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271Y1 - 악세사리 체결구 - Google Patents
악세사리 체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5271Y1 KR200205271Y1 KR2020000013827U KR20000013827U KR200205271Y1 KR 200205271 Y1 KR200205271 Y1 KR 200205271Y1 KR 2020000013827 U KR2020000013827 U KR 2020000013827U KR 20000013827 U KR20000013827 U KR 20000013827U KR 200205271 Y1 KR200205271 Y1 KR 2002052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hook
- bracelet
- lever
- neckl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나 팔찌 등의 양단을 연결하는 악세사리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목걸이나 팔찌 등의 양단에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1)이 형성되고, 이 하우징(101)의 내측벽에 힌지(h)를 형성하여 탄성편(118)으로 지지되어 장착되면서 한 쪽 끝은 후크형상(112)을 하고 다른 쪽 끝은 하우징(101)의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부위(114)를 형성하는 레버(110)가 형성되는 괘정부(100)와; 상기 괘정부(100)의 하우징(101)이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폭보다 작은 폭으로 너비를 형성함과 아울러 하우징(101)을 향하는 끝단에는 상기 레버(110)의 후크형상과 부합되는 맞물림홈(125)을 형성한 연결편(122)이 형성되고, 이 연결편(122)의 후방에 상기 하우징(101)과 상응하는 단면으로 서포터 (130)가 형성되는 연결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팔찌나 목걸이를 착용할 때에 양단이 축방향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정상적이지 않은 자세에서도 짧은 시간에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착용 후에 미감을 좋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목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장신용 악세사리의 양끝단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악세사리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목걸이나 팔찌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짧은 시간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악세사리 체결구이다.
일반적으로, 목걸리나 팔찌를 비롯한 악세사리는 가죽끈이나 체인으로 일정한 길이로 자체의 미감을 나타내거나 별도의 장신구와 함께 형성되어 목둘레 또는 팔목에 감고 양단을 연결하여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악세사리 체결구는, 종래에는 장신용품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리에 조립하여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를 옆방향에서 결합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여성들이 장신용구 등에 설치된 고리를 수용 체결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하여 실용신안공개 제97-15955, 97-53247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166205호가 개발되었다.
도1은 이 중 실용신안등록 제166205호를 도시한 것으로,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악세사리 체결구는 후크부재(10)와 가동부재(20) 그리고 후크부재 (10) 및 가동부재(20)를 수용하는 후크본체(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10)는, 지지판(12)에 지지되고 후크(1)의 하단부에 가동부재 (20)의 원활한 좌우 회동을 도모하기 위하여 중앙에 사각형상의 체결공(7)이 형성된 지지편(6)과, 지지편(6)의 일정 폭을 절삭 가공하여 재치부(8)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측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탄성편(15)이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가동부재(20)의 일 측은 확개부(4)로 하고, 일 측은 손잡이(3)로 형성하고 있고, 가동부재(20)의 중앙에는 후크부재(10)를 삽입하기 위하여 지지편 (6)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요홈부(2)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가동부재(20)에 형성된 요홈부(2)에는 후크부재(10)의 하단부에 연설된 지지편(6)이 정합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일정부위를 절삭하여 형성된 정합 부위에는 오목부가 구비되어 탄성편(15)을 수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신용 악세사리 체결구는, 탄성부재(20)의 일단부에 구비된 손잡이(3)에 힘을 가하면 가동부재(20)는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후크부재(10)의 선단부에 접하고 있던 확개부(4)가 분리되어 고리(40)이 후크부재(10)에 록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악세사리 체결구는, 악세사리의 양단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를 열고 이 후크의 시작단에 고리의 구멍을 맞추어 이를 통과시켜 고정하여야 하므로 체결하는 동작이 용이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특히 팔찌 또는 목걸이를 착용할 때에 사용자는 정상적인 자세에서 하지 못하므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체결구는 더욱 어렵게 하고 착용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팔찌나 목걸이를 착용할 때에 양단이 축방향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정상적이지 않은 자세에서도 짧은 시간에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착용후에 미감을 좋게 하는 악세사리의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걸이나 팔찌 등의 양단을 연결하는 악세사리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나 팔찌 등의 양단에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하우징을 형성하고, 이 하우징의 내측벽에 힌지로 형성하며 탄성편으로 지지되게 장착되면서 한 쪽 끝은 후크형상을 하고 다른 쪽 끝은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레버를 형성하는 괘정부와; 상기 괘정부의 하우징의 축방향을 향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폭보다 작은 폭으로 너비를 형성함과 아울러 하우징을 향하는 끝단에는 상기 레버의 후크형상과 부합되는 맞물림홈을 형성하는 연결편을 형성하고, 이 연결편의 후방에 상기 하우징과 상응하는 단면으로 서포터를 형성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악세사리의 체결구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거리나 팔찌 등을 착용할 때에 괘정부의 하우징 내로 연결부의 연결편을 진입시키면 레버의 후크와 연결편의 맞물림홈이 서로 록킹되어 체결됨으로써 목거리나 팔찌 등은 연결된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악세사리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1a는 사시도이고, 도1b는 단면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a는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2b는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도2의 악세사리 체결구를 조립한 후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3a는 해제상태를, 도3b는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괘정부 101 : 하우징
103,132 : 연결고리 110 : 레버
118 : 탄성편 120 : 연결부
122 : 연결편 130 : 서포터
다음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a는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2b는 연결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 악세사리 체결구는, 도2a에서 볼 수 있듯이 괘정부(100)와 연결부(120)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데, 양자는 도시하지 않은 악세사리를 형성하는 체인이나 가죽끈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괘정부(100)와 연결부(120)는 상기한 기능에 부합되는 형상과 모양을 하고 있는 바, 이 괘정부(100)는 하우징(101)과 레버(110)로 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120)는 연결편(122)과 서포터(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괘정부(100)의 하우징(101)은 상기 연결부(12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데, 이것은 두개의 케이스(101a,101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120)가 진입하는 방향에 상기 연결편 (122)과 상응하는 내부폭으로 입구(102)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 끝에 연결고리(10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110)는 상기 하우징(101)의 어느 한쪽 케이스(101a)에 회전 중심점에 힌지(h)를 형성하며 장착된다. 이 레버(110)는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누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이소운동을 하면서 소정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레버(110)는 한 쪽 끝이 도면에서 케이스(101a)의 저면에서 입구(102)를 향하여 형성되면서 위를 향하여 후크형상(112)을 하지만 중간은 힌지(h)를 가로질러 연장되다가 케이스(101a)의 상측면에서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다른 쪽 끝은 상기 케이스(101a)의 상측면으로 연장된 레버부위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부위(114)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케이스(101a)는 상기 레버(11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116)를 형성하여 레버의 돌출부위(114)가 충분히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는 데에 이상이 없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레버의 돌출부위(114)를 누르면 케이스(101a)의 상측 후방이 눌리고 그 힘이 힌지(h)를 통해 후크형상(112)부위가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런데, 이러한 동작을 한 레버(110)가 원상태로 회복하여야 다음 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힌지(h)에 탄성편(118)인 와이어 스프링을 장착하여 복원력을 받도록 한다.
상기한 괘정부(100)의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부(120)는 연결편(122)을 상기 괘정부(100)의 하우징(101)을 향하여 하우징(101)의 내부폭보다 다소 작은 너비로 형성하고 진입하는 방향의 끝단에 위아래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아랫측 경사면에 상기 레버(110)의 후크형상(112)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맞물림홈(12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22)에서 진입측과 반대측에 서포터(130)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이 서포터(130)를 잡고 상기 괘정부(100)와 체결하도록 하였다.
이 서포터(130)는 상기 괘정부(100)의 단면형상과 부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한데, 그 끝단에 악세사리의 체인이나 가죽끈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132)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편(122)이 상기 괘정부(100)의 하우징(101)의 내부로 진입하면 도2b와 같이 레버(110)와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118)의 일예인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레버(110)의 후크형상(125)부위를 연결편(122)과 결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 레버(110)를 도면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외부로 돌출된 레버의 돌출부위(114)를 항상 개구(116)의 앞 쪽 내측면에 맞닿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편(122)을 해제시킬 때에는 도2a와 같이 사용자는 돌출부위(114)를 개구(116)의 뒤로 밀면 후크형상(112)부위는 상기 연결편(122)과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도3은 도2의 악세사리 체결구를 조립한 후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3a는 해제상태를, 도3b는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a에서 볼 수 있듯이 괘정부(100)의 하우징(101)은 두개의 케이스를 결합하여 일정한 외형을 이루고 이 괘정부(100)에 결합되는 연결부(120)의 서포터(130)는 상기 하우징(101)의 외형과 상응하는 단면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3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괘정부(100)와 연결부(120)가 서로 결합되면 외형이 서로 일체되어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은 악세사리 체결구는, 외형을 네모진 형상, 둥근 형상 등을 할 수 있는 데, 바람직한 것은 타원형으로 이는 인체의 피부에 접촉할 때에 자연스러운 촉감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악세사리에 심미감을 더욱 자아내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체결구는, 팔찌나 목걸이를 착용할 때에 양단이 축방향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정상적이지 않은 자세에서도 짧은 시간에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착용후에 미감을 좋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고안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 목걸이나 팔찌 등의 양단을 연결하는 악세사리 체결구에 있어서,상기 목걸이나 팔찌 등의 양단에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1)이 형성되고, 이 하우징(101)의 내측벽에 힌지(h)를 형성하여 탄성편(118)으로 지지되어 장착되면서 한 쪽 끝은 후크형상(112)을 하고 다른 쪽 끝은 하우징(101)의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부위(114)를 형성하는 레버(110)가 형성되는 괘정부(100)와;상기 괘정부(100)의 하우징(101)이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101)의 내부폭보다 작은 폭으로 너비를 형성함과 아울러 하우징(101)을 향하는 끝단에는 상기 레버(110)의 후크형상과 부합되는 맞물림홈(125)을 형성한 연결편(122)이 형성되고, 이 연결편(122)의 후방에 상기 하우징(101)과 상응하는 단면으로 서포터(130)가 형성되는 연결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악세사리의 체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3827U KR200205271Y1 (ko) | 2000-05-16 | 2000-05-16 | 악세사리 체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3827U KR200205271Y1 (ko) | 2000-05-16 | 2000-05-16 | 악세사리 체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5271Y1 true KR200205271Y1 (ko) | 2000-12-01 |
Family
ID=1965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3827U KR200205271Y1 (ko) | 2000-05-16 | 2000-05-16 | 악세사리 체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527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609B1 (ko) * | 2002-01-08 | 2004-11-10 | 정덕수 | 장신구용 잠금장치 |
-
2000
- 2000-05-16 KR KR2020000013827U patent/KR2002052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609B1 (ko) * | 2002-01-08 | 2004-11-10 | 정덕수 | 장신구용 잠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78024B2 (en) | Earring | |
US6328188B1 (en) | Adjustable linkage for a watchband | |
EP0843976A1 (en) | Clasp for jewellery and fashion accessories | |
JP2007090033A (ja) | 締結金具の構造 | |
US5991978A (en) | Bar for attaching a watch wristlet and watch fitted with such a bar | |
US20110239417A1 (en) | Box-Shaped Ornamented Locking Device for Decorations | |
KR200205271Y1 (ko) | 악세사리 체결구 | |
KR200275820Y1 (ko) |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 |
KR20090006171U (ko) | 장신구용 연결구 | |
JP2541549Y2 (ja) | ネックレス、腕輪、その他の装身具及び服飾品用留め金 | |
KR101991792B1 (ko) | 장신구의 체결장치 | |
CN213756947U (zh) | 首饰扣和首饰 | |
KR200409098Y1 (ko) |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 |
JP3690850B2 (ja) | 装身具の中留構造 | |
JPH0540735Y2 (ko) | ||
CH676073B5 (ko) | ||
KR200242625Y1 (ko) | 장식이 탈부착되는 반지 | |
KR200210901Y1 (ko) | 장신구용 체결장치 | |
KR101806030B1 (ko) |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 |
KR200294279Y1 (ko) | 장신구용 잠금장치 | |
KR20050032633A (ko) |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 |
KR200179629Y1 (ko) | 귀고리 체결구 | |
GB2252030A (en) | Detachable button cover | |
JP3094034U (ja) | 装身具用連結構造 | |
KR200407559Y1 (ko) | 장신구용 잠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92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