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537A - 장신구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537A
KR20170033537A KR1020150131366A KR20150131366A KR20170033537A KR 20170033537 A KR20170033537 A KR 20170033537A KR 1020150131366 A KR1020150131366 A KR 1020150131366A KR 20150131366 A KR20150131366 A KR 20150131366A KR 20170033537 A KR20170033537 A KR 2017003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plate
closing part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512B1 (ko
Inventor
이지윤
Original Assignee
이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윤 filed Critical 이지윤
Priority to KR102015013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걸이, 펜던트,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장신구(10)의 타단을 결합시켜 고리구조를 형성하는 장신구용 연결구로서, 상기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본체부(300)와; 상기 본체부(30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장신구(10)의 타단에 결합된 고리부(20)가 걸림되도록 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300) 및 상기 개폐부(200) 중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걸림부재(310)가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개폐부(200)가 힌지회전하여 상기 본체부(300)에 밀착될 때 상기 걸림부재(3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밀착되는 가압부재(2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구{Coupling assembly for accessory}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걸이, 펜던트,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몸치장을 위해 금과 같은 귀금속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장식적 물건으로서 목걸이, 팔찌, 발찌, 시계 등 몸치장을 위해 금과 같은 귀금속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장식적 역할을 포함하는 물건이다.
그리고 이러한 장신구는 사용자에 의해 목, 팔목, 발목의 착용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착탈이 용이하여야 하고 또한 착용 시에는 견고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기 위한 연결구를 필요로 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장신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원시적인 고리형태의 에스알장식,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붕어장식, 힌지부 및 걸이부를 이용하는 시계장식,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혀장식 등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에스알장식, 붕어장식, 혀장식의 경우 빈번한 사용이 이어지면서, 장신구용 연결구의 변형 또는 파손에 의해 착용이 어려워지고 견고한 연결이 힘들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견고한 연결을 위해 시계장식이 사용되었으나, 시계장식은 내구성은 뛰어나나 중량이 많이 나가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두께 및 폭이 넓은 디자인에서만 주로 사용되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연결구를 사용하여 장신구를 제조할 때보다 시계장식을 제조했을 때 소요되는 제조비용이 크게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탈이 용이하며, 착용 시 견고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고 내구성 및 가성비가 뛰어난 장신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장신구(10)의 타단을 결합시켜 고리구조를 형성하는 장신구용 연결구로서, 상기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본체부(300)와; 상기 본체부(30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장신구(10)의 타단에 결합된 고리부(20)가 걸림되도록 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300) 및 상기 개폐부(200) 중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걸림부재(310)가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개폐부(200)가 힌지회전하여 상기 본체부(300)에 밀착될 때 상기 걸림부재(3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밀착되는 가압부재(2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를 개시한다.
상기 개폐부(200)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판형부(220)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210)는, 상기 개폐부(200)가 상기 본체부(300)와 힌지결합되는 쪽의 반대 끝단에서 상기 판형부(220)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0)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기 판형부(220)의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형부(220) 및 상기 가압부재(21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판형부(220) 및 상기 가압부재(210)는, 평평한 플레이트로 재단된 후 굽혀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판형부(220)의 일단으로부터 2회 이상 굽혀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10) 및 힌지부(320)는, 상기 본체부(300)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롤 구조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는, 가압구조의 형성시에 판형 구조의 개폐부에 가압부재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기존에 필요로 하던 금속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서 제작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는 가압구조의 형성시에 판형 구조의 개폐부에 가압부재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기존에 필요로 하던 금속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서 디자인의 제한 없이 다양한 두께 및 크기의 장신구를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고리부가 삽입되기 전의 본체부와 개폐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개폐부에 고리부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개폐부 및 본체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개폐부의 형성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는,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장신구(10)의 타단을 결합시켜 고리구조를 형성하는 장신구용 연결구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본체부(300)와; 본체부(300)에 힌지결합되며 장신구(10)의 타단에 결합된 고리부(20)가 걸림되도록 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는, 목걸이, 팔찌 등 고리구조를 가지는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장신구(10)의 타단을 결합시켜 고리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300)는, 개폐부(200)와 결합되어 장신구(10)가 고리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300)는, 장신구(10)의 일단과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300)는, 체인 구조를 이루어 장신구(10)와 결합되거나,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등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식구(10)의 끝단부분은, 고리 구조를 이루며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힌지부재(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부(300)는 힌지부재(11)와 힌지결합 구조, 즉 힌지부재(11)가 삽입되는 실린더부재(31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부재(310)는, 롤 구조로서 본체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원통형 부재가 별도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310)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걸림부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한편 상기 본체부(300)는, 후술하는 개폐부(200)와의 결합구조, 고리부(2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본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본체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걸림부재(310)가 설치되고 타단에 후술하는 개폐부(200)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힌지부(3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00)는, 걸림부재(310) 및 힌지부(320)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거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롤 구조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200)는, 본체부(300)에 힌지결합되며 장신구(10)의 타단에 결합된 고리부(20)가 걸림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300)의 결합구조 및 고리부(20)의 걸림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걸림부재(310)가 본체부(300)에 설치된 경우, 개폐부(200)는, 가압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200)는 본체부(300)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200)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된 힌지축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300)는, 앞서 설명한 힌지부(320)로서 힌지축부재(240)가 삽입되는 힌지부(3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320)는, 힌지축부재(24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서, 원통형 실린더 구조, 롤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힌지축부재(240)는, 본체부(300)에 설치된 힌지부(320)와 결합됨으로써 개폐부(200)를 본체부(300)에 힌지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힌지축부재(240)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된 축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개폐부(200), 특히 한 쌍의 측부(230)에 축부재의 설치를 위한 홈 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판형부(220)를 가지며, 개폐부(200)가 본체부(300)와 힌지결합되는 쪽의 반대 끝단에서 판형부(220)의 하측으로 가압부재(2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형부(220)는 개폐부(220)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평형한 판형을 이루거나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에 따라서 곡면을 이루는 등 다양한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00)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판형부(220)의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형부(220) 및 가압부재(210)는, 각각 용접에 의하여 판형부(220)에 결합 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플레이트로부터 재단된 후 굽혀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10)의 경우 미세한 구조에서 성형이 어려운바, 별도의 부재로서 성형한 후 용접에 의하여 판형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10)의 용접 후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연삭 등에 의하여 세공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20)는, 본체부(300)가 결합된 장신구(10)의 반대쪽, 즉 장신구(10)의 타단에 연결되어 개폐부(200)의 힌지회전 및 본체부(300)와의 밀착구조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장신구(10)가 고리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개폐부(200)의 힌지회전 및 본체부(300)와의 밀착시 개폐부(200) 및 본체부(30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간을 관통하여 고리부(20)가 걸리도록 걸리도록 함으로써 장신구(10)가 고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20)는, 개폐부(200) 및 본체부(300) 사이에는 일정 공간에 걸릴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고리부(20)의 일예로서, 'ㄷ'자 구조에 개방된 부분을 가로지는 로드(21)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300) 및 개폐부(200)의 결합구조, 고리부(20)와의 걸림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일예로서, 본체부(300) 및 개폐부(200) 중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걸림부재(310)가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개폐부(200)가 힌지회전하여 본체부(300)에 밀착될 때 걸림부재(3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밀착되는 가압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10)는, 본체부(300) 및 후술하는 개폐부(200) 중 어느 하나에 본체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구조로서 후술하는 가압부재(210)가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걸림부재(310)는, 후술하는 가압부재(210)가 가압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3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된 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310)는, 본체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10)에 설치된 힌지부재(11)가 삽입되도록 원통형 실린더의 일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재(310)는, 본체부(300)의 일단에서 장신구(10)에 설치된 힌지부재(11)를 감싸도록 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210)는, 걸림부재(310)와 쌍을 이루어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에 가압된 상태로 밀착됨으로써 본체부(300) 및 개폐부(200)의 견고한 결합을 가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210)는, 개폐부(200)가 본체부(300) 쪽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끝단이 개폐부(200)의 반대쪽 끝단에 더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에 가압 및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210)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부(220)의 저면에서 판형부(220)의 반대쪽 끝단으로 연장된 후 판형부(22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210)는, 판형부(22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때 판형부(220)의 반대쪽 끝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10)는, 걸림부재(321)의 원통형 외주면에 대응되어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압부재(210)의 구조에 의하여,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에 가압 및 밀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210)의 경우 미세한 구조에서 성형이 어려운바, 개폐부(200)와 일체로 형성되기보다는, 별도의 부재로서 성형한 후 용접에 의하여 판형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10)의 용접 후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연삭 등에 의하여 세공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장신구 20: 고리부
200: 개폐부 210: 가압부재
300: 본체부 310: 걸림부재

Claims (7)

  1.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장신구(10)의 타단을 결합시켜 고리구조를 형성하는 장신구용 연결구로서,
    상기 장신구(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본체부(300)와;
    상기 본체부(30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장신구(10)의 타단에 결합된 고리부(20)가 걸림되도록 하는 개폐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300) 및 상기 개폐부(200) 중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걸림부재(310)가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개폐부(200)가 힌지회전하여 상기 본체부(300)에 밀착될 때 상기 걸림부재(3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310)의 외주면을 가압한 상태로 밀착되는 가압부재(2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00)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판형부(220)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210)는, 상기 개폐부(200)가 상기 본체부(300)와 힌지결합되는 쪽의 반대 끝단에서 상기 판형부(220)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00)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기 판형부(220)의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220) 및 상기 가압부재(21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220) 및 상기 가압부재(210)는, 평평한 플레이트로 재단된 후 굽혀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판형부(220)의 일단으로부터 2회 이상 굽혀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10) 및 힌지부(320)는,
    상기 본체부(300)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롤 구조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KR1020150131366A 2015-09-17 2015-09-17 장신구용 연결구 KR10192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66A KR101924512B1 (ko) 2015-09-17 2015-09-17 장신구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66A KR101924512B1 (ko) 2015-09-17 2015-09-17 장신구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37A true KR20170033537A (ko) 2017-03-27
KR101924512B1 KR101924512B1 (ko) 2019-02-27

Family

ID=5849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366A KR101924512B1 (ko) 2015-09-17 2015-09-17 장신구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245B1 (ko) * 2019-08-20 2020-02-11 임용태 양방향으로 탈착 가능한 팔찌 체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4869A (en) * 1935-07-26 1936-06-23 Morays Watch Case Co Inc Safety catch for wrist watch bands, bracelets, necklaces, and other jewelry
US2580907A (en) * 1946-09-07 1952-01-01 Forstner Chain Corp Snap clasp
JPH0563311U (ja) * 1992-02-07 1993-08-2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中留構造
KR100253616B1 (ko) * 1992-04-24 2000-04-15 하루타 히로시 시계 밴드용 버클
KR100364049B1 (ko) * 2000-05-18 2002-12-12 (주)아이벡스 밴드용 버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4869A (en) * 1935-07-26 1936-06-23 Morays Watch Case Co Inc Safety catch for wrist watch bands, bracelets, necklaces, and other jewelry
US2580907A (en) * 1946-09-07 1952-01-01 Forstner Chain Corp Snap clasp
JPH0563311U (ja) * 1992-02-07 1993-08-2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中留構造
KR100253616B1 (ko) * 1992-04-24 2000-04-15 하루타 히로시 시계 밴드용 버클
KR100364049B1 (ko) * 2000-05-18 2002-12-12 (주)아이벡스 밴드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245B1 (ko) * 2019-08-20 2020-02-11 임용태 양방향으로 탈착 가능한 팔찌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512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20060174649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US20030074919A1 (en) Decorative articles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US4974429A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85477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762409B1 (ko)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090078141A (ko)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US2549410A (en) Connector for wrist watches
KR102040699B1 (ko)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장신구용 힌지구조
KR200429707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고정구
KR200289734Y1 (ko) 보석 알 고정받침 판을 갖는 귀걸이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89064Y1 (ko) 장신구 체결장치
KR101981298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0963153B1 (ko) 액세서리
JP3071869U (ja) 宝石などの装飾部材を取替え可能とした装身具
KR200459763Y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200325072Y1 (ko) 목걸이의 연결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