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018B1 -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 Google Patents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018B1
KR100443018B1 KR1020030079257A KR20030079257A KR100443018B1 KR 100443018 B1 KR100443018 B1 KR 100443018B1 KR 1020030079257 A KR1020030079257 A KR 1020030079257A KR 20030079257 A KR20030079257 A KR 20030079257A KR 100443018 B1 KR100443018 B1 KR 100443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elastic member
sliding
auxiliary
sli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열
윤창원
문주태
Original Assignee
한상열
윤창원
문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열, 윤창원, 문주태 filed Critical 한상열
Priority to KR102003007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둘레조절이 자유로운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허리벨트를 착용하는 옷에 허리벨트부의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딩부(20)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슬라이딩 되는 당김부재(32), 상기 당김부재(32)에 연결되어 상기 당김부재(32)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탄성부재(34)로 이루어진 허리조절수단(30)이 장착되고,
상기 허리조절수단(30)의 후면에는 보조조절수단(40)이 더 장착되되, 상기 보조조절수단(40)은 슬라이딩부(20) 및 당김부재(32)와 동시에 고정된 탄성부재(42), 상기 탄성부재(42)를 에워싸고 슬라이딩부(20)에 고정된 보조덮개(44)로 이루어지고, 허리조절수단(30)이 신축되는 만큼 보조조절수단(40)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허리사이즈가 늘어날 경우 새로이 옷을 구입하거나 또는 옷을 뜯어서 허리사이즈를 늘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종래에 외부로 노출되었던 허리조절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비교적 저렴하게 하의의 허리사이즈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WEIST SIZE ADJUSTING DEVICE FOR LOWER CLOTH}
본 발명은 허리둘레조절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사이즈가 늘어날 경우 늘어난 허리사이즈 만큼 허리조절수단의 탄성부재가 늘어나게 되어 하의의 허리사이즈조절이 용이하고, 외부로 탄성벤드가 노출되지 않는 허리둘레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허리벨트를 착용하는 하의(예를 들면, 정장바지, 교복, 정장치마)를 구입시 자신의 허리사이즈에 맞게 옷을 구입하게 되는데, 특히 청소년층들은 갑자기 신체 구조가 커진 경우 바지의 하단을 뜯어 하단을 줄일 수 있으나 허리사이즈가 늘어난 경우에는 옷을 교체해 버리거나 옷의 허리벨트부를 뜯어 허리사이즈를 늘려야 하는데 이 비용이 상당하다.
또한, 직장인들은 점심 식사 후 자리에 않으면 아래배가 나와 허리벨트를 푸르고, 바지 단추를 풀러 놓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하의의 상단부를 말아서 실로 박음질을 하여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 탄성밴드를 설치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밴드가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는 관계로 허리를 가압하는 현상이 일어나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밴드의 가압력에 의해 피부가 눌려 가압된 부분이 가려움이 발생되거나 피부가 눌려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관상 허리부분의 옷에 주름이 발생되어 미려하지 못하고, 밴드 선단이 외부로 들어나 허리를 끈으로 동여맨 것과 같이 보이므로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허리둘레조절이 용이한 하의용 허리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외부로 탄성밴드가 노출되지 않는 하의용 허리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하의의 허리벨트부에 주름이 가지 않는 하의용 허리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조절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중요부호에 대한 설명*
20: 슬라이딩부 22: 구멍
30: 허리조절수단 32: 당김부재 32a: 당김편
32aa: 고정구 32b: 연결편 34, 42: 탄성부재
40: 보조조절수단 44: 보조덮개
P: 주머니 PS: 주머니선 S1, S2, S3: 박음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허리벨트를 착용하는 옷의 허리벨트부의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슬라이딩되는 허리조절수단이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허리조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당김부재, 상기 당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당김부재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허리조절수단의 후면에는 슬라이딩부 및 당김부재와 동시에 고정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에워싸고 슬라이딩부와 당김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고정된 보조덮개로 이루어진 보조조절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조절수단은슬라이딩부 및 당김부재와 동시에 고정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에워싸고 슬라이딩부와 당김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고정된 보조덮개로 이루어지고, 허리조절수단이 신축되는 만큼 보조조절수단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당김부재에는 상기 구멍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리조절수단은 허리벨트부의 양측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무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조절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2a, 도 2b는 도 1에 따른 허리둘레조절기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허리둘레조절기구는 허리벨트부에 장착된 슬라이딩부(20),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슬라이딩되는 허리조절수단(30), 상기 허리조절수단(30) 하면에 장착되는보조조절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리조절수단(30)은 상기 슬라이딩부(20)에서 슬라이딩되는 당김부재(32), 상기 당김부재(32)와 연결된 탄성부재(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34)는 슬라이딩부(20)와 일체로 박음질이 되어 고정된다. 상기 박음질 선은 S2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0)는 천을 접고, 상기 당김부재(32)가 삽입될 공간만큼 남겨두고 천에 박음질을 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당김부재(32)는 탄성부재(34)와 박음질을 하여 연결하고, 당김편(32a)과 연결편(32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편(32b)은 후술하는 탄성부재(42)와 박음질이 되어 고정된다. 상기 박음질 선은 S1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당김편(32a)과 연결편(32b)은 박음질되어 있고(S3), 하의와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색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허리조절수단(30)의 후면에는 보조조절수단(40)이 장착되는데, 상기 보조조절수단(40)은 탄성부재(42)와 상기 탄성부재(42) 일부를 에워싸고 있는 보조덮개(44)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상기 탄성부재(42)는 당김부재의 연결편(32b) 및 슬라이딩부(20)와 박음질되어(S1, S2)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42)를 에워싸고 있는 보조덮개(44)는 상기 슬라이딩부(20)와 박음질되어(S2)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허리사이즈가 늘어날 경우에는 슬라이딩부(20)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34)가 당김부재(32)의 당김편(32a)이 당겨져 늘어난 허리사이즈만큼 늘어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0)와 당김부재(32)의 연결편(32b)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42)는 상기 연결편(32b)이 당겨지므로 연결편(32b)이 당겨진 만큼 늘어나게 된다.
상기 당김부재(32)의 당김편(32a)의 길이는 슬라이딩부(20)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둘레조절기구는 허리벨트부의 양측에 장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허리둘레조절기구를 허리벨트부 양측에 각각 하나씩 장착하면 하나를 장착할 경우에 비하여 두배로 당김편(32a)에 연결된 탄성부재(34)를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부(20) 내부에 탄성부재(34)를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34)와 당김편(32a)을 연결시켜서 슬라이딩부(20) 외부로 나오는 부분은 하의와 동일한 재질, 색상의 당김편(32a)이므로 탄성부재(34)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허리조절수단(30)의 후면에 보조조절수단(40)을 부착하여 상기 허리조절수단(30)이 늘어난 만큼 보조조절수단(40)이 늘어나게 되므로 보조덮개(44)에 주름이 지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4,42)는 고무밴드인 것이 바람직한데, 여러 고무줄을 묶어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김부재(32)의 연결편(32b)이 상기 주머니(P)의 주머니선(PS)에 연결되어 있어 당김부재(32)가 늘어나는 길이는 상기 주머니선(PS)이 늘어날 수 있을 만큼만 늘어나게 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다.
상기 슬라이딩부(20)에는 여러 개의 구멍(22)을 형성하고, 상기 당김부재(32)에는 상기 구멍(22)에 고정되는 고정구(32aa)를 장착하여 상기 당김부재(3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구(32aa)는 의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김부재(32)를 고정시키면 탄성부재(34)의 가압력에 의해 피부가 눌려 가압된 부분이 가려움이 발생되거나 피부가 눌려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허리벨트부에 허리조절수단를 장착하여 허리사이즈가 늘어날 경우 새로이 옷을 구입하거나 또는 옷을 뜯어서 허리사이즈를 늘리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슬라이딩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부 사이로 당김편이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탄성부재가 노출되지 않고,
또한, 상기 허리조절수단 후면에 보조조절수단을 장착하여 주름이 생기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비교적 저렴하게 하의의 허리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허리벨트를 착용하는 옷에 허리벨트부의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딩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에 슬라이딩 되는 허리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허리조절수단의 후면에는 보조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바,
    상기 허리조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당김부재, 상기 당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당김부재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조절수단은 슬라이딩부 및 당김부재와 동시에 고정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에워싸고 슬라이딩부와 상기 탄성부재와 동시에 고정된 보조덮개로 이루어지고, 허리조절수단이 신축되는 만큼 보조조절수단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조절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당김부재에는 상기 구멍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조절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조절수단은 허리벨트부의 양측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조절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조절기구.
KR1020030079257A 2003-11-10 2003-11-10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KR100443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57A KR100443018B1 (ko) 2003-11-10 2003-11-10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257A KR100443018B1 (ko) 2003-11-10 2003-11-10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618U Division KR200316896Y1 (ko) 2003-03-22 2003-03-22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018B1 true KR100443018B1 (ko) 2004-08-06

Family

ID=3735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257A KR100443018B1 (ko) 2003-11-10 2003-11-10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0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05B1 (ko) * 2011-10-27 2013-07-04 라온어패럴 주식회사 허리둘레 조절 바지
KR101805902B1 (ko) * 2016-05-31 2017-12-08 양태훈 허리 사이즈 조절 기능을 갖는 바지
KR102372533B1 (ko) * 2021-09-23 2022-03-08 안중민 허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바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05B1 (ko) * 2011-10-27 2013-07-04 라온어패럴 주식회사 허리둘레 조절 바지
KR101805902B1 (ko) * 2016-05-31 2017-12-08 양태훈 허리 사이즈 조절 기능을 갖는 바지
KR102372533B1 (ko) * 2021-09-23 2022-03-08 안중민 허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1305A (en) Panties
US6035439A (en) Wholly and partially removable garment
US6219848B1 (en) Waistband extender
US6738988B2 (en) Thong-type garment with wireframe construction
US20150007374A1 (en) Transferable garment addition to swimwear
US5956765A (en) Wholly and partially removable garment
MX2008003151A (es) Ceñidor para prendas de vestir.
US20090184144A1 (en) Multiple overlapping method and apparatus of band or shoulder strap
RU24629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тяжки одежды
KR100443018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US2873738A (en) Reversible garment
JPH08113805A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KR20090114688A (ko) 치마
KR20190015157A (ko) 한복 치마
US2489083A (en) Men's trunks
CN209846221U (zh) 可调节裤腰及具有该裤腰的服装
JP3115444U (ja) 体形補整衣類
KR200316896Y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US1886642A (en) Catamenial garment
US1497452A (en) Sanitary napkin protector and apron
US2067850A (en) Vest
CN212345327U (zh) 一种具备防护功能的防滑西裤
KR200333654Y1 (ko) 멜빵바지 및 멜빵치마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US3341862A (en) Adjustable attachment for trousers, slacks, skirts or the like
CN215684953U (zh) 一种便于调整裤腿长短的牛仔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