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219Y1 - 혁대 - Google Patents

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219Y1
KR200180219Y1 KR2019970018950U KR19970018950U KR200180219Y1 KR 200180219 Y1 KR200180219 Y1 KR 200180219Y1 KR 2019970018950 U KR2019970018950 U KR 2019970018950U KR 19970018950 U KR19970018950 U KR 19970018950U KR 200180219 Y1 KR200180219 Y1 KR 200180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groove
female
guide brack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244U (ko
Inventor
김일성
Original Assignee
김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성 filed Critical 김일성
Priority to KR2019970018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219Y1/ko
Publication of KR970053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혁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의 허리 둘레에 알맞게 맞추기 위해 조절하는 구멍이 필요 없는 혁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폭 방향의 양측에 가이드 브래킷을 가지는 베이스의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탄성 결합되는 버클 커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에는 세 개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는 내부에 자석을 내장하여 상면에 요홈을 갖는 암 록커가 매입 고정되고, 가죽띠의 전방부 소정 위치의 안쪽에는 상기 암 록커와 동일 면적을 가지며 중앙에 상기 요홈에 결합될 크기의 돌부를 갖는 수 록커를 부설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암 수록커는 그 배면에 양측으로 고정편을 가지고 이 고정편이 삽입되는 절결부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가죽띠의 일단과 전방부 소정 위치의 외피와 내피사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혁대
본 고안은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혁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의 허리둘레에 알맞게 맞추기 위해 조절하는 구멍이 필요없는 혁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혁대는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허리띠로써의 기능을 가지나 장식적인 면 또한 무시하지 못하는 물품이다.
이러한 종래의 혁대 구성을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정한 폭과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가죽띠(100)의 일단에 버클(200)이 착설되고, 타단이 이 버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허리에 둘러지게 구성된다.
이때 버클(200)의 안쪽 선단에는 구형으로 된 록 핀(210)이 형성되어, 가죽띠(100)의 타단으로부터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록 핀(210)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구멍(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죽띠(100)는 통가죽과 같이 한 몸체의 띠로 된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장식을 고려한 외피(120)와 접촉감을 좋게 한 내피(130)로 구분되어 재봉에 의해 부착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의 혁대를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은 다음과 같다.
사람의 허리둘레는 비교적 단기간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통상 혁대의 사용시 배꼽 근처에 두르기 때문에 음식을 섭취했을 때와 평상시와 차이변화가 있으며, 따라서 적어도 하루에 식사를 한 횟수만큼은 혁대의 길이 조절이 필요하다.
그리고 생리적 현상에 의한 처리 시에도 풀었다 조였다 조절하여 세팅을 하고, 또는 옷매무새를 고치기 위한 이유 등, 생각보다는 비교적 많은 정도의 혁대의 길이조절을 하게 된다.
이럴 때마다 버클(200)의 록 핀(210)을 가죽띠(100)의 구멍(110)에 착탈시키는 세팅은 그리 용이한 작업이 되지 못한다.
또한 상기와는 다른 측면으로 장기간에 걸쳐 살이 찌거나 말라 배가 나오거나 들어가는 이유에 의해 록 핀(210)이 가죽띠(100)의 구멍(110)에 남긴 자국이 쭈글쭈글한 장공의 형태로 남아 혁대의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혁대의 길이조절을 위한 세팅고정에 따른 별도의 구멍이 필요없는 혁대를 제공하여 가죽띠의 외측면이 구멍없이 말끔하여 혁대의 외장적 디자인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그 착탈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버클의 베이스 양측에 가이드 브래킷을 부착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일측과 커버의 일측을 힌지결합하고, 가이드 브래킷의 타측과 커버의 타측에 구홈과 구형돌기를 형성하여 탄성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세 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는 내부에 자석을 내장하여 상면에 요홈을 갖는 암 로커가 매입 고정되고, 가죽띠의 전방부 소정위치의 안쪽에는 상기 암 로커와 동일 면적을 가지며 중앙에 상기 요홈에 결합될 크기의 돌부를 갖는 수 로커를 부설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암,수 로커는 그 배면에 양측으로 고정편을 가지고, 이 고정편이 삽입되는 절결부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각각 가죽띠의 일단과 전방부 소정위치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고정된다.
제1도는 종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버클 220 : 가이드 브래킷
221 : 구홈 230 : 베이스
230H : 홈 240 : 버클 커버
241 : 돌부 250 : 암 로커
241 : 구형 돌부 252 : 자석
이하에서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정 폭과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가죽띠(100)의 일단에 버클(200)을 가지고, 타단이 이 버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혁대에 있어서,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버클(200)의 베이스(230) 양측에 가이드 브래킷(220)을 부착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220)의 일측과 커버(240)의 일측을 힌지결합하고, 가이드 브래킷(220)의 타측과 커버(240)의 타측에 구홈(221)과 구형 돌부(241)를 형성하여 탄성결합하고, 상기 베이스(230)에는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세 개의 홈(230H)을 형성하고, 상기 홈(230H)에는 내부에 자석(252)을 내장하여 상면에 요홈(251)을 갖는 암 로커(250)가 매입 고정되고, 가죽띠(100)의 전방부 소정위치의 안쪽에는 상기 암 로커(250)와 동일 면적을 가지며 중앙에 상기 요홈(251)에 결합될 크기의 돌부(351)를 갖는 수 로커(350)를 부설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암,수 로커(250,350)는 그 배면에 양측으로 고정편(253),(353)을 가지고, 이 고정편이 삽입되는 절결부(254,354)를 갖는 고정 플레이트(255,355)에 의해 각각 가죽띠(100)의 일단부와 전방부 소정위치의 외피(120)와 내피(130)사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용상태에서 설명하면 혁대의 수 로커(350)가 버클(200)의 베이스(230)에 매설된 암 로커(250)에 걸려서 상호간의 요홈(251)과 돌부(351)에 의해 좌우로의 록킹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며 전방으로의 탈락은 버클 커버(240)에 의해 제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필요에 의해 혁대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버클 커버(240)의 탄성결합부를 끌어당겨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개방한 후, 생리적 현상을 해결하거나 또는 조절하기 위해 혁대의 선단을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자연스럽게 수 로커(350)가 적당 위치의 암 로커(250)에서 자석(252)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서 요홈(251)과 돌부(351)가 결합 록킹된다.
이후 버클 커버(240)를 눌러 닫으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눈으로 가죽띠(100)의 구멍(11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번거롭게 결합하는 과정을 간단히 혁대의 선단을 잡아당기기만 하면 암,수 로커(250,350)가 자력에 의해 저절로 록 위치를 스스로 찾아가 결합하는 작용을 갖는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된 버클 커버(240)와 베이스(230)의 탄성결합부는 버클 커버(240)의 내측에 구형 돌부(241)를 형성하고 대응위치의 가이드 브래킷(220)에는 구홈(221)을 두어 제품의 자체 탄성에 의해 착탈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혁대의 착탈이 간단 용이하며, 또한 혁대의 외피 둘레면에 구멍을 남지지 않아 혁대의 외장 장식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도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패션업계의 새로운 창작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죽띠(100)의 일단에 버클(200)을 형성하며 타단이 이 버클(2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암, 수 로커(250,35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혁대에 있어서, 버클(200)의 베이스(230) 양측에 가이드 브래킷(220)을 부착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220)의 일측과 커버(240)의 일측을 힌지결합하고, 가이드 브래킷(220)의 타측과 커버(240)의 타측에 구홈(221)과 구형 돌부(241)를 형성하여 탄성결합하고, 상기 베이스(230)의 암 로커(250)가 삽입되는 홈(230H)의 내부에 자석(252)을 내장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KR2019970018950U 1997-07-18 1997-07-18 혁대 KR200180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950U KR200180219Y1 (ko) 1997-07-18 1997-07-18 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950U KR200180219Y1 (ko) 1997-07-18 1997-07-18 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244U KR970053244U (ko) 1997-10-13
KR200180219Y1 true KR200180219Y1 (ko) 2000-05-01

Family

ID=1950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950U KR200180219Y1 (ko) 1997-07-18 1997-07-18 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2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381A (ko) * 2004-07-06 2006-01-11 김영봉 자성 벨트를 부가한 하의(下衣)의복
KR20190058083A (ko) * 2017-11-21 2019-05-29 남정연 자력을 이용한 버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381A (ko) * 2004-07-06 2006-01-11 김영봉 자성 벨트를 부가한 하의(下衣)의복
KR20190058083A (ko) * 2017-11-21 2019-05-29 남정연 자력을 이용한 버클
KR102007254B1 (ko) * 2017-11-21 2019-08-06 남정연 자력을 이용한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244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5337A (en) Surgical arm-sling with improved strap adjustment
KR200180219Y1 (ko) 혁대
US5226195A (en) Combination tool and apparell belt
KR200246452Y1 (ko) 벨트 고정 장치
US5077867A (en) Belt clasp fastener device
KR100656591B1 (ko) 바지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KR200191739Y1 (ko)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KR200202633Y1 (ko) 의복용 버클의 장식커버 구조
KR100443018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KR0134048Y1 (ko) 등허리 받침형 조끼
KR200342398Y1 (ko) 허리띠
KR200199513Y1 (ko) 안경걸이가 형성된 의복
KR19990001852U (ko) 허리띠용 버클
KR200399982Y1 (ko) 데코레이션 벨트
US2568845A (en) Detachable strap and clasp for use therewith
KR20000021479U (ko) 혁대
KR200193758Y1 (ko) 핸드백을 부착할 수 있는 바지 및 그 핸드백
KR200356430Y1 (ko) 앞치마
KR200146608Y1 (ko) 안경걸이가 형성된 의복
KR200346500Y1 (ko) 허리벨트
KR200301326Y1 (ko) 피어싱 악세사리
KR100509229B1 (ko) 탄성와이어가 내장된 머리띠
KR19990041050U (ko) 혁대용 버클
KR200338903Y1 (ko) 벨트가 안쪽으로 진입되어 결합되는 자동버클
KR200171581Y1 (ko) 다용도 시계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