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739Y1 -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 Google Patents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739Y1
KR200191739Y1 KR2020000005425U KR20000005425U KR200191739Y1 KR 200191739 Y1 KR200191739 Y1 KR 200191739Y1 KR 2020000005425 U KR2020000005425 U KR 2020000005425U KR 20000005425 U KR20000005425 U KR 20000005425U KR 200191739 Y1 KR200191739 Y1 KR 200191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upport
waist
hook devi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영
Original Assignee
이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영 filed Critical 이해영
Priority to KR2020000005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나 치마 등과 같은 하의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허리 후크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류착용상의 편안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 별도의 허리 벨트가 없이도 의류착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의류(50)의 허리부(51) 일측에 결합설치될 수 있고 그 일측에 횡방향의 활동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의 활동홈(11)에 동 활동홈(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후크(20)와, 상기 후크(20)가 활동홈(11)의 일측으로 탄발이동되게 하는 탄발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체(10) 및 후크(20)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탄력수단(30)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IMPROVEMENT IN HOOK FASTENER FOR TROUSERS OR SKIRT}
본 고안은 바지나 치마와 같은 하의류의 허리부위에 설치적용될 수 있는 후크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류의 착용상태를 더욱 편안하게 하여 주면서 별도의 허리 벨트가 없이도 의류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지 또는 치마와 같은 하의류의 상단 허리부에는 의류의 착용중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장치가 설치제공되는데, 종래에 이러한 하의류의 후크장치는 해당 의류의 허리부 일측단부에 결합설치되는 수 후크와, 이 수 후크와 협력작용하도록 상기 의류의 허리부 타측단부에 결합설치되는 암 후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 후크 및 암 후크가 모두 의류 허리부상의 정해진 위치를 고정유지하도록 의류에 결합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인체의 복부부분을 포함하는 허리둘레는 공복시나 만복시 등에 따라 둘레크기의 변화가 심하고, 또 앉아 있을 때나 서 있을 때와 같은 자세변화시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크장치로써는 특히 앉은 자세로 식사를 하거나 장시간 일을 하는 경우 복부가 조여지는 불편감 때문에 일일이 후크를 풀어놓고 식사 또는 일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 후크를 채운 상태로 활동하는 중에 자세변화등에 따른 복부팽만에 의해 후크부분이 뜯어지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답답한 느낌을 참지 못하는 사람은 후크를 풀어놓고 활동을 하다가 외관상 결례를 하게 되는 일도 많고 여성들은 후크를 풀고 활동하기 곤란하여 옷착용상태가 불편해도 이를 감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맞추어 놓은 옷의 허리부둘레가 자신의 현재 신체치수에 약간만 맞지 않게 되어도 옷을 입을 수가 없게 되는 것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있게 해소할 수 있는 더욱 개선된 후크장치를 제공할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후크장치의 설치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후크장치의 설치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후크장치의 설치상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지지체 11 : 활동홈 12 : 결합돌기
13,13': 고정구 14 : 덮개 15 : 힌지
20,20': 후크 30 : 탄력수단 40 : 고정판
41 : 요홈 50 : 하의류 51 : 허리부
60 : 자석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의류의 허리부 일측에 결합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횡방향으로 탄력이동이 가능하게 설치지지된 후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체가 하의류의 허리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한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인 것인데, 이 후크장치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활동홈(11)을 가진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에 활동홈(11)을 따라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탄력수단(30)에 의해 상기 활동홈(11)의 일측으로 원위치 이동되려는 탄발력을 받고 있는 상태로 결합설치되는 후크(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10)는 적정의 보조 고정판(40)을 사용하여 예컨대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하의류(50)의 허리부(51) 일측단부에 상기 후크(20)가 허리부(51) 안쪽을 향하는 상태로 결합설치될 수있다. 이는 즉, 통상적인 후크설치방법과 같이 고정판(40)을 허리부(51)의 겉감 안쪽에 대고, 지지체(10) 양측의 결합돌기(12)를 허리부(51)의 겉감 바깥으로부터 겉감을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40) 양측의 요홈(41)에 맞추어 넣은 후 안쪽으로 구부려 고정시켜 줌으로써 하의류 허리부(51)에 대한 지지체(10)의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크(20)는 통상적인 후크장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수 후크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 후크(20)와 짝을 이루어 후크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암 후크는 상기 수 후크(20)가 설치된 하의류 허리부(51)의 반대측 단부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후크장치는 동 후크장치가 적용된 하의류(50)를 착용하고 후크를 채운 상태에서 상기 후크(20)가 지지체(10)의 활동홈(11)을 따라 탄력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자세변화에 따른 복부둘레의 변화에 상응하여 상기 후크(20)가 활동홈(11)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여 착용 하의류 허리부(51)의 둘레크기를 자동조절해주게 됨으로써 항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되어 종래와 같은 하의류 착용상의 제반 불편 및 문제점을 효과있게 해소할 수 있으며, 그러면서 상기 후크(20)가 항시 착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적정의 탄발력으로 해당 하의류의 허리부(51)를 조여 주고 있게 되므로 별도의 허리 벨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하의류 착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후크장치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보인 것인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크(20)가 암 후크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후크(20)를 설치지지하고 있는 지지체(10)와 탄력수단(30)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용효과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이 도3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를 하의류에 적용할 경우 상기 후크(20)가 설치된 하의류 허리부의 다른 쪽에는 수 후크형태의 후크가 설치제공됨은 물론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장치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보인 것인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취지의 지지체(10)의 활동홈(11)에 가동자(21)를 상기 활동홈(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탄력수단(30)에 의한 원위치 탄발력을 받고 있도록 하여 결합설치하고, 상기 가동자(21)에 단추모양의 후크(20)를 축(22)으로 연결설치하여서 된 후크장치의 구성을 보여 준다. 이 도4의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후크(20)가 설치되어진 하의류 허리부(51)의 반대측 단부에 이 후크(20)가 단추처럼 끼워지거나 빼내어질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서 후크작용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크장치의 지지체(10)가 하의류(50)의 허리부(51)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설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는 바, 이 지지체(10)의 일측에는 횡방향의 활동홈(11)이 마련되어 그 활동홈(11)에 후크(20)가 동 활동홈(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탄력수단(30)에 의한 원위치 탄발력을 받고 있도록 하여 결합설치되며, 상기 지지체(10)의 타측에는 이 지지체(10)를 하의류(50)의 허리부(5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13)가 설치되고, 그 외측에는 적정의 덮개(14)가 힌지(15)로 구속되어 설치제공된다. 이와 같이 후크(20)를 설치한 지지체(10)는 그 고정구(13)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6의 예와 같이 하의류(50)의 허리부(51) 일측단부에 결합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후크(20)와 짝을 이루어 후크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암 후크(20) 역시 상기 하의류 허리부(51)의 타측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체(10')에 도시된 양태로 설치제공될 수 있다. 이 암 후크(20')의 지지체(10') 또한 이를 하의류(50)의 허리부(51)에 착탈시킬 수 있는 고정구(13')를 설치구비하며, 선택적으로 동 지지체(10')의 안쪽면에는 자석(60)이나 기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체등이 부설될 수 있다. 상기 도5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장치의 경우는 이를 임의의 하의류에 편리하게 착탈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의 제작, 착용상의 편리를 한층 더해줄 수 있는 부가의 효과가 얻어진다.
나아가서, 도7은 상기 도5의 후크장치에 대한 다른 가능한 변형실시예를 보여 주는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체(10)의 일측면에 후크(20)가 설치제공되고 그 반대측면에는 고정구(13) 및 덮개(1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구성을 보인 것인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는 동 후크장치를 도8의 예와 같이 하의류(50)의 허리부(51)에 결합설치하였을 때 지지체(10)가 상기 허리부(51)의 단부 외측으로 길게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설치외관을 좀더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도5, 도7의 실시예에서 예시된 후크(20)는 수 후크, 또는 암 후크, 또는 단추모양등의 후크로 선택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5,도7의 실시예에서 지지체(10)를 하의류(50)의 허리부(51)에 결합시켰을 때 바깥으로 노출되는 부분들은 여러 가지 장식적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상표나 문양등의 표현이 부가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탄력수단(30)은 적정의 스프링 또는 탄력밴드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이러한 후크장치가 적용되는 하의류를 보다 편안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신규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

  1. 하의류(50)의 허리부(51) 일측에 결합설치될 수 있고 그 일측에 횡방향의 활동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의 활동홈(11)에 동 활동홈(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후크(20)와, 상기 후크(20)가 활동홈(11)의 일측으로 탄발이동되게 하는 탄발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체(10) 및 후크(20)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탄력수단(30)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가 고정판(40)을 사용하여 하의류(50)의 허리부(51)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가 동 지지체(10)의 일측에 설치구비된 고정구(13)를 사용하여 하의류(50)의 허리부(5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20)가 단추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일측에 자석(60) 또는 원적외선 방사체가 부착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KR2020000005425U 2000-02-28 2000-02-28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KR200191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425U KR200191739Y1 (ko) 2000-02-28 2000-02-28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425U KR200191739Y1 (ko) 2000-02-28 2000-02-28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739Y1 true KR200191739Y1 (ko) 2000-08-16

Family

ID=1964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425U KR200191739Y1 (ko) 2000-02-28 2000-02-28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7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2086B2 (ja) 男性用補正具
US4937886A (en) Infant shirt hold-down
KR100759946B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JP2007138376A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JP4729495B2 (ja) 股部を有する衣類
US4932079A (en) Garment supporter
US4597109A (en) Garment
KR102088636B1 (ko) 샤워용 하의 방수복
JPH0426403Y2 (ko)
KR200191739Y1 (ko)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KR20000024662A (ko) 하의류의 허리부 후크장치
KR20010046649A (ko) 짧은치마의 속옷 가리개
JP3213219U (ja) 足首サポーター
US2896220A (en) Invisible auxiliary trousers and skirt belt
KR200430423Y1 (ko) 주름부에 의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앞치마
KR200417961Y1 (ko) 말림방지 밴드부가 구비된 올인원
JP3061858U (ja) 腹帯内装ズボン
KR200356430Y1 (ko) 앞치마
CN210248495U (zh) 一种便于下肢不便患者穿脱的裤子
CN215075603U (zh) 托腹护腰孕妇裤
CN211794482U (zh) 一种便于病人穿着的哈伦裤
CN220088624U (zh) 一种打底衫
KR200430652Y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JP3213217U (ja) 足首サポーター
JP3019416U (ja) ズボ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