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98Y1 -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98Y1
KR200186198Y1 KR2020000000520U KR20000000520U KR200186198Y1 KR 200186198 Y1 KR200186198 Y1 KR 200186198Y1 KR 2020000000520 U KR2020000000520 U KR 2020000000520U KR 20000000520 U KR20000000520 U KR 20000000520U KR 200186198 Y1 KR200186198 Y1 KR 200186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ok
clamp
clasp
botto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식
Original Assignee
쥬뱅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뱅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쥬뱅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0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목걸이나 팔찌의 연결부를 이루는 연결구(1)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구(1)는 전방향으로 돌출된 바닥 몸체(2)의 중앙에 고정홀(3)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바닥 몸체(2)의 후방쪽 상하부에 각각 고정홈(4)이 형성된 걸쇠(5)와, 이 걸쇠(5)의 바닥 몸체(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고정홈(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향으로 고정돌기(6)가 각각 돌출형성된 체결 몸체(7)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몸체(7)의 내측 공간에 후크(8)와 코일 스프링(9)이 핀(10)을 통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8)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돌기(11)가 후크(8)의 후방쪽 선단에 형성된 죔쇠(12)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장신구에 설치된 연결구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줄 수 있고, 연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장신구의 분실 위험을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결합방식이 코일 스프링에 의한 후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죔쇠의 탄성복원력이 향상되어 반영구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A coupling device for personal ornaments of the precious metals}
본 고안은 팔찌나 목걸이 등의 연결부를 이루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이나 탈거를 보다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그 내구성을 향상시켜 장식물의 분실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장기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나 목걸이, 반지 및, 귀걸이 등과 같은 장신구는 신체에 부착하여 외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거의 필수품이나 다름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장신구는 그 디자인이나 사용되는 재질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상기 장신구는 착탈기능과 분실방지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장신구를 착용하거나 탈거할 경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장신구의 경우 대부분 귀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보존을 위해 견고한 연결구가 필요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101)나 팔찌(102)의 경우 그 연결부에 연결구(103)가 설치되어, 상기 연결구(103)가 분리되거나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결구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103)는 걸쇠(104)와 죔쇠(105)로 이루어져 걸쇠(104)가 죔쇠(105)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걸쇠(104)의 전방에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합몸체(106)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몸체(106)의 상부에 누름돌기(107)가 돌출형성되어 결합몸체(106)를 하부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걸쇠(104)를 수용하는 죔쇠(104)의 내측에 상기 결합몸체(106)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08)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부면에 상기 누름돌기(107)를 고정하는 고정홈(109)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101)나 팔찌(102)를 착용할 경우 상기 걸쇠(104)의 결합몸체(106)를 죔쇠(105)의 수용공간(108)에 삽입시켜 서로를 결합하고, 반면에 상기 걸쇠(104)와 죔쇠(105)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누름돌기(107)를 수직하부방향으로 눌러주면서 죔쇠(105)로부터 걸쇠(104)의 결합몸체(106)를 탈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걸쇠(104)와 죔쇠(105)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걸쇠(104)의 결합몸체(106)가 항상 일정각도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결합몸체(106)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쉽게 탈거되는 결점이 있고, 또한 금과 같은 귀금속은 그 인장력이나 탄성복원력이 일반적인 스틸 보다는 떨어지기 때문에 연결구(103)의 고장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나 혹은 고가의 귀금속을 분실하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구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탈착시에도 간편하게 탈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향으로 돌출된 바닥 몸체의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바닥 몸체의 후방쪽 상하부에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걸쇠와, 이 걸쇠의 바닥 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향으로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형성된 체결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몸체의 내측 공간에 후크와 코일 스프링이 핀을 통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돌기가 후크의 후방쪽 선단에 형성된 죔쇠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장신구의 연결구는 걸쇠와 죔쇠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쇠의 바닥 몸체가 상기 죔쇠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서 죔쇠에 설치된 후크가 상기 바닥 몸체의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체결되고, 반면에 상기 죔쇠에 설치된 후크의 누름돌기를 눌러주게 되면 내부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크가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후크가 바닥 몸체의 고정홀로부터 이탈되면서 걸쇠를 죔쇠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장신구에 설치된 연결구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줄 수 있고, 연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장신구의 분실 위험을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결합방식이 코일 스프링에 의한 후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죔쇠의 탄성복원력이 향상되어 반영구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귀금속 장신구인 목걸이와 팔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결구 2 : 바닥 몸체
3 : 고정홀 4 : 고정홈
5 : 걸쇠 6 : 고정돌기
7 : 체결 몸체 8 : 후크
9 : 코일 스프링 10 : 핀
11 : 누름돌기 12 : 죔쇠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목걸이나 팔찌의 연결부를 이루는 연결구(1)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구(1)는 전방향으로 돌출된 바닥 몸체(2)의 중앙에 고정홀(3)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바닥 몸체(2)의 후방쪽 상하부에 각각 고정홈(4)이 형성된 걸쇠(5)와, 이 걸쇠(5)의 바닥 몸체(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고정홈(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향으로 고정돌기(6)가 각각 돌출형성된 체결 몸체(7)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몸체(7)의 내측 공간에 후크(8)와 코일 스프링(9)이 핀(10)을 통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8)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돌기(11)가 후크의 후방쪽 선단에 형성된 죔쇠(12)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장신구의 연결구(1)는 걸쇠(5)의 고정홀(3)에 죔쇠(12)의 후크(8)가 코일 스프링(9)을 통해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죔쇠(12)에 결합된 걸쇠(5)를 탈거하기 위하여 죔쇠(12)에 설치된 후크(8)의 누름돌기(11)를 수직하방으로 눌러주면, 상기 걸쇠(5)의 고정홀(3)로부터 죔쇠(12)의 후크(8)가 분리되어 걸쇠(5)를 당겨서 탈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 걸쇠(5)의 바닥 몸체(2)가 상기 죔쇠(12)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서 죔쇠(12)에 설치된 후크(8)가 상기 바닥 몸체(2)의 고정홀(3)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체결되고, 반면에 상기 죔쇠(12)에 설치된 후크(8)의 누름돌기(11)를 눌러주게 되면 내부의 코일 스프링(9)에 의해 후크(8)가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후크(8)가 바닥 몸체(2)의 고정홀(3)로부터 이탈되면서 걸쇠(5)를 죔쇠(12)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걸쇠(5)는 전방향으로 돌출된 바닥 몸체(2)와 이 바닥 몸체(2)의 외측 일부를 이루는 고정홈(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 몸체(2)의 중앙에는 고정홀(3)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죔쇠(1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죔쇠(12)는 걸쇠(5)의 바닥 몸체(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됨과 더불어 걸쇠(5)의 상하부 고정홈(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6)가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쇠(5)가 죔쇠(12)에 결합될 경우 죔쇠(12)의 고정돌기(6)가 걸쇠(5)의 고정홈(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죔쇠(12)에는 후크(8)가 코일 스프링(9)을 매개로 장착되어 후크(8)의 누름돌기(11)에 의해 후크(8)의 전방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걸쇠(5)가 이탈될 수 있고, 상기 누름돌기(11)를 놓아주면 코일 스프링(9)에 의해 자동으로 후크(8)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코일 스프링(9)은 금과 같은 귀금속류가 아닌 탄성복원력이 높은 스테인레스나 피아노에 사용되는 강연선 등을 이용하여 성형됨으로써 그 탄성복원력을 극대화시키고, 코일 스프링(9)의 직경은 대략 0.4㎜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9)은 후크(8)의 하부쪽 내측에 핀(10)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장신구의 연결부를 이루는 연결구(1)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그 탈거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함으로써 장신구의 구매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의하면, 장신구에 설치된 연결구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줄 수 있고, 연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장신구의 분실 위험을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결합방식이 코일 스프링에 의한 후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죔쇠의 탄성복원력이 향상되어 반영구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방향으로 돌출된 바닥 몸체(2)의 중앙에 고정홀(3)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바닥 몸체(2)의 후방쪽 상하부에 각각 고정홈(4)이 형성된 걸쇠(5);와
    상기 걸쇠(5)의 바닥 몸체(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고정홈(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향으로 고정돌기(6)가 각각 돌출형성된 체결 몸체(7)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몸체(7)의 내측 공간에 후크(8)와 코일 스프링(9)이 핀(10)을 통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8)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돌기(11)가 후크(8)의 후방쪽 선단에 형성된 죔쇠(12);로 이루어진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2020000000520U 2000-01-10 2000-01-10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200186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520U KR200186198Y1 (ko) 2000-01-10 2000-01-10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520U KR200186198Y1 (ko) 2000-01-10 2000-01-10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198Y1 true KR200186198Y1 (ko) 2000-06-15

Family

ID=1963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520U KR200186198Y1 (ko) 2000-01-10 2000-01-10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3930A (zh) * 2018-10-30 2019-01-04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3930A (zh) * 2018-10-30 2019-01-04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537B2 (en) Replaceable gem stone setting for a jewelry piece
KR101147189B1 (ko) 귀걸이
US642748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CA2129978A1 (en) Quick strap fastening device
US6769270B2 (en) Detachable pendant mounting
US6804977B1 (en) Necklace and bracelet pendant-clasp
JP5433296B2 (ja) アクセサリ用のクラスプ
KR200450670Y1 (ko) 장식구용 박스형 잠금 장식
KR200186198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101925869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10013456A (ko) 교체식 장식 부재가 부착된 보석품
KR20100008650A (ko) 장신구의 고정장치
JP4046170B2 (ja) 装身具用連結金具
KR102010763B1 (ko)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90001831U (ko)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385575Y1 (ko) 장신구의 보석결합구조
CN213664021U (zh) 二次定位锁合式手镯
KR102617781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493263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