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193Y1 - 목걸이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목걸이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193Y1
KR200183193Y1 KR2019990028622U KR19990028622U KR200183193Y1 KR 200183193 Y1 KR200183193 Y1 KR 200183193Y1 KR 2019990028622 U KR2019990028622 U KR 2019990028622U KR 19990028622 U KR19990028622 U KR 19990028622U KR 200183193 Y1 KR200183193 Y1 KR 200183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tton
necklace
receiving portion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환
Original Assignee
장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환 filed Critical 장형환
Priority to KR2019990028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2Fastener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fastener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42Fasteners provided with a turnable clamping lever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 체결구조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 목걸이 체결구조는, 일측으로 길게 개방된 수나부(13)가 형성되고 일단에 장식줄(11)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핀(14)이 구비되며 타단에 수납부(13)와 연결된 관통구멍(15)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결합구멍(16)이 형성된 몸체(12)와, 몸체(12)의 수납부(13)에 삽입되고 중앙에 힌지구멍(18)이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턱(20)이 형성되며 타단에 수납부(13)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부(19)가 구비되는 버튼(17)과, 몸체(12)의 결합구멍(16)과 버튼(17)의 힌지구멍(18)에 삽입되는 힌지핀(22)과, 버튼(17)의 누름부(19)와 몸체(12)의 수납부(13)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부(19)를 수납부(13)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인장스프링(21)과, 일단에 몸체(12)의 관통구멍(15)에 삽입되어 버튼(17)의 걸림턱(2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후크(24)가 구비되고 타단에 장식줄(11)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핀(25)이 구비되는 체결구(23)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몸체(12)에 체결구를 대향되도록 파지한 후 서로 밀어 끼우면 결합되고 누름부(19)를 누르고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서로 분리되므로 몸체(12) 및 체결구(23)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여 목걸이의 착탈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목걸이 체결구조{necklace conclusion structure}
본 고안은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걸이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여성들을 공통된 관점이며, 이에 따라 귀걸이, 반지 목걸이, 기타 악세사리 등 다양한 장신구들이 여러가지 디자인으로 개발되며, 또 유행에 따라 그 디자인도 신속하게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신구 중 목걸이는 매일 아침 세면시마다 착탈시켜야 하며, 따라서 목걸이를 선택함에 있어서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지만 목걸이의 체결구조 또한 중요하다.
도1은 종래 목걸이 체결구조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로써, 장식줄(1) 일단에 링형 몸체(2)가 결합되어 있고, 장식줄(1) 타단에 걸림구멍(7)이 형성된 체결구(6)가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2)에는 레버(4)와 결합핀(5)이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목걸이 체결구조는 레버(4)를 당긴후 체결구(6)의 걸림구멍(7)을 몸체(2)의 결합부에 끼우고 당기고 있던 레버(4)를 놓으면 결합핀(5)이 걸림구멍(7)에 끼워지면서 장식줄(1)의 양단이 체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목걸이 체결구조는, 몸체(2)에 체결구(6)를 체결시키기 위해 양손으로 각각 몸체(2)와 체결구(6)를 파지하고 한 손으로 레버(4)를 당긴 후 체결구의 걸림구멍(7)이 결합핀(5)에 대향되도록 정확히 위치시켜야 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고, 장식줄을 목에 건 상태, 즉 제대로 주시하지 못하는 상태에서의 이와 같은 작업은 더욱 힘들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와 체결구를 간단하게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목걸이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목걸이 체결구조는, 목걸이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측으로 길게 개방된 수나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장식줄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며 타단에 수납부와 연결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수납부에 삽입되고 중앙에 힌지구멍이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타단에 수납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부가 구비되는 버튼과, 몸체의 결합구멍과 버튼의 힌지구멍에 삽입되는 힌지핀과, 버튼의 누름부와 몸체의 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부를 수납부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인장스프링과, 일단에 몸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버튼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후크가 구비되고 타단에 장식줄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몸체에 체결구를 대향되도록 파지한 후 서로 밀어 끼우면 결합되고 누름부를 누르고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서로 분리되므로 몸체 및 체결구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여 목걸이의 착탈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목걸이 체결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부분 측면도
도2는 본 고안 목걸이 체결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4 및 도5는 사용상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장식줄 12 ; 몸체
13 ; 수납부 14,25 ; 고정핀
17 ; 버튼 19 ; 누름부
20 ; 걸림턱 21 ; 인장스프링
23 ; 체결구 24 ; 후크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 및 도3에서, 본 고안 목걸이 체결구조는, 몸체(12)와 버튼(17), 체결구(23)로 대별된다.
몸체(12)는 일측으로 길게 개방된 수나부(13)가 형성되고, 일단에 장식줄(11)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핀(14)이 구비되며, 타단에 수납부(13)와 연결된 관통구멍(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상부에는 결합구멍(16)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힌지핀(22)이 이에 삽입된다.
버튼(17)은 몸체(12)의 수납부(13)에 삽입되는바, 이는 중앙에 결합구멍(16)과 동축을 이루도록 힌지구멍(18)이 형성되고, 일단에 걸림턱(20)이 형성되며, 타단에 수납부(1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누름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튼(17)의 누름부(19) 저면과 수납부(13) 바닥 사이에는 인장스프링(21)이 구비되어 있어 버튼(17)의 누름부(19)를 수납부(13) 외측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한편 몸체(12)의 결합구멍(16)과 버튼(17)의 힌지구멍(18)에는 힌지핀(22)이 삽입되어 있어 누름부(19)를 누를시 걸림턱(20)이 힌지핀(22)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체결구(23)는, 일단에 몸체(12)의 관통구멍(15)에 삽입되어 버튼(17)의 걸림턱(2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후크(24)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장식줄(11)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핀(25)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목걸이 체결구조는, 도4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 목걸이를 풀려면 도5와 같이 버튼(17)의 누름부(19)를 누른다.
즉, 누름부(19)를 누르면 버튼(17)이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걸림턱(20)이 상측으로 들리게 되고, 따라서 버튼(17)의 걸림턱(20)과 체결구(23)의 후크(24)가 분리된다.
따라서 누름부(19)를 누른 상태에서 몸체(12)와 체결구(23)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목걸이의 양측이 간단히 분리된다.
반대로 목걸이를 체결시키려면, 체결구(23)와 몸체(12)를 파지하고 체결구(23)의 후크(24)를 몸체(12)의 관통구멍(15)에 대향시킨 후 밀어 끼우면 되는데, 삽입되는 후크(24)의 단부는 걸림턱(20)의 단부와 접촉되면서 걸림턱(2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이때 인장스프링(21)은 압축된다.) 후크(24)가 완전히 삽입되면 인장스프링(21)이 복원되면서 걸림턱(20)이 원위치로 하강되므로 후크(24)와 걸림턱(20)이 서로 체결된다.
이러한 본 고안 목걸이 체결구조는, 체결구(23)를 몸체(12)에 밀어 끼우면 결합되고 누름부(19)를 누른 후 잡아 당기면 분리되므로 목걸이의 착탈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다.
따라서 취침시나 세면서 목걸이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되고, 그 체결구조가 비교적 견고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체결구조에 의하면, 몸체(12)에 체결구를 대향되도록 파지한 후 서로 밀어 끼우면 결합되고 누름부(19)를 누르고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서로 분리되므로 몸체(12) 및 체결구(23)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여 목걸이의 착탈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목걸이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측으로 길게 개방된 수나부(13)가 형성되고 일단에 장식줄(11)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핀(14)이 구비되며 타단에 상기 수납부(13)와 연결된 관통구멍(15)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결합구멍(16)이 형성된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수납부(13)에 삽입되고 중앙에 힌지구멍(18)이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턱(20)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수납부(13)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부(19)가 구비되는 버튼(17)과,
    상기 몸체(12)의 결합구멍(16)과 버튼(17)의 힌지구멍(18)에 삽입되는 힌지핀(22)과,
    상기 버튼(17)의 누름부(19)와 몸체(12)의 수납부(1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19)를 수납부(13)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인장스프링(21)과,
    일단에 상기 몸체(12)의 관통구멍(15)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17)의 걸림턱(2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후크(24)가 구비되고 타단에 장식줄(11)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핀(25)이 구비되는 체결구(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체결구조.
KR2019990028622U 1999-12-17 1999-12-17 목걸이 체결구조 KR200183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622U KR200183193Y1 (ko) 1999-12-17 1999-12-17 목걸이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622U KR200183193Y1 (ko) 1999-12-17 1999-12-17 목걸이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193Y1 true KR200183193Y1 (ko) 2000-05-15

Family

ID=1960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622U KR200183193Y1 (ko) 1999-12-17 1999-12-17 목걸이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1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334A (ko) * 2013-12-13 2016-08-18 스피드히터 시스템 아베 표면에 대한 열 방사를 적용하기 위한 장치
KR102119614B1 (ko) * 2020-01-13 2020-06-05 김형준 탈착성이 개선된 팔찌용 체결구조
IT202000007504A1 (it) * 2020-04-08 2020-07-08 Colpo & Zilio S P A Chiusura per articoli di bigiotteria e/o gioielleri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334A (ko) * 2013-12-13 2016-08-18 스피드히터 시스템 아베 표면에 대한 열 방사를 적용하기 위한 장치
KR102299942B1 (ko) 2013-12-13 2021-09-07 스피드히터 시스템 아베 표면에 대한 열 방사를 적용하기 위한 장치
KR102119614B1 (ko) * 2020-01-13 2020-06-05 김형준 탈착성이 개선된 팔찌용 체결구조
IT202000007504A1 (it) * 2020-04-08 2020-07-08 Colpo & Zilio S P A Chiusura per articoli di bigiotteria e/o gioielleria
EP3892150A1 (en) * 2020-04-08 2021-10-13 Colpo & Zilio S.R.L. Fastening element for costume jewellery and/or jewellery items
US11607017B2 (en) 2020-04-08 2023-03-21 Colpo & Zilio S.P.A. Fastening element for costume jewellery and/or jewellery i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916Y1 (ko) 목걸이 체결구조
US5197168A (en) Magnetic jewelry closures with wire safety clasp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200183193Y1 (ko) 목걸이 체결구조
DK1916921T3 (en) Interchangeable jewelry effort and element for taking action
JP3226278U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KR200265489Y1 (ko) 장신구용 체결구조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JP4195527B2 (ja) ネックレス糸止め金具
KR101523575B1 (ko) 장신구의 자석식 연결기구
JP3083478U (ja) ネックレスの連結構造
KR200205279Y1 (ko) 팔지 걸이구
KR200201877Y1 (ko) 장식구 체결용 회전버클
JPS5942910Y2 (ja) 装身具用の止め金具
JP3088436U (ja) 網枠固定具
KR940001554Y1 (ko) 슬라이드파스너용 중간연결고리
US2313397A (en) Safety cord clasp
KR200413046Y1 (ko) 보조잠금장치를 가진 장식부재
JPH0443054Y2 (ko)
KR200327776Y1 (ko) 핸드폰용 줄 체결구조
JP3811139B2 (ja) ピアス
KR200267567Y1 (ko) 목걸이의 장식구 결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