기머리(410)와 통공(430)이 형성된 돌기몸체(450)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머리(410)는 머리 말단이 라운드 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허리띠(A)의 구멍(H)에로의 착탈시에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면서 허리띠의 해체 용이성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몸체(450) 저면에는 걸림턱(47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470)은 회동 돌기부(400)가 회전하는 경우 제1 편(300)에 걸리게 되어서, 회동 돌기부(400)의 회전이 일정 각도(α)만 꺾일 수 있도록 한다. 제2 편(500)은 상기 플랜지(100)의 축공(50)과 결합하는 체결공(550)이 상하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부(57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스프링(S)을 수용하는 공간부(580)를 형성하고, 스프링 고정봉(590)을 통하여 상기 제1편(300)의 체결공(350)과 결합한다. 즉, 회전 돌기부(400)가 결합 된 제1 편(300)은 제2 편(500)과 맞물리면서 제2 편(500)에 내삽된다. 위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인 의복벨트용 버클의 동작 관계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버클에 고정된 허리띠를 해체할 경우, 각 단계별로 레버부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버클몸체(B)가 허리띠(A)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이며, 레버부(200)의 제1 편(300)과 결합한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머리(410)가 허리띠(B)의 구멍(H)에 삽입됨으로써 버클과 허리띠가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허리띠를 해체하기 위하여 도 4(b)와 같이 레버부(200)의 제2 편(500)에 형성된 손잡이(570)를 가압하게 되면, 도 4(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레버부(200)의 제1 편(300)과 제2 편(500)은 가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반면에 레버부(200)의 제1 편(300)에 결합된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머리(410)는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인 안쪽으로 일정 각도(α)만큼 꺽이게 된다. 도 5는 도 4(b)단계에서의 돌기머리(410)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버클 몸체 전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돌기머리(410)의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b)는 제1 편(300)에 결합된 돌기머리(410)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1 편(300)의 전면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c)는 제1 편(300)의 후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즉, 도 4(b) 단계는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머리(410)가 허리띠(A)의 구멍(H)에 삽입된 상태로서, 이 경우 돌기머리(410)의 방향은 12시 방향을 향하지만, 도 4(c) 단계와 같이 허리띠(A)를 해체하기 위하여 버클의 손잡이부(57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기머리(410)가 일정 각도(α)로 안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일정 각도(α)는 약 20~30°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은 도 4(c)단계에서의 돌기머리(410)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버클 몸체 전면에서 바라 본 돌기머리(410)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b)는 제1 편(300)에 결합된 돌기머리(410)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1 편(300)의 전면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6(c)는 제1 편(300)의 후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즉, 레버부(200)의 손잡이(570)에 가해지는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회동 돌기부(400)의 움직임 때문에 허리띠와의 마찰력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아주 작은 힘으로서 벨트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나타낸 설명도가 도 4(d) 및 도 7에 해당한다. 도 7은 도 4(d) 단계의 확대도인데, 손잡이(570)에 가해지는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인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회동 돌기부(400)로 인하여 허리띠(A)와의 아주 작은 간격(E)만으로도 벨트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 허리띠 B : 버클몸체
100 : 플랜지 200 : 레버부
300: 제1 편 350 : 체결공
360 : 조립핀 370 : 통공
380 : 뚫림부위 390 : 공간부
400 : 회동 돌기부 410 : 돌기머리
430 : 통공 450 :돌기몸체
470 : 걸림턱 500 : 제2 편
550 : 체결공 570 : 손잡이부
580 : 공간부 590 : 스프링 고정봉

Claims (3)

  1. 다수의 구멍(H)이 형성된 허리띠(A)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의복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하측에 축공(50)이 형성되고 버클몸체(B) 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100); 및
    상기 플랜지(100)에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움직이는 레버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부(200)는
    일측의 상하에는 체결공(350)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하에는 조립핀(360)이 통과하는 통공(370)이 형성되고, 타측의 중심부에는 뚫림부위(38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공간부(390)가 형성된 제1 편(300);
    상기 제1 편(300)의 뚫림부위(380)에 안착되어, 상기 제1편(300)과 조립핀(36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움직이며, 돌기머리(410)와 통공(430)이 형성된 돌기몸체(450)를 갖는 회동 돌기부(400); 및
    상기 플랜지(100)의 축공(50)과 결합하는 체결공(550)이 상하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부(57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스프링(S)을 수용하는 공간부(580)를 형성하고, 스프링 고정봉(590)을 통하여 상기 제1편(300)의 체결공(350)과 결합하여 상기 제1 편(300)을 내삽결합하는 제2 편(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머리(410)는 머리 말단이 라운드 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돌기부(400)의 돌기몸체(450) 저면에는 걸림턱(4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버클.
KR1020150028734A 2015-02-28 2015-02-28 의복벨트용 버클 KR10152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734A KR101524868B1 (ko) 2015-02-28 2015-02-28 의복벨트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734A KR101524868B1 (ko) 2015-02-28 2015-02-28 의복벨트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670A KR20150029670A (ko) 2015-03-18
KR101524868B1 true KR101524868B1 (ko) 2015-06-03

Family

ID=5302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734A KR101524868B1 (ko) 2015-02-28 2015-02-28 의복벨트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070A (ko) * 2015-06-08 2016-12-16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KR20190058083A (ko) 2017-11-21 2019-05-29 남정연 자력을 이용한 버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8629U (ko) * 1976-06-12 1977-12-21
JPS6048809U (ja) * 1983-09-12 1985-04-05 八幡 永次 バンドの止め具
KR200234224Y1 (ko) * 1998-10-15 2001-10-25 윤성연 혁대용버클
KR200383236Y1 (ko) * 2005-02-11 2005-05-03 안석봉 벨트용 마찰식 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8629U (ko) * 1976-06-12 1977-12-21
JPS6048809U (ja) * 1983-09-12 1985-04-05 八幡 永次 バンドの止め具
KR200234224Y1 (ko) * 1998-10-15 2001-10-25 윤성연 혁대용버클
KR200383236Y1 (ko) * 2005-02-11 2005-05-03 안석봉 벨트용 마찰식 버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070A (ko) * 2015-06-08 2016-12-16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KR101721440B1 (ko) * 2015-06-08 2017-03-30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KR20190058083A (ko) 2017-11-21 2019-05-29 남정연 자력을 이용한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670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2707B (zh) 可更換扣部的皮帶頭
US8132298B2 (en) Fastener for cord
KR200405410Y1 (ko) 버클
US6773080B2 (en) Bracket device for a track assembly
US20110209946A1 (en) Step stool
WO2020259159A1 (zh) 可穿戴设备、表带组合件及表壳组合件
KR101524868B1 (ko) 의복벨트용 버클
CA2810062C (en) Lock shell assembly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756277B1 (ko) 버클
KR20180022235A (ko) 냉장고
JP2002262921A (ja) 携帯品装着用の取付装置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TWI732257B (zh) 推拉桿模組
KR100785899B1 (ko) 스냅 락킹 장치
KR101721440B1 (ko) 의복벨트용 버클
KR101147113B1 (ko) 조리용기용 분리형 손잡이
US20070277354A1 (en) Slide fastener
WO2022001698A1 (zh) 可更换门面的冰箱门
KR101924194B1 (ko) 자동버클용 벨트 고정장치
KR101253837B1 (ko) 벨트용 버클
CN218713605U (zh) 花洒支架
US10624425B2 (en) Belt buckle structure
KR200239490Y1 (ko) 혁대용 버클
KR200462995Y1 (ko) 혁대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