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083A - 자력을 이용한 버클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083A
KR20190058083A KR1020170155733A KR20170155733A KR20190058083A KR 20190058083 A KR20190058083 A KR 20190058083A KR 1020170155733 A KR1020170155733 A KR 1020170155733A KR 20170155733 A KR20170155733 A KR 20170155733A KR 20190058083 A KR20190058083 A KR 20190058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ckle
magnetic force
bel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254B1 (ko
Inventor
남정연
Original Assignee
남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연 filed Critical 남정연
Priority to KR1020170155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벨트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벨트가 고정되는 버클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마주하는 일측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적어도 타측은 자력에 의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시키며, 자력에 의해 상기 벨트가 상기 버클 타측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력 이외의 고정수단과 벨트 가공이 배제되므로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성과 사용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력을 이용한 버클{Magnetic buckle}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력을 벨트의 고정수단으로 사용하여, 구조의 단순화는 물론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버클은 바지 또는 원피스 등 의류를 사람의 허리부에 고정 또는 밀착시키기 위한 벨트의 고정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클은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4868호 의복벨트용 버클(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등록된 바 있다.
선행기술은 다수의 구멍(H)이 형성된 허리띠(A)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의복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하측에 축공(50)이 형성되고 버클몸체(B) 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100); 및 상기 플랜지(100)에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움직이는 레버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부(200)는 일측의 상하에는 체결공(350)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하에는 조립핀(360)이 통과하는 통공(370)이 형성되고, 타측의 중심부에는 뚫림부위(38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공간부(390)가 형성된 제1 편(300); 상기 제1 편(300)의 뚫림부위(380)에 안착되어, 상기 제1편(300)과 조립핀(360)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움직이며, 돌기머리(410)와 통공(430)이 형성된 돌기몸체(450)를 갖는 회동 돌기부(400); 및 상기 플랜지(100)의 축공(50)과 결합하는 체결공(550)이 상하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부(570)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스프링(S)을 수용하는 공간부(580)를 형성하고, 스프링 고정봉(590)을 통하여 상기 제1편(300)의 체결공(350)과 결합하여 상기 제1 편(300)을 내삽결합하는 제2 편(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발명의 필수요소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의복벨트용 버클은 종래의 후크형 버클의 장점인 강한 결속력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후크형 버클의 단점인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버클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부품의 최소화 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방대하므로 생산력이 양호하지 못하며, 특히, 벨트의 가공이 선행되어야 하는 등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벨트의 가공이 선행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지 못한데, 즉, 벨트를 고정할 때, 홀이 없는 위치가 요구될 경우, 홀을 더 형성시키거나, 벨트의 절단하여 새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홀과 홀의 위치가 제한되므로, 신체 변화에 따른 대응이 용이하지 못하여, 신체 변화에 따라 다수의 홀을 더 형성시키거나, 벨트를 절단하여 길이를 새로이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소의 구성요소로서, 벨트를 고정할 수 있는 버클이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신체 변화에도 벨트의 별도 가공을 하지 않으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버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4868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 이외의 고정수단과 벨트 가공이 배제되므로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성과 사용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력으로 벨트가 버클에 고정되므로, 벨트 양단 사이 전체가 고정범위에 해당하며, 따라서 체형 내지는 신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구조 없이 자력으로만 벨트가 버클에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벨트 구멍의 확장 내지는 잦은 이물림으로 인한 벨트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벨트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벨트가 고정되는 버클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마주하는 일측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적어도 타측은 자력에 의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시키며, 자력에 의해 상기 벨트가 상기 버클 타측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을 개시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음극 또는 양극의 자성체 및 자력에 대응하는 금속 중 하나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일측에 제1천공이 마련된 제1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자성체 또는 금속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1브래킷과 마주하는 일측에 제2천공이 마련된 제2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천공과 제2천공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를 통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일측에 제1천공이 마련된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동면 타측에 음극 또는 양극의 자성체 및 자력에 대응하는 금속의 제1자력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브래킷과 마주하는 일측에 제2천공이 마련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의 동면 타측에 상기 제1자력편에 대응하는 자성체 또는 금속의 제2자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천공과 제2천공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를 통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는, 서로 마주하는 타측에 기절설된 각도로 굴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이격시키기 위한 견인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견인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돌기의 단부는 상부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력 이외의 고정수단과 벨트 가공이 배제되므로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성과 사용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으로 벨트가 버클에 고정되므로, 벨트 양단 사이 전체가 고정범위에 해당하며, 따라서 체형 내지는 신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구조 없이 자력으로만 벨트가 버클에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벨트 구멍의 확장 내지는 잦은 이물림으로 인한 벨트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버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버클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1플레이트(제2플레이트) 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버클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수단과 가공 없이 자력만으로 벨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 종래와 달리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특히 자력을 이용하여 사용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자력 이외의 고정수단과 더불어 벨트 가공이 배제되므로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버클(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벨트(200)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은 벨트(200)가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버클(100)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플레이트(110), 제1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서로 마주하는 각 일측이 힌지(130)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은 자력에 의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제1플레이트(110)는 음극 또는 양극의 자성체 또는 자력에 대응하는 금속의 플레이트로서, 제2플레이트(120)와 마주하는 일측에 제1브래킷(1113)이 마련된다.
제1브래킷(1113)은 제1플레이트(110) 일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출된 구조체로서 존재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심에 힌지(130) 결합을 위한 제1천공(115)이 형성되고, 제1천공(115)은 힌지(130)에 대응하는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레이트(120)는 제1플레이트(110)와 대칭의 구조로서, 제1브래킷(1113)과 마주하는 제2플레이트(120)의 일면에 제2브래킷(127)이 마련된다.
제2브래킷(127)은 제2플레이트(120)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출된 구조체로서 존재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힌지(130) 결합을 위한 제2천공(129)이 형성되고, 제2천공은 힌지(130)에 대응하는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플레이트(120)는 타측에 기설정된 각도로 굴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곡부(121)는 제1플레이트(110)와 맞닿는 접촉부(123)의 면적확장을 위한 것인데, 이는 버클(100) 일측이 힌지(130)결합으로 인하여 소정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타측의 접촉면은 선 내지는 점으로 이루어져, 벨트(200)에 대한 고정력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제2플레이트(120)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110)와 접촉할 경우, 단부 일부분만이 맞닿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플레이트(120) 양단 사이에 소정 각도의 절곡부(121)를 형성시켜 제1플레이트(110)와 맞닿는 접촉부(123)의 면적이 최대한 확보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 사이 자력 저하를 예방하고, 자력만으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벨트(200)의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의 힌지(130)가 제1브래킷(1113)의 제1천공(115)과 제2브래킷(127)의 제2천공(129)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힌지(130)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전체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이 버클(100) 타측에 편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나 제1플레이트(110)의 타측과 제2플레이트(120) 타측에 편(조각)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에는 제2브래킷(127)의 동면 타측 제2플레이트(120)와 맞닿는 영역에 제1자력편(111)이 마련되며, 제1자력편(111)은 음극 또는 양극의 자성체이거나, 자력에 대응하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레이트(120)에는 제2브래킷(127)의 동면 타측 제1자력편(111)과 맞닿는 영역에 대응하는 제2자력편(125)이 마련되며, 제2자력편(125)은 제1자력편(111)에 대응하는 자성체 또는 자력에 대응하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자력편(111)이 음극의 자성체일 경우, 제2자력편(125)은 양극의 자성체이거나, 금속편이고, 제1자력편(111)이 금속일 경우, 제2자력편(125)은 양극 또는 음극의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자력에 의해 타측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만으로 벨트(2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적어도 제2플레이트(120)에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를 이격시키기 위한 견인돌기(124)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견인돌기(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버클(100)에 고정된 벨트(200)의 해제가 용이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버클의 작동상태를 타나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돌기(124)는 제2플레이트(120) 타측 단부로부터 소정 돌출되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를 이격시키기 위한 견인점의 역할을 수행하여 이격을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즉, 도 4a와 같이 버클(100)이 닫힌 상태(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 타측이 자력에 의해 맞닿은 상태)에서 견인돌기(124)를 지시된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끌어올려, 도 4b와 같이 제2플레이트(120)를 제1플레이트(110)와 이격시킨다. 이때, 제2플레이트(120)는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플레이트(110)와 소정각도를 두고 이격된다.
이후, 도 4c와 같이 벨트(200)를 버클(100) 사이로 밀어넣어 제2플레이트(120)에 가한 힘(예를 들어, 가압 내지는 끌어올린 상태)을 해제하면, 제2플레이트(120)는 자력에 의해 제1플레이트(110)와 벨트(200)를 사이에 두고, 도 4d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벨트(20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닫힌 상태의 버클을 개방 상태(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이격)로의 전환만으로 버클(100)로부터 고정이 해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1플레이트(제2플레이트) 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버클 단부 구조는 견인돌기(124) 부분이 상부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이 부분을 손으로 지지하여 당김으로써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보다 용이하게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자력으로 벨트가 버클에 고정되므로, 벨트 양단 사이 전체가 고정범위에 해당하며, 따라서 체형 내지는 신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결합구조 없이 자력만으로 벨트가 버클에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은 벨트 구멍의 확장 내지는 잦은 이물림으로 인한 벨트의 훼손 등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버클 110 : 제1플레이트
111 : 제1자력편 113 : 제1브래킷
115 : 제1천공 120 : 제2플레이트
121 : 절곡부 123 : 접촉부
124 : 견인돌기 125 : 제2자력편
127 : 제2브래킷 129 : 제2천공
130 : 힌지 200 : 벨트

Claims (6)

  1. 일측에 벨트 일단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벨트가 고정되는 버클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마주하는 일측이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적어도 타측은 자력에 의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시키며,
    자력에 의해 상기 벨트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버클 타측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음극 또는 양극의 자성체 및 자력에 대응하는 금속 중 하나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일측에 제1천공이 마련된 제1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자성체 또는 금속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1브래킷과 마주하는 일측에 제2천공이 마련된 제2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천공과 제2천공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를 통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2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일측에 제1천공이 마련된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동면 타측에 음극 또는 양극의 자성체 및 자력에 대응하는 금속의 제1자력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브래킷과 마주하는 일측에 제2천공이 마련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의 동면 타측에 상기 제1자력편에 대응하는 자성체 또는 금속의 제2자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천공과 제2천공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를 통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는,
    서로 마주하는 타측에 기절설된 각도로 굴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용이한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이격시키기 위한 견인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견인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돌기의 단부는 상부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버클.
KR1020170155733A 2017-11-21 2017-11-21 자력을 이용한 버클 KR10200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733A KR102007254B1 (ko) 2017-11-21 2017-11-21 자력을 이용한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733A KR102007254B1 (ko) 2017-11-21 2017-11-21 자력을 이용한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083A true KR20190058083A (ko) 2019-05-29
KR102007254B1 KR102007254B1 (ko) 2019-08-06

Family

ID=6667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733A KR102007254B1 (ko) 2017-11-21 2017-11-21 자력을 이용한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9722A1 (zh) * 2022-03-25 2023-09-28 东莞永胜医疗制品有限公司 一种膝关节支具的磁吸扣结构及膝关节支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8826U (ko) * 1981-05-26 1982-11-30
JPS57192926U (ko) * 1981-05-29 1982-12-07
JPS59115908U (ja) * 1983-01-27 1984-08-04 モリト株式会社 バツクル
KR200180219Y1 (ko) * 1997-07-18 2000-05-01 김일성 혁대
KR200193522Y1 (ko) * 2000-03-17 2000-08-16 김종식 장식용 밴드 버클
KR101524868B1 (ko) 2015-02-28 2015-06-03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8826U (ko) * 1981-05-26 1982-11-30
JPS57192926U (ko) * 1981-05-29 1982-12-07
JPS59115908U (ja) * 1983-01-27 1984-08-04 モリト株式会社 バツクル
KR200180219Y1 (ko) * 1997-07-18 2000-05-01 김일성 혁대
KR200193522Y1 (ko) * 2000-03-17 2000-08-16 김종식 장식용 밴드 버클
KR101524868B1 (ko) 2015-02-28 2015-06-03 송광수 의복벨트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9722A1 (zh) * 2022-03-25 2023-09-28 东莞永胜医疗制品有限公司 一种膝关节支具的磁吸扣结构及膝关节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54B1 (ko)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272B2 (en) Clasp
CN103027443B (zh) 婴幼儿安全带扣具
JP7485443B2 (ja) 装身具用留め具、装身具用留め具の組み立てセット及び装身具
KR20190058083A (ko) 자력을 이용한 버클
US4528726A (en) Cuff link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US3757392A (en) Jewelry catch
KR102011118B1 (ko) 개선된 스냅 단추
KR20150056281A (ko) 지퍼용 슬라이더
US20030123689A1 (en) Microphone holder
JPH01115599A (ja) 穿孔シート保持装置用緊締装置のベースプレート
US3248768A (en) Hook and eye structure
US2472958A (en) Cuff link construction
JPH10272006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4056022B2 (ja) バックル
US2261089A (en) Garment clasp
JP7192082B2 (ja) ホルダ付玩具
CN210299778U (zh) 一种可转动开合的磁力扣
JP2000303233A (ja) 衣服用ベルト
EP1219200A1 (en) Magnetic button with both opposite magnets
CA1038179A (en) Tong-like spring biased jewelry clasp
JP2018175876A (ja) 玩具用ホルダ及びホルダ付玩具
JPH10127318A (ja) 時計バンド用バックル
JP6336175B1 (ja) 玩具用ホルダ及びホルダ付玩具
KR20020028554A (ko) 양극(n,s)을 이용한 자석 단추 및 그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