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741Y1 - 장식부재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장식부재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41Y1
KR200227741Y1 KR2020000036237U KR20000036237U KR200227741Y1 KR 200227741 Y1 KR200227741 Y1 KR 200227741Y1 KR 2020000036237 U KR2020000036237 U KR 2020000036237U KR 20000036237 U KR20000036237 U KR 20000036237U KR 200227741 Y1 KR200227741 Y1 KR 200227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nector
magnetic
fastening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규
Original Assignee
강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규 filed Critical 강윤규
Priority to KR2020000036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4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 장식부재로 쓰이는 팔찌, 목걸이등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성체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연결구와 캡사이에 내장하여 기계적인 강제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캡 상호간에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자성력으로서 체결될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결구 내에서 자성체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고정캡이 체결캡 내측의 가이드홈에 내삽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결합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팔찌 및 목걸이의 미려하고도 아름다운 장식효과를 극대화 하면서 치장할수 있는 것임은 물론 자성체에 의한 원터치로서 이루어 짐으로서 체결과 착탈이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이루어 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식부재용 체결구{A connection cap of a bracelet and neckwear}
본 고안은 신체 장식부재로 쓰이는 팔찌, 목걸이등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체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연결구와 캡사이에 내장함과 동시에 캡 상호간에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자성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체결구 내에서 자성체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체결구의 체결과 착탈이 원터치로 편리하게 이루어 질 뿐만 아니라 미려하고도 아름다운 심미감을 연출할수 있도록 한 장식부재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 치장용품으로 사용되게 되는 팔찌, 목걸이 등의 체결구는 고리 형태로서 목이나 팔등에 건 다음 고리를 상호 연결하여 체결하는 구성이었으나, 이는 체결하는데 불편함은 착탈하는데도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최근에는 자석을 이용한 원터치 체결구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자석을 이용한 원터치 체결구의 형상을 살펴보면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부재의 양측단에 고정되는 연결구의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 자석을 본드등의 접착제로서 부착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지는데, 이는 면과 면이 일치를 이루어 부착돼야 되는 제조상의 난이함과 접착력의 유지의 어려움등으로 인해 제조시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됨은 불량품 발생율도 매우 높은 것이었음은 물론 완제품으로 시판되어도 팔찌 및 목걸이가 자주 풀었다 차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석의 상호간 인력으로 인해 연결구와 자석의 접착면 사이에 반복적인 척력이 누적되어 시간이 흐를수록 접착력이 약해져 결국에는 자석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잘못하여 팔찌 및 목걸이를 떨어 뜨리게 되면은 그 충격으로 자석이 떨어져 나가 분실되는 등 여러가지 제반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성체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연결구와 캡사이에 내장하여 기계적인 강제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캡 상호간에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자성력으로서 체결될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결구 내에서 자성체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체결구의 체결과 착탈이 원터치로 편리하게 이루어 질 뿐만 아니라 결합부가 내삽된 형태로 하나의 체결구를 연출함으로서 미려하고도 아름다운 형상의 팔찌 및 목걸이를 구성할수 있도록 한 장식부재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장식부재용 체결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장식부재용 체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장식부재용 체결구의 결합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장식부재용 체결구의 결합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팔찌의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장식부재 B ; 체결구 100,100a ; 연결구
110 ; 수나사부 120 ; 고정홈 130 ; 장식단부
200,200a ; 자성체 300 ; 고정캡 310,410 ; 암나사부
320 ; 이탈방지턱 420 ; 걸림턱 430 ; 가이드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팔찌,목걸이등의 장식부재 양측단에 각각의 일측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부 외주연에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마주보는 각각의 일측단면에 부착되고 자성으로서 체결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내삽하여 걸림될수 있도록 이탈방지턱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타측부 내주연에는 연결구의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 구비되어 지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이 슬라이드 삽입될수 있도록 일측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중앙부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부 내측에는 자성체가 삽입된 후 다른 연결구의 수나사부에 체결될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 구비되어 지는 체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의 장식부재용 체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장식부재용 체결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장식부재용 체결구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팔찌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신체의 목,팔,발등의 치장용품으로 쓰이는 팔찌,목걸이등에 사용되어 지는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2와 도3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장식부재(A), 체결구(B)로 구분 되어진다.
상기 장식부재(A)는 팔과 목등에 찰수 있도록 줄과 체인형태로 이루어 지는 것이나, 이는 팔찌와 목걸이등으로 사용할수 있는 형태이면 되는 것임은 물론 어느 한 형상에 한정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모든 팔찌와 목걸이등의 장식부재를 일컫는 것이다.
B는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연결구와, 고정캡과, 체결캡과, 자성체로서 구성되어 진다.
100,100a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금속재로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일측단에는 팔찌 및 목걸이부분을 이루는 장식부재(A)가 일체를 이루면서 고정될수 있도록 고정홈(120)이 형성되어 짐과 동시에 외면에는 장식단부(130)가 형성되며, 타측부 외주연에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110)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구(100,100a)는 장식부재(A)의 양측단에 각각의 고정홈(120)이 형성된 일측단이 고정되어 지고 수나사부(110)가 형성되어 지는 타측부가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200,200a는 상기 연결구(100,100a)의 마주보는 각각의 일측단면에 부착되는 자성체로서, 그 구성은 연결구(100,100a)의 일측단면에 부착될수 있도록 되는 측면을 이룸과 동시에 하기에 설명될 고정캡(300)과 체결캡(400)에 삽입되어 내설될수 있도록 되는 크기를 이루면서 상호 자력에 의한 면부착을 이룰수 있도록 되는 원판형태를 이루며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성체(200,200a)의 자력세기는 고정캡(300)의 일부가 체결캡(400)에 근접되면은 인력이 작용할수 있도록 되는 자력세기를 가지는 것이다.
300은 상기 장식부재(A)의 일측단에 구비된 연결구(100)에 구비되는 고정캡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연결구(100)의 수나사부(110)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일측단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310)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자성체(200)가 삽입된 후 걸림될수 있도록 이탈방지턱(32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400은 상기 장식부재(A)의 타측단에 구비된 연결구(100a)에 구비되는 체결캡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연결구(100a)의 수나사부(110)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일측단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410)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연결구(100a)와 나사결합시 삽입되어 정착될수 있도록 걸림턱(420)이 형성되며, 타측단부에는 고정캡(300)의 몸체가 슬라이드 삽입될수 있도록 가이드홈(43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캡(400)의 걸림턱(420)과 고정캡(300)의 이탈방지턱(320)에 의해 빠짐이 방지되면서 각각 연결구(100,100a)와 고정캡(300) 및 체결캡(400) 사이에 내설되는 자성체(200,200a)는 가장자리부가 각각 걸림턱(420)과 이탈방지턱(320)에 걸림 유지되는 것임과 동시에 걸림부분을 제외한 중앙부분은 노출됨으로서 자성체(200,200a)의 척력을 극대화 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구(100,100a), 자성체(200,200a), 고정캡(300), 체결캡(400)으로 이루어진 체결구(B)와 장식부재(A)를 별도 부품으로 제작한 다음 장식부재(B)의 단절된 양측단에 연결구(100,100a)를 각각 고정시키고, 연결구(100,100a)에는 고정캡(300)과 체결캡(400)을 각각 나사결합 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캡(300)과 연결구(100)의 사이 및 체결캡(400)과 다른 연결구(100a)의 사이에는 자성체(200,200a)가 각각 삽입된 채로 나사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이탈방지턱(320)과 걸림턱(420)에 걸림되어 기계적으로 강제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식부재(A) 체결구(B)가 결합된 상태로 시중에 유통 판매되어 지고 사용자는 본 고안의 체결구(B)가 결합된 팔찌 및 목걸이등을 구입하여 팔, 목부위등을 치장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구(B)의 상호 부착된 자성체(200,200a)가 떨어질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서 장식부재(B)를 양측으로 잡아당기면은 체결캡(400)의 가이드홈(430)을 따라 고정캡(300)이 안내되면서 이탈됨과 동시에 체결 해제되어 목이나 팔등에 찰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목이나 팔등에 찬 후 다시 고정캡(300)을 체결캡(400)의 가이드홈(430)으로 밀어 넣으면 자성체(200,200a) 상호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가이드홈(430) 내의 걸림턱(420) 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체결되어 치장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성체(200,200a)가 고정캡(300)과 체결캡(400)내에 기계적으로 강제 고정되어 있음으로 해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부품을 해체하지 않는 한은 자성체(200,200a)가 분리되지 않는 것이며, 고정캡(300)이 체결캡(400) 내측의 가이드홈(430)에 내삽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결합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팔찌 및 목걸이등의 미려하고도 아름다운 장식효과를 극대화 하면서 치장할수 있는 것임은 물론 원터치로서 체결과 착탈이 이루어 짐으로서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목걸이 및 팔찌를 찰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성체를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연결구와 캡사이에 내장하여 기계적인 강제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캡 상호간에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자성력으로서 체결될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결구 내에서 자성체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고정캡이 체결캡 내측의 가이드홈에 내삽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결합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팔찌 및 목걸이의 미려하고도 아름다운 장식효과를 극대화 하면서 치장할수 있는 것임은 물론 자성체에 의한 원터치로서 이루어 짐으로서 체결과 착탈이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이루어 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팔찌,목걸이등의 장식부재(B) 양측단에 각각의 일측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부 외주연에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110)가 형성되어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연결구(100,100a)와; 상기 연결구(100,100a)의 마주보는 각각의 일측단면에 부착되고 자성으로서 체결될수 있도록 구비되는 자성체(200,200a)와; 상기 자성체(200)를 내삽하여 걸림될수 있도록 이탈방지턱(320)이 일측단에 형성되고 타측부 내주연에는 연결구(100)의 수나사부(110)에 대응되는 암나사부(310)가 형성 구비되어 지는 고정캡(300)과; 상기 고정캡(300)의 몸체가 슬라이드 삽입될수 있도록 일측부에는 가이드홈(430)이 형성되고 중앙부 내측에는 걸림턱(420)이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부 내측에는 자성체(200a)가 삽입된 후 다른 연결구(100a)의 수나사부(100)에 체결될수 있도록 암나사부(410)가 형성 구비되어 지는 체결캡(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용 체결구.
KR2020000036237U 2000-12-23 2000-12-23 장식부재용 체결구 KR200227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37U KR200227741Y1 (ko) 2000-12-23 2000-12-23 장식부재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37U KR200227741Y1 (ko) 2000-12-23 2000-12-23 장식부재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41Y1 true KR200227741Y1 (ko) 2001-06-15

Family

ID=7306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237U KR200227741Y1 (ko) 2000-12-23 2000-12-23 장식부재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633A (ko) * 2003-10-02 2005-04-08 신순정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101944890B1 (ko) * 2018-03-08 2019-04-17 김선수 밴드 공회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알약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633A (ko) * 2003-10-02 2005-04-08 신순정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101944890B1 (ko) * 2018-03-08 2019-04-17 김선수 밴드 공회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알약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152B2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US20020059808A1 (en) Necklace
US3698044A (en) Clutch mechanism for jewelry pin
WO2012092548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segments
US20090255295A1 (en) Double helix band with attachable ornamental elements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0140130544A1 (en) Clasp system
US5913319A (en) Hair binder
KR200227741Y1 (ko) 장식부재용 체결구
KR101330153B1 (ko) 끈 형상의 액세서리 체결구
CA2012940A1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US5647103A (en) Beveled clasp
JP3043338B1 (ja) 首飾りの装飾物固定環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US20170273413A1 (en) Accessory System for Decorating Articles using Ornaments Connected with a Button-Snap Connector
WO2007112530A1 (en) Clasp system
JP4740846B2 (ja) 安全装置付き磁気式装身具用留め具および装身具用留め具の結合を完全にする方法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82524Y1 (ko) 팔찌 및 손목시계 잠금 장식의 체결구조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KR200413046Y1 (ko) 보조잠금장치를 가진 장식부재
CN213307845U (zh) 一种磁力连接装置及包含其的磁力连接系统
KR200321262Y1 (ko) 목걸이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